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체
Diabetes
Thyroid
Bone metabolism
Pituitary and Adrenal gland
전체
심혈관 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의 최적의 치료법
갑상선 응급질환: 점액수종 혼수, 갑상선폭풍
올바른 골다공증 치료제의 선택 (최근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기능성 뇌하수체 종양 의심 환자 놓치지 않기
부신 고혈압 진단과 치료의 최신 지견
COVID-19 판데믹 시대의 갑상선 기능이상
안전한 스테로이드 사용법
이차성 골다공증의 감별진단
진료실에서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활용하기
Hypercalcemic crisis의 differential diagnosis 및 management
2021년 당뇨병 진료지침 Update
애매한 갑상선결절의 추적검사와 관리
112
DAPA CKD 스터디에 type2 DM이 60 남짓이라고 되어 있다는 것은 type 1DM 환자도 대상에 넣었다는 이야기인가요? 즉 다파글리플로진을 1형 당뇨병 환자에게 인슐린과 함께 쓸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T2DM 환자만 등록되었습니다. T1DM은 DKA 위험 증가로 SGLT-2 억제제 사용이 허가사항이 아닙니다.
111
건강검진이나 당뇨 갑상선 환자 routine lab 에서 칼슘수치 10-11 나올때 가성고칼슘증부터 생각해야 하나요 아니면 추가검사가 필요하면 어떻게 할지요?
한번 더 칼슘 측정해 보시고 계속 이상 있으면 PTH, vit D level정도 측정해보시고 이상있거나 또는 지속 고칼슘혈증 보일 시 전원하시면 되겠습니다.
110
골다공증 진단시 evaluation 을 시행하고 외래에서 결과를 수일후 확인할떄 albumin corrected calcium 이 hypercalcemia 소견이 확인이 되는 경우 이러한 경우 외래에서 할 수 있는 조치가 무엇이 있을지 궁금하고 무증상이라하더라도 hypercalcemia 가 있을시 응급으로 전원을 해야할 경우가 있는지요?
한번 더 칼슘 측정해 보시고 계속 이상 있으면 PTH, vit D level정도 측정해보시고 이상있거나 또는 지속 고칼슘혈증 보일 시 전원하시면 되겠습니다.
109
COVID로 intubation 유지하며 격리 치료 중인 환자로 갑자기 Ca 수치 상승으로 massive hydration을 하였으나 Ca 수치 오히려 14 이상으로 상승하며 eGFR이 CRRT 해야 할 정도로 악화된 상태로 의뢰된 환자입니다. Zoldedronic acid 투약하여 사용이 며칠 지난 뒤 오히려 Ca 7 가까이 떨어지는 상황이 벌어져 이런 경우 Ca 보충해야 하는지 여부를 고민했던 환자였습니다. PTH 500이상 PTH-rP는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격리 상태여서 적극적인 evaluation은 condition 호전되면 하려고 하였습니다만 zoledronic acid 투여가 좋은 선택이 아니었을까요?
CKD환자가 아니라면 부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가 아닐까 합니다. Zoledronate가 워낙 강력한 antiresoprtive effect가 있어서 저칼슘혈증이 좀 많이 생길 수 있으나 교정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잘못된 선택은 아니나 다음에 또 비슷한 환자가 발생한다면 pamidronate로 쓰시는게 저칼슘혈증 발생 측면에서 좋을 수 있습니다.
108
갑상선암 수술후 칼슘이 낮아서 칼슘제와 활성형비타민 에 다이크로지드 병용시에 칼슘은 교정이 되는데 나트륨이 130 정도의 저 나트륨혈증이 생깁니다 이경우에는 다이크로지드를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가요?
다이크로지드를 최소화하고 칼슘이나 비타민제제 용량을 올려보는 건 어떨지요?
107
암환자에서 발생한 고칼슘혈증에서 최근 denusumab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약제는 투여하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최고 작용을 한다고 보면 되는지요?
데노수맙의 경우 저칼슘혈증이 일어나는 경우 2주 내 발생하고 4주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주 내지 2주 까지 내려간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106
투석을 하는 환자로 hypercalcemia에 대해 bisphosphonate 대신 denosumab을 투약할 경우 투약 주기는 어떻게 하는게 적절할지 질문드립니다.
데노수맙의 경우 저칼슘혈증이 일어나는 경우 2주 내 발생하고 4주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적용하여 필요하다면 2주 내지 1달 간격으로 monitoring하면서 투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05
Vol. overload가 문제되는환자에서LCESRD CHF... aggressive hydration이 현실적으로 어려운상황에서는 calcitonin bisphosphonate등의medical tx에만 의지해야하나요? 아니면 vol. overload를 감수하더라도 hydration을 하는게 맞을까요?
Vol.overload가 critical 한 환자는 무리해서 hydration하지 말고 투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신장문제가 없다면 BP는 사용해야 하겠지요.
104
임상에서 흔히 경험하는 것이 신장요로 결석 과거력 있는 골다공증 /골감소증 환자에서 칼슘/ VIT D 치료를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실제 진료실에서 어떻게 처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신장결석이 칼슘결석인지 확인이 필요하겠고,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은 아닌지 확인도 필요하겠습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low dose calcium (100mg) 이 함유된 비타민 D제제를 사용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103
식사 인슐린의 경우 맞는 timing을 강조하셨는데요. 식사 직전에 맞는것보다 식전 15분에 맞는데 30 혈당 차이까지나므로 식사 15분전에 맞는게 중요하다로 들었습니다. 이런 인슐린은 휴마로그 애피드라 노보래피드같은 초속효성 인슐린을 말씀하시는건지요?
맞습니다. 피아스프, 룸제브등 더욱 작용시간이 빠른 약제는 식사 직전에 주사하면 됩니다.
102
전당뇨에서 cgm 목표혈당이 95 이상이면 어떻게 말씀하십니까?
질문의 취지가 문구만으로 명확히 이해되지 않습니다만, 전당뇨병은 식후의 혈당 패턴을 보고 당질지수가 높은 식사를 피하는 것과 같은 생활습관교정에 주력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01
와파린이나 noac 사용중인 환자가 출혈염려 없이 안전하게 리브레를 사용할수 있을까요? 교수님께서는 하고 계십니까?
interstitial space에 아주 미세한 전극이 삽입되므로 항응고치료 중인 환자에서 특별히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단 저는 아직 그런 case가 없었습니다.
100
CGM 측정시 실제 혈당과 50이상 차이 날때도 있고 부정확한 부분이 많더라구요. 혹시 그부분은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게 하시고, 정확도가 크게 문제가 되는 분들은 가격 차이가 이제는 많이 줄었으므로 정확도가 SMBG와 비슷한 real-time CGM 기기로 바꾸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99
GDM 에서는 어떻게 기준을 설정하고 몇 시간 뒤 얼마 수치가 나오면 insulin을 사용하나요?
아직 GDM에서 효과를 보여 준 연구가 없어 T1DM with pregnancy 연구에서 time in range를 63-140 기준으로 하는 것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좋겠으며, SMBG와 같은 기준 (공복 95, 식후 peak 140, 식후 2시간 120)으로 판단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98
젊은 나이의 환자에서 다른 원인들 없이 비타민 D 결핍 단독만으로의 심한 골다공증 와 동반된 골절 케이스를 경험해본 적이 있으신지요? 가능할지요?
젊은 나이에서 epilepsy drug 과 관련하여 환자가 집안에서만 지내시고 vit D 4 정도로 osteomalacia 관련하여 Fx 를 경험한적이 있습니다 .이때는 사실 골다공증보다는 vit D 감소에 의한 osteomalacia로 인한 below the expected range 로 진단하고, vit D 보충만 해주어도 골밀도가 아주 많이 상승하였습니다. 적극적인검사 와 치료를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