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칼슘 비타민 D 측정후 필요시 보충이 필요 할것 같습니다. Z score 가 낮다면 모유수유는 가능한 중단하시는게 맞겠고, 모르는사이 compression fx 가 없었는지 확인해보아야합니다 보통 산후풍정도로 생각하다가 통증이 심해서 검사를 추가했더니 multiple fx 로 postpartum osteoporosis 로 진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보험기준에서는 이미 약제를 사용한 경우라고 하였으나, 사용할 계획이 있다면 BP 등은 함께 start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현재까지 본원에서 류마티스와 함께 진료보는 분에 있어서 삭감된 사례는 없었지만, 보험기준이 바뀐지 얼마되지 않아 좀 지켜봐야 할것 같습니다. 정상 골밀도라 하더라도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1년 후 골밀도 경과 관찰 적절할 것 같습니다.
환자분의 정확한 history는 잘 모르겠지만 저라면 과연 AI가 정확히 진단된 것인지부터 다시 살펴볼 것 같습니다. 만약 진단에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저도 간혹 rapid ACTH stimulation test의 반응이 나쁘지 않은 경우 HC을 처방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환자분을 short-term F/U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adrenal crisis 환자에서 HC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prednisolone로 대체하실 수 있으며 prednisolone은 HC보다 glucocorticoid potency가 약 4배 정도 높은 약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HC 20 mg는 prednisolone 5 mg에 해당되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adrenal crisis의 경우 HC 100 mg IV를 initial에 투여한 후 100 mg를 q6h로 투여하면서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면 tapering할 수 있습니다.
환자분의 free T4 수치 등 정확한 호르몬 결과가 없어서 시작 용량을 상세히 말씀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처음 호르몬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 두 가지 약제를 동시에 처방하시면 되고 호르몬 보충 목적의 스테로이드는 hydrocortisone 제제로 처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