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게시판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4 갑상선안병증의 예방이나 치료에 더 유익한 항갑상선약제가 있나요? 아니면 다른 치료가 더 도움이 될지요?
없습니다. 환자에게 금연하도록 하는 것이 좋고, 가벼운 경우 selenium을 처방하는 것도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63 항갑상선제를 쓰다가 관절통 및 근육통이 있을 경우 교수님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기능도 정상화되고, 약물 용량도 줄어들게 되므로 이러한 증상도 좋아집니다.
62 70세 이상 고령이면서 심장질환 등 동반질환 있는 분들 조절은 잘되지만 끊기 부담되는데요 그런 분들 저용량 장기사용해도 무방할지 아니면 6-7년 채운 다음 중단이 나을까요?
저용량으로 조절이 잘 된다면 평생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중간에 악화를 반복한다면 지체없이 파괴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61 경험적으로 몇 번 정도 재발하면 RAI나 수술 고려하시는지요?
1번 재발하는 경우는 처음 치료때와 성적이 같다는 연구보고가 있습니다. 2회 이상 재발하는 경우 약물치료로는 치유율이 감소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파괴를 고려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60 agranulocytotic fever 시에 G-CSF 사용을 해야 하는지? 그 사이에 lugol’s solution 을 사용해서 hyperthyroidism 을 해결하는지요 Antithyroid drug 없이 무엇으로 치료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루골용액과 베타차단제 등으로 증상을 완화시켜주고, G-CSF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백혈구 수가 증가됩니다. G-CSF를 사용하여도 회복기간이 단축되지는 않습니다.
59 1PTU 가 MMI 보다 potency 10 배 ~20 배로 보는지요?
PTU 1알은 MMI 1알과 효과가 같습니다.
58 그레이브스 완치 후 메티마졸 소용량으로 6개월 더 쓰면 재발율이 줄어든다는 의견에 대한 기전적인 이유는 어떻게 될지요?
항갑상선제를 장기간 사용하면 치유율이 비례해서 증가된다는 기전말고는 없습니다.
57 항갑상선제를 10년이상 평생사용해도 될까요?
문제는 없습니다.
56 Aplastic anemia가 있는 환자에서 hyperthyroidism이 새롭게 진단되는 경우 치료를 어떻게 하는지요? RAI Tx 시 bone marrow suppression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지요?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치료하면 됩니다. 단지 aplastic anemia에 의한 치료를 하다 보면 갑상선기능이 정상화되거나 치유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55 항갑상선제 저용량을 수년간 복용중인 남자분의 경우는 임신 중 기형아 발생에 별다른 문제가 없는지요?
없습니다.
54 장기간 메티마졸과 갑상선호르몬 병용의 block and replacement 로 euthyroid 상태를 지속해온 환자분들은 약제중단에 의한 재발 두려움과 갑상선 호르몬중단과 메티마졸만으로의 용량조절시 여러가지 신체변화증상을 호소하며 그냥 기존 방법을 고집하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대로 지속하는 게 좋을지 아니면 어떻게든 설득해서 약제중단이나 메티마졸 저용량 으로만 조절 되도록 노력하는게 좋을까요?
병용치료는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가능한 저용량 메티마졸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53 일시적안 백혈구감소증 vs 무과립구증 초기단계를 구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구별법은 없고, 주기적으로 관찰하시면서 환자의 증상과 CBC 검사를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52 치료 시작 1-2년 동안 mild neutropenia 500~1000 개 이상 유지된다면 다른 치료를 고려해야 할지요?
다른 치료 고려대상은 아닙니다.
51 메티마졸 사용 중 탈모가 온 환자를 본 경우도 있는데 사용 중단하면 다시 탈모가 호전될 수 있나요?
예, 좋아집니다. 단지 모발의 주기때문에 다른 증상의 호전보다는 더디게 좋아집니다.
50 강의와 조금 동떨어진 질문인데요. 2형 당뇨 환자이고 경구혈당강하제와 인슐린 60단위 이상 맞는 분이신데 24시간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 인슐린조절 혈당조절에 어려움이 있는데요. 이런 경우 어떻게 조절하시나요? 줄토피를 사용해보았지만 오히려 조절이 안되어 중단하였습니다.
basal insulin 이나 basal insulin + GLP1 agonist 로 조절이 어려운 경우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 경우는 가이드라인대로라면 premixed insulin 다회 혹은 MDI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지 생각이 됩니다. 최근 evidence 로는 basal insulin 으로 조절이 안될 경우 RT-CGM 을 사용하며 dose titration 과 LSM 을 병행시에 효과가 입증이 되어 있고 가이드라인에서도 권고하고 있어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제54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청운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