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게시판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2 로모소주맙 사용중인 분이 발치나 임플란트를 해야 할 때 주의 사항이나 조치사항은 없는지요?
Romo 자체가 골흡수 억제제보다는 ONJ 발생 위험이 크지 않지만 전에 BP나 denosumab을 이미 투여받았던 환자들도 있으므로 환자의 나이나 동반 질환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1 로모소수주맙에 대한 반응이 너무 좋아서 1년 치료후 BMD가 -2.5 이상으로 호전되었을때 순차치료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비급여로 alendronate 1년 치료가 좋을 것 같습니다.
10 로모소 투여 후 추가 보충해야만 권고약제는 뭔가요?
Romo 1년 치료 후 골흡수 억제제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9 romosozuamb을 MRONJ 예방 발치 전 혹은 치료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관련 보고는 없지만 아직 예방, 치료에는 적절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발생시킨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8 이베니티 급여 기준이 현재 미국 가이드라인과는 다르게 우리나라에서는 1차 약제로서 급여 적용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진료실에서 very high risk 군의 환자들에서 비급여로 사용하시는지요.
네 그렇습니다. 보험은 학회에서 더 노력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7 로모수주맙은 bone metastasis 등에 대해 별다른 이야기가 없는데 혹시 골전이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골다공증성 골절을 동반한 암환자에서 로모수주맙의 투약에서 고려할 주의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다른 환자와 차이를 둘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골전이 동반하는 경우 denosumab이나 zoledronic acid 투여 받는 경우가 있으므로 병용 투여가 되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6 국내 골형성촉진제에 대한 보험 인정기준의 제한으로 very high risk group에서도 1차 치료제로서의 romosozumab 사용이 어려운데 교수님께서는 very high risk group 환자에서 골다공증 약제 선택을 실제적으로 어떻게 하고 계시는지 어떤 환자를 very high risk group으로 여기고 처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T score -3.0 이하이면 모두 very high risk group으로 판단하시는지요?
미국내분비학회 가이드라인보다는 더 폭넓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T score -3.0 이하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골밀도 외에도 환자의 나이와 환자의 의지 등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5 현재 data들은 romosozumab을 favor하고 있고 teriparatide에서 우려가 되는 injection에 의한 compliance 문제도 romosozumab은 자유로울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전 CVD 문제만 없다면.. teriparatide가 설 자리가 있을까요?
현재 Romo는 1년만 사용해야 하지만 teriparatide는 2년 투여 후 재투여도 가능하므로 환자에 따라서는 평생동안 2약제를 모두 투여 받는 경우도 있을 것 같습니다.
4 데노수맙을 사용하다가 중단할 때 오히려 bmd가 rebound로 감소하고 골절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테리파라타이드와 로모소주맙은 사용하다가 중단 후 rebound BMD감소는 없는지요?
골형성 촉진제 중단 시 denosumab 중단과 같은 rebound는 없지만 골량은 감소하므로 골흡수 억제제의 순차 치료가 필요합니다.
3 severe HF 있는 환자에서 femur Fx 발생하였을 때 어떤 약제를 선택하는 게 좋을런지요?
HF의 원인이 ischemic 이라면 teriparatide, denosumab, zoledronic acid가 좋을 것 같습니다.
2 로모소쥬맙은 언제까지 사용가능한가요
현재로는 1년이 가능하지만 2nd course에 대한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Osteoporos Int . 2019 Dec;30(12):2437-2448)
1 Romosozumab에서 MACE가 증가되는 mechanism이 알려져 있는지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sclerostin이 vascular calcification 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J Bone Miner Res. 2022 Jan 17. doi: 10.1002/jbmr.4503.)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제54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청운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