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에 CamAPS FX (CamDiab 社) 와 Minimed 770G (Metronic 社) 두 가지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둘 다 Hybrid closed loop 이며, 향후 Advanced Closed loop system 인 Minimed 780G 가 770G 에서 software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들어올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full closed loop 은 모두 연구 단계에 있습니다. 기전적으로는 제가 아는 선에서는 다른 획기적인 알고리즘을 쓴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고, 기존의 HCL 알고리즘에서 carbo counting 없이 작동 되도록 performance 를 끌어올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ual 뿐 아니라 Single hormone 에서도 full closed loop 연구들이 있기는 한데, HCL + carbo counting 을 적절히 한 것과 비교 시에 아직까지 우월성을 입증하지는 못한 상태이기는 합니다.
국내 사용 가능 APS 는 위에 답변드렸습니다. 비용은 1형당뇨병 보험 적용 시 기준으로 Minimed 770G는 기계 가격이 300만 중후반 정도이고, 이외 유지비로 주입 세트 비용이 한 달에 약 9만 원, CGM 가격 (송신기 포함) 한 달에 약 10만 원 정도 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는 cost effectiveness 분석한 major 연구는 아직은 못 본 것 같습니다. (제가 잘 모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현재 해외에서는 real world study 로 한 연구당 1만명 가까이 되는 연구들도 있을 정도로 상당수 사용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내용이 필요하고 가능도 할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만약 진행된다면 DKA/ Hypoglycemia 로 인한 입원 등의 전반적인 cost 까지도 분석에 포함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 T2DM에서 제품화된 APS는 있지가 않고, 연구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기존 대표 연구들로는 인슐린 사용하는 입원환자 대상이 있고, 또 투석하는 환자 대상 연구가 있습니다. 현재 연구 trend로 보거나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볼 때에도 모든 T2D 환자에서 APS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되고, 투석 환자와 같이 조절이 어려운 brittle 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좀 더 발전해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재 국내에 CamAPS FX (CamDiab 社) 와 Minimed 770G (Metronic 社) 두 가지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둘 다 Hybrid closed loop 이며, 향후 Advanced Closed loop system 인 Minimed 780G 가 770G 에서 software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들어올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beta blocker 로 증상 조절하면서 fu 하시고, 6주 이상 hyper인 경우 true hyperthyroidims 의 감별이 필요하다고 되어있지만, 그 이전이라도 Graves 등 hyperthyroidism 이 의심된다면, TBII, thyroid scan or Doppler US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약제를 그대로 사용한 상태로 PAC, PRA 확인합니다.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으로 나타날 정도의 primary aldosteronism 이라면 PAC>30 정도는 측정됩니다. ACEi/ARB 투약 중에 Renin 억제되어 있다면 PA 가능성이 높습니다. (PRA 가 상승하여 ARR 이 낮아져야 정상이므로), 반대로 Beta-blocker 투약 중에는 Renin 이 억제되는데 Renin 이 상승해있다면 PA 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측 실패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우측에 종양이 있는 경우, PAC> 30 이고 저칼륨혈증으로 APA 가능성이 높은 경우 우측 AVS는 실패하였으나, 좌측 AVS는 성공하고 Contralateral suppression 된다면 우측 종양이 APA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Ipsilateral lateralization index 도 정확성은 다소 낮지만 AV/IVC index >5.5 일 때 dominant nodule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AVS 가 꼭 필요한 환자의 정의가 모호한데... 수술 후 관래가 올 가능성을 생각해 보고 뚜렷한 결절이 있고 severe primary aldosteronism 이라면 연령에 관계없이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개인적으로는, 약물 치료를 먼저 시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