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8 갑상선 중독증의 기능항진증과 갑상선염의 감별진단을 위해 처음 검사 때 fT4/T3보다는 fT4/Ft3 검사를 하고 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갑상선기능검사의 경우 3종을 급여 인정하기 때문에 TSH를 기본으로 하고 FT4/T3 검사하셔도 되고 FT4/FT3 검사를 하셔도 됩니다. T3와 FT3는 서로 비례하기 때문에 검사상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익숙하신 것을 사용하시고 정상 범위를 고려하여 갑상선항진증과 갑상선염을 진단하시는 지표로 삼으시면 됩니다.
37 10대 초부터 TBII가 매우 높은 그레이브스병으로 치료받던 여성으로 수년 동안 항진증으로 메티마졸 치료 중 갑자기 심한 저하증이 발생하여 Blocking ab로 생각하고 신지로이드를 수년 동안 복용하면서 정상으로 유지하던 중 다시 심하게 항진증으로 재발되어 고용량의 메티마졸을 수년 사용하였으나 고용량으로도 항진증이 조절되지 않고 고이터가 너무 커져 수술을 하였고 수술 이후에 외과에서 신지로이드 0.2mg/day 사용 중인데도 저하증이 쉽게 개선되지 않는 환자분을 경험하였는데 이 경우는 TBII가 자극과 차단형 Ab로 변화하면서 나타난 임상적 변화인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환자분이 이미 수술을 하신 상황이고 현재의 문제는 하루 200ug의 갑상선호르몬을 보충하여도 기능저하증이 지속되는 것 같습니다. 질문 내용으로는 혈액검사가 정상화되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환자분의 갑상선저하증 추정 증상이 정상화되지 않는 것인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갑상선호르몬 혈액검사가 정상화되지 않는 것이면 복용의 순응도 및 복용방법을 다시 확인하여 보시고 증상이 개선이 안되는 경우 다른 진단 (우울증 및 다른 질환들)을 감별하고 매우 드물게 T3 복용이 필요한 T4→T3 전환이 안되는 군에서는 T3 추가가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의뢰해 주시면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6 50대 남자 환자고 갑상선 항진증으로 MMZ 복용 중이며, 처음엔 TSAb(+)였습니다. 약 5년 정도 복용 후 TSAb 정상화되었으며 TFT 정상화되어 MMZ tapering 후 종료하였습니다. (Tapering 중에도 TFT WNL 확인하였습니다.) 종료 후 TFT F/UP 중 갑상선항진증 재발하여 MMZ 재사용 중이며, 1T-0.5T 정도 복용 후 TFT 정상 범위 돌아왔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환자에게 MMZ를 지속 복용 권유해야 할까요?
50대에 재발이 단 한 번이고 약물 중지 후 장기간 관해가 유지되었으면 이번에는 유지요법 기간(0.5알/일)을 좀 더 장기간(수년까지) 사용하여 보시고 한 번 더 장기 관해를 기대해 보셔도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때 환자의 안병증 및 고이터 등도 고려하시고 환자분에게 재발률이 높지만 약물과 근본치료 중 선택을 상의하시고 진행하시면 좋겠습니다.
35 기능항진 시 수술할 경우 호르몬은 정상이고 TSH < 0.01 이면 수술 가능합니까?
TSH 억제는 수개월-수년 약제의 사용량에 따라 지속될 수 있으므로 수술 및 전신마취의 고려시에는 TSH보다 갑상선호르몬의 정상화를 기준으로 삼으시면 됩니다. 수술 전 출혈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루골 용액의 경우 호르몬을 낮추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34 임신 시 FT4는 upper normal을 유지하나 TSH는 낮고 T3가 높은 경우 항갑상선제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할까요?
임신 시 Total T3가 정상보다 높아지는 것은 임신 중 thyroxine binding globulin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정상 반응입니다. 대개 정상 상한의 1~1.5배 정도까지를 정상으로 봅니다. 그레이브스병에서는 Free T4는 정상 상한으로 유지시키시면 됩니다.
33 개원가에서 scan 검사를 이용할 수 없으니, auto AB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진료실에서 auto Ab는 어떤 일정으로 추적 관찰하시는 지요?
자가항체의 경우 연 2회 정도 측정하시면 됩니다. 대형 병원의 경우 치료 방향의 결정에 참고에 빠른 결정이 필요하여 좀 더 자주 측정하여도 삭감이 상대적으로 덜 하므로 좀 더 자주 측정할 수 있으나 연 2회 이상의 측정의 경우 삭감의 우려가 있습니다.
32 TFT 정상이 되었음에도 goiter 계속 남아 있으면 어떻게 하나요?
TBII 측정을 하여 보시고 정상화되었으면 고이터가 있어도 중지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고이터 자체가 관해 여부 결정의 조건은 아니나 재발률이 높은 환자군에 속합니다.
31 Methimazole 복용 후 발생하는 관절통의 경우 무조건 중단하고 방사선치료를 고려해야 할까요?
메티마졸 투약 후 관절통은 ANCA 양성인 혈관염의 부수 증상이 아닌 경우 가벼운 경우 진통제를 써서 보면서 항갑상선제를 지속할 수 있습니다. 또는 약제 변경을 시도하셔도 됩니다.
30 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메티마졸 투약을 1년 이상 지속해서 TFT는 정상이나, TSHR Ab가 계속 높을 경우 계속 투약해야 하나요?
TBII가 정상화되어도 최소 1년간 정도의 복용 기간을 유지하는 것이 재발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최근의 많은 데이터가 저용량 장기유지 시 조금씩 재발률을 낮추는 보고가 있습니다. TBII 또는 TSAb의 정상화가 되지 않더라도 1년 이상 복용 후에 정상 갑상선기능이 잘 유지되면 환자분과 재발의 위험성을 상의하고 향후 6~12개월 내의 재발 시 환자 생활상의 문제가 없는지 확인 후 재발의 가능성을 고지하고 중지하여 볼 수 있습니다.
29 항진증 근본 치료로 RAI를 했을 때 평생 씬지로이드 replacement 해야 하는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하면 우리나라 데이터에서 대개 1차 치료에 저하증 또는 정상 기능으로 될 확률이 60-70% 이차 치료에서는 70-80% 정도가 됩니다. 일부 방사성요오드 치료 환자에서 갑상선호르몬의 치료가 유보될 수 있는 기능으로 장기간 유지되나 결국은 갑상선호르몬을 보충하여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환자분께는 갑상선호르몬을 먹게 된다고 설명 후 치료를 하게 됩니다.
28 T3 thyrotoxicosis의 경우 일반적인 갑상선 항진증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하시는지(약제 선택, 치료 종결 등) 여쭙니다.
T3 및 환자분의 증상에 맞추어 항갑상선제 용량을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대개 고이터가 크고 다른 그레이브스 증상이 심한 경우가 많고 근본적인 수술이나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은 대상군입니다.
27 치료 중 TSH와 free T4는 감소하고 T3는 정상인 경우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T3 및 환자분의 증상에 맞추어 항갑상선제 용량을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대개 고이터가 크고 다른 그레이브스 증상이 심한 경우가 많고 근본적인 수술이나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은 대상군입니다.
26 free T4가 정상 범위 내면 TSH가 수년간 정상화되지 않아도 용량 유지하시나요? 대학병원에서 회송 받은 환자가 그렇게 유지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요.
TSH가 정상화되지 않으면 아직 항진증이 남아 있는 것입니다. 이 경우 약물 중지가 요원하므로 우선 약물을 증량하여 TSH를 정상화한 후 항갑상선제를 천천히 낮추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지속적으로 TSH 억제가 관찰되면 다시 3차 병원으로 의뢰하여 근본치료를 검토하도록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5 간혹 최소 용량의 Methimazole 2.5mg 유지하면서도 overt hypothyroidism 소견 보이고, TBII는 양성으로 synthroid 100ug 이상으로 추가하여 약제 유지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가 흔한지, 그리고 이러한 치료가 적당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흔하지는 않은 경우입니다. 말씀하신 경우는 혹시 하시모토갑상선염 및 일시적 Hashitoxicosis 이후의 환자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하시모토갑상선염 환자의 일부에서 blocking type의 TBII가 측정이 되고 이 경우 TSAb (bioassay)를 재 보면 낮은 양성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24 임신 등으로 Methimzole을 쓰다가 PTU로 변경하는 경우 용량은 어떻게 변경해야 하나요?
대개 메티마졸 용량에 10 정도를 곱하면 됩니다. 메티마졸 10mg은 PTU 100mg으로 생각하면 되는데 다만 약물의 반감기 때문에 PTU는 분복이 필요합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1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T. 02-2275-1648. 청운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