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게시판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Denosumab 중단 이후 rebound phenomenon을 예방하기 위해 zoledronic acid로 sequential treatment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denosumab의 사용기간 < 3년 vs. >3년에 따라 rebound phenomenon의 예방 효과가 다르다고 보고되었는데 이에 대한 기전에 대하여 보고되거나 교수님께서 생각하시는 내용이 있으신 지 궁금합니다.
사용기간이 길수록 preosteoblasts의 fooling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3 데노수맙 중단하기 3개월전에 Bisphosphonate를 비급여로 함께 쓰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근거가 없어서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이전 여러 연구들에서 Dmab 중단 이후 바로 시작한 그룹, Delayed 시작한 그룹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기에 미리 사용한 그룹에서도 차이가 없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또한 Bisphosphonate의 효과는 bone resorption이 일어나기 시작할 때 작용을 하기 때문에 오히려 너무 빠른 투여는 약효가 없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전문가들은 Dmab 이후 BPP 투여는 bone resorption이 일어나는 시기를 더욱 추천하고 있습니다.
2 Denosumab 사용 중 치과치료 예정일때 약 중단이나 alternative treatment 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Denosumab 사용하고 4~6개월 사이 발치 후, 한 달 미뤄서 7개월째 다음 Dmab으로 지속 주사치료하면 되겠습니다. 약제 중단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1 Bisphosphonate 에 side effect 있어 심한 근육통 denosumab 사용을 시작한 남성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추후 BMD 호전되어 약을 중단해야할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교수님 고견 부탁드립니다.
bisphosphonate 의 경구제제로 switch하시되 처음 2-3일간 NSAIDs를 같이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제54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청운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