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4 치료 중 골절 발생 시 유의미한 골절이라고 볼 수 있는 기준이 있을까요? 말단골 골절이나 trauma로 인한 골절도 포함되는 것일지요? 침대에서 낙상 후 발생한 rib fracture 도 약제 변경을 고려해야 할 만한 조건일지요?
Low traumam fracture에 한정됩니다. Low trauma는 서있는 자세에서 낙상하는 정도의 충격 이하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주로 기준요로 하고 있고, rib fracture는 low trauma에 의해 한꺼번에 세 개 이상의 fracture가 발생하는 경우 major osteoporotic fracture로 분류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53 발치로 인한 DMAb 중단 후 다시 투약 시 보험급여 여부는 어떻게 하시나요?
골다공증이 관찰되었던 BMD 측정이 1년 이내이면 보험 삭감된 경우는 없었습니다.
52 증례 3에서 CTX가 오를 때까지 기다렸다가 발치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bone turn over가 정상이면 ONJ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추정에 근거합니다.
51 보통 Denosumab 쓰던 환자의 경우 임플란트 등 계획된 경우, 마지막 약 투약 후 적어도 3개월 뒤에 치과치료를 진행하고, 치과치료가 완료되면 적어도 3개월 뒤가 되었다면 약제 유지해도 문제없을까요?
문제없을 것 같습니다.
50 Denosumab 투약 후 몇 달 뒤에 발치하면 되나요?
저는 normal bone turn over가 돌아오는 8-9개월 뒤에 procedure를 권합니다. 다만, 골다공증이 심하다면, 이 기간 동안에도 bone loss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Denosumab을 사용하면서 치과 치료를 받도록 권할 수 있습니다.
49 여러 병원을 옮기고 다니느라 비스포스포네이트를 5년 이상 장기 사용한 환자들을 보게 되는데, 이런 환자들도 데노스맙을 바로 연결해서 장기간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ONJ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고, Atypcial femur fracture에 대한 P/E 등을 시행하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48 BP 치료 중 spine fracture 환자의 경우 Teriparatide로 변경 시 기간은 어느 정도가 좋을까요?
Fracture 발생 직후에 변경하여, 만약 골다공증이 심하다면 2년 치료를, 골다공증이 심하지 않다면 fracture healing 되는 2-3개월 정도 후 Denosumab을 사용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47 High risk 이상의 골다공증 환자에서, Denosumab 다음에 ONJ가 발생하면 Teriparatide로 바꾸기도 DATA-SWITCH 결과를 보면 걱정이 되는데요. 이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는 Teriparatide는 사용치 않고 observation 할 것 같습니다.
46 한번 ONJ로 치료받고 완치되신 분은 다시는 BPP나 Denosumab을 사용할 수 없나요? 그렇다면 대체제로 어떤 약을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
정확한 답변이 어려울 것 같은데, ONJ 발생도 유전적 원인이 있다는 보고를 보았던 것 같기 때문입니다. 다만, ONJ 발생의 high risk group이라고 하더라도, 다시 anti-resorptive agent를 사용할 수는 있을 것 같고, 단지 치과 치료를 하게 될 상황에서 좀 더 close observation과 공격적인 방어 전략을 취하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환자가 ONJ에 공포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면, ONJ가 발생되지 않는 약물 (SERM, Teriparatide, Romosozumab)을 골다공증이 심한 정도에 따라 선택하여 권유할 수는 있겠습니다.
45 최근 코로나 예방 접종 주사와 데노수맙 접종 시기에 대한 문의가 많습니다. 두 주사의 간격을 떨어뜨려야 하는 근거가 있을까요?
근거는 찾지 못했고, 저도 고민이 많은 부분입니다. RANKL이 immune system에도 작용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혹시 vaccination에 의한 abtibody 형성에 지장을 주지 않을까 하는 우려는 제 개인적으로는 아주 조금 하고 있습니다. 저는 근거는 없이 1주일 이상의 interval을 권하고 있습니다.
44 F/81, 타 의료기관에서 월 1회 BP 주사치료를 받던 분으로 HipFx로 수술을 받게 되었습니다. 언제부터 어떤 약으로 치료를 해야 할까요?
수술 후 운동 부족이 bone loss의 큰 원인이기 때문에, 수술 후 바로 사용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만약 hip fracture가 low trauma fracture였다면, BP 이외의 약물 (Denosumab, Romosozumab, Teriparatide)을 권하고 싶습니다.
43 ONJ 과거력 있는 환자에서 듀얼이긴 하지만 골흡수 억제제 효과를 가지는 Romosozumab을 안심하고 써도 되나요?
Romosozumab의 anti-resorptive sction은 SERM 제제 수준이고, Romosozumab이 ONJ를 유발하는 약물은 아니니까 써도 될 것 같습니다.
42 ONJ는 아니지만 BP 제제를 투약하고 2년 정도 지나서 환자가 잇몸이 나빠져서 잇몸 치료를 받았는데, 치료가 모두 끝나고 난 뒤에 다시 BP 제제를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41 ONJ가 발생하게 되면 Teriparatide 사용 후 호전되면 다시 anti-resorptive agent로 변경 가능할까요?
정확한 답변이 어려울 것 같은데, ONJ 발생도 유전적 원인이 있다는 보고를 보았던 것 같기 때문입니다. 다만, ONJ 발생의 high risk group이라고 하더라도, 다시 anti-resorptive agent를 사용할 수는 있을 것 같고, 단지 치과 치료를 하게 될 상황에서 좀 더 close observation과 공격적인 방어 전략을 취하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40 50대 초반 폐경 여자 폐경 증상이 동반된 골다공증 T score:-3.0 이상인 low BMI 환자에서 HRT or livial과 Denosumab or Bisphosphonate 등과 동시에 같이 사용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혹은 폐경 증상이 없어도 같이 사용하시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HRT 금기 없는 경우)
폐경 증상이 동반된 경우, low dose hormone therapy와 anti-resorptive는 같이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폐경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hormone therapy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anti-resorptive만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1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T. 02-2275-1648. 청운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