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게시판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4 갑상선 수술후 저칼슘혈증으로 calcitriol과 calcium 제제를 드리고있는데 인산수치가 정상범주이상 나오게 되는 경우는 비타민 D는 중단하고 칼슘만 드리면서 보충하기도 하나요
칼슘과 인산 수치가 정상 범주에 해당하도록 칼슘과 비타민D를 적절하게 보충합니다.
13 urine calcium 은 1년에 한번 잴 경우 몇 이상일 경우 칼슘제제를 줄여야 할까요?
250~300mg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12 2시간 소변 칼슘 측정하는 이유 알려주세요.
칼슘 보충 시 칼슘량이 너무 과도하면 신장결석, 신장칼슘침착, 신기능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기때문에 보충 칼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측정합니다.
11 Hypoparathyroidism 환자중에서 로칼에서는 1.25oh를 잴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 25oh 만측정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경우, 25oh vit D 감소의 원인은 무엇때문일지요?
통상 체내 비타민D 상황은 25(OH)VitD로 가늠합니다. 부갑상선저하증에서는 여러 이유로 비타민D 부족이 동반됩니다.
10 24시간 칼슘량은 얼마정도를 기준으로 칼슘제를 조절하면 될까요?
250~300mg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9 갑상선 수술 후 저칼슘증 있어서 칼시트리올 써오던 환자가 임신될 때 임부금기 체크 떠서 문의오는 경우에 어떻게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임신 중 칼시트리올은 중단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모유에도 분비되기 때문에 수유 중에도 중단합니다.
8 코로나 환자 입원했을 때 칼슘이 8초반로 약간 떨어지는 경우가 좀 있었는데요 급성 감염증일때도 칼슘 낮아질 수 있나요?
급성 췌장염, 패혈증, severe illness, COVID-19 등에서 저칼슘혈증을 빈번하게 경험합니다. 원인으로는 PTH의 부적절한 분비와 calcitriol의 합성 저하, PTH의 말초 조직 저항성, 저마그네슘혈증, 그리고 각종 염증성 cytokine의 작용 등으로 생각되어 집니다.
7 idiopathic hypoparathyroidism 환자에서 genetic w/up 은 어디까지 진행하고 계시는지 이소성 칼슘 침착에 대한 w/up은 어떻게 하시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가능하면 가족력과 동반된 다른 증상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필요하면 WES을 시행합니다. 이소성 칼슘침착은 brain CT를 시행합니다.
6 Nephrocalcinosis recurrent Nephrolithisis시 무증상 저칼슘 환자에서 Ca 정상화 위한 칼슘제나 Vit D 처방이 도움이 될까요? 투약의 장단점..
신장결석이 있으면 칼슘과 vit D 용량을 최소화하는 게 좋습니다.
5 Hypoparathyroidm 환자에서 특별한 원인이 없는 anemia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특별한 원인이 있을까요?
부갑상선저하증에서 B12결핍에 의한 악성빈혈이 종종 동반됩니다.
4 부갑상선 기능저하에서 왜 칼슘레벨을 8~8.5 를 목표로 하고 8.5 이상은 하지 않나요? 그리고 칼슘 수치가 어느정도 낮고 또 어느 수치 이상일때 증상이 나타납니까?
칼슘 보충 시 소변 내 칼슘 배설이 24시간 소변에서 300mg을 초과하지 않도록 lower normal range로 유지합니다.
3 adrenal insufficiency 가 있는 경우 hypocalcemia 가 발생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기전이나 경험이 있으신지 의뢰드립니다.
Addison's disease는 고칼슘혈증의 중요한 발생 원인 중 하나입니다. Adrenal insufficiency에서 저칼슘혈증이 동반된 경우는 아직 못봤습니다.
2 Calcium 투여하면서 side effect의 monitoring을 어떤 지표를 어떤 간격으로 해야 하는지요?
칼슘을 처음 보충할 때 매일 Ca/P/iCa 등을 모니터링하면서 용량을 조절하다가 안정화되면 3달 내지 6개월 간격으로 볼 수 있습니다. 24시간 소변 칼슘을 6개월 혹은 매년 측정해서 250~300mg 이상이 되면 용량을 줄여볼 수 있습니다.
1 AKI로 고칼슘혈증 15-6정도 vit d 부족 PTH 증가로 나오다가 AKI가 호전되면서 저칼슘혈증 vit D 부족PTH 정상 경과를 거쳐 칼슘 정상화가 된 환자가 있습니다. nephrocalcinosis와 lung에도 multiple calcification이 현재 남아있는데 이 환자에서는 비타민 D 보충만으로 충분할지 석회화 진행을 막기위해 vit d도 주지말아야할지 의견여쭙습니다.
현재 칼슘이 정상으로 유지되면 칼슘 및 비타민D를 굳이 보충할 필요가 있을지 의문입니다.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제54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청운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