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7 디에타민 3개월 이하 처방하라는 게 평생동안 3개월만 처방할 수 있다는 건지요? 아니면 정해진 기간 안에 3개월인 건지요?
이에 대한 분명한 가이드라인은 없습니다만, 평생 3개월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습니다.
16 큐시미아를 중단할 경우 tapering 스케줄을 어떻게 해야되는지 문의드립니다.
15mg/92mg의 경우 갑작스러운 복용 중단은 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치료를 완전히 중단하기 전에 적어도 1주일 동안 하루 걸러 한 번 복용하여 점차적으로 15mg/92mg 용량의 복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15 보조요법으로 alginic acid 투여로 혈당, 콜레스테롤 저하, 포만감 생성으로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는데 혹시 효과에 대한 연구가 있을까요?
매우 오래된 연구밖에 없습니다.
14 제니칼이 간기능에 문제가 생기는수가 있고 신석이 생길수가 있는데 간기능 정기검진이 필요 할까요? 스톤이 안생길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오를리스타트를 복용하고 간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 경우이므로 통상 임상 현장에서 유의할 사항은 아닙니다. 하지만 비만안의 경우에는 간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떤 치료를 하시던지 치료 시작 전 검사를 시행하시고, 치료 시작 후 3개월 정도에 추적 관찰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신장 결석의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균형잡힌 식단을 추천합니다.
13 펜터라민 계열이 향정 성분이 포함되어서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향정신성 약물이어서 투여 기간이 제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펜터민은 의존성과 남용 가능성이 있는데 그와 관련된 장기간의 수준 높은 임상 연구 결과가 없기 때문에 장기 사용이 불가능한 것입니다. 큐시미아의 경우에는 2년간의 장기 임상 연구 결과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으므로 투여 기간에 제한은 없습니다.
12 신장결석 병력이 있는 분에게 아디펙스 같은 펜터민 단독 제제는 사용 가능할지요?
펜터민 단독 투여는 금기 사항이 아닌 경우에는 투여 가능하지만, 투여할 수 있는 기간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11 삭센다 비만 단독 적응증으로 처방 시 비보험으로만 가능한가요?
맞습니다.
10 현재 사용 가능한 약제 이외에 향후 임상현장에서 쓸 수 있게 될 비만치료제가 있을까요?
세마글루타이드(GLP-1 효현제)는 몇 년 안에 허가를 획득할 것입니다. 그 외에도 여러 약제들이 1, 2, 3상 임상 연구 중에 있습니다만, 단기간에 허가를 얻을 만한 약은 없습니다.
9 BMI가 허가사항이 안돼도 처방이 가능한가요?
허가사항 위반에 대해서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8 식사를 잘못하는 환자에게 플루세틴 투여는 어떤가요? 우울감을 개선시켜 식욕 증진, 식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나요? 체중 감량을 위해 비만 약으로도 투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식사를 잘 못하는 이유가 우울증 때문이라면, 우울증 치료 및 항우울제가 식욕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항우울제 중에서 식욕을 촉진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면 mirtazapine 이 더 좋습니다. Fluoxetine을 투여하여 식욕을 억제시키려면 통상 용량보다 고용량이 필요하며, 그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아서, 추천하지 않습니다. 신경성 식욕과 항진증에 대해서는 적응증이 있습니다.
7 식이요법으로 저탄고지나 저탄고단과 같은 방법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실제 환자들에게 어떤 식이 요법을 권하시는지요?
가장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식사요법은 1500kcal 저칼로리 균형 잡힌 식사입니다. 환자가 젊고 건강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탄수화물을 극도로 줄인 케톤 식이도 해 볼 수 있으며, 초저열량식이도 효과가 있습니다. 그 외 여러 가지 식사 요법들이 단기적으로는 체중 감량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식사 요법이 장기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장기간 유지하고 안전한 식사 요법은 저칼로리 균형 잡힌 식사이며, 그 외의 식사 요법에 대해서는 의료인도 충분한 경험과 지식이 필요합니다.
6 타원에서 처방하는 비만치료제 처방전을 보니 여러 가지 기전의 비만 약을 같이 처방하는데 더 효과가 좋을까요?
단기 투여 식욕억제제와 장기 투여 식욕 억제제 및 오를리스타트 끼리의 병용 요법에 대해서는 각 약제의 허가 사항에 병용 금기에 대한 문구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 외의 오래전에 허가를 받은 약제들은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한 근거가 없이 허가를 받은 경우이며, 추가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체중 감량 효과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부 성분의 경우 위약 대비 효능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 부작용 발현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른 기전의 약제들 복합적으로 투여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5 디에타민이 3개월 이하의 단기요법에 처방하도록 되어 있는데 6개월 이상 연속 처방에도 문제없다는 페이퍼가 있는데 3개월 이상 써도 되나요?
허가사항 위반에 대해서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4 치료 약에 효과 있을 때에 언제까지 투약을 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비만도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약제에 효과가 있고 약제가 장기 사용에 대해 허가를 획득한 약제라면 투여 기간을 제한할 필요는 없습니다.
3 큐시미아같은 펜터민 기반 약물은 의존성이나 내약성이 문제되지는 않나요? 큐시미아를 환자가 장기간 사용하기 원한다면 어느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을까요?
펜터민의 의존성은 고용량일 때 발생하며, 큐시미아에 함유된 펜터민은 저용량이어서 의존성 발생 가능성은 아주 낮다고 간주해야 합니다. 내약성은 펜터민 자체만으로 문제 되는 것은 아니며, 두 성분 모두에 의해 부작용이 발현됩니다. 투여 가능 기간은 임상 연구 기간과는 무관하며, 현재까지의 증거로는 오래 투여한다고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1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T. 02-2275-1648. 청운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