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게시판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9 현재 국내 사용 가능한 APS 제품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현재 국내에 CamAPS FX (CamDiab 社) 와 Minimed 770G (Metronic 社) 두 가지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둘 다 Hybrid closed loop 이며, 향후 Advanced Closed loop system 인 Minimed 780G 가 770G 에서 software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들어올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48 full closed loop system은 single hormone에서도 사용 가능한 것이지요? carbo counting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아주 획기적인데 mechanism이 어떻게 되는지 간단히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현재 full closed loop 은 모두 연구 단계에 있습니다. 기전적으로는 제가 아는 선에서는 다른 획기적인 알고리즘을 쓴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고, 기존의 HCL 알고리즘에서 carbo counting 없이 작동 되도록 performance 를 끌어올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ual 뿐 아니라 Single hormone 에서도 full closed loop 연구들이 있기는 한데, HCL + carbo counting 을 적절히 한 것과 비교 시에 아직까지 우월성을 입증하지는 못한 상태이기는 합니다.
47 1형 당뇨환자분들에게 APS 를 처방하실 때에 환자들이 비용적인 문제 때문에 어려워하지는 않습니까? closed loop 가 국내에도 판매가 되는 제품이 있습니까?
국내 사용 가능 APS 는 위에 답변드렸습니다. 비용은 1형당뇨병 보험 적용 시 기준으로 Minimed 770G는 기계 가격이 300만 중후반 정도이고, 이외 유지비로 주입 세트 비용이 한 달에 약 9만 원, CGM 가격 (송신기 포함) 한 달에 약 10만 원 정도 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46 T2D 성적이 T1D에 비해 좋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현재까지의 T2D APS 연구들은 meal announcement 를 안 하고 조절하는 algorithm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5 좀 먼 얘기인 것 같지만 인공췌장 시스템의 비용 효과 측면도 향후에는 고려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요. 혹시 관련된 연구나 의견들도 있는지요?
제가 아는 선에서는 cost effectiveness 분석한 major 연구는 아직은 못 본 것 같습니다. (제가 잘 모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현재 해외에서는 real world study 로 한 연구당 1만명 가까이 되는 연구들도 있을 정도로 상당수 사용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내용이 필요하고 가능도 할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만약 진행된다면 DKA/ Hypoglycemia 로 인한 입원 등의 전반적인 cost 까지도 분석에 포함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44 T2DM에서의 APS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의견 부탁드립니다.
아직 T2DM에서 제품화된 APS는 있지가 않고, 연구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기존 대표 연구들로는 인슐린 사용하는 입원환자 대상이 있고, 또 투석하는 환자 대상 연구가 있습니다. 현재 연구 trend로 보거나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볼 때에도 모든 T2D 환자에서 APS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되고, 투석 환자와 같이 조절이 어려운 brittle 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좀 더 발전해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3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 가능한 APS와 곧 도입될 APS에 대해 알려주십시오.
현재 국내에 CamAPS FX (CamDiab 社) 와 Minimed 770G (Metronic 社) 두 가지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둘 다 Hybrid closed loop 이며, 향후 Advanced Closed loop system 인 Minimed 780G 가 770G 에서 software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들어올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42 Thyrotoxicosis phase with Gr2 환자의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TSH<0.01 미만으로 많이 낮아져 있어도 hypothyroidism phase로 conversion되는 것을 기다리며 보통 항갑상선제를 쓰지 않으시는지 궁금합니다.
beta blocker 로 증상 조절하면서 fu 하시고, 6주 이상 hyper인 경우 true hyperthyroidims 의 감별이 필요하다고 되어있지만, 그 이전이라도 Graves 등 hyperthyroidism 이 의심된다면, TBII, thyroid scan or Doppler US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1 ICI중 Microsomal Ab가 나오면 하시모토와 감별은 어떻게 가능할지요?
Ab 가 양성이라면 갑상선 기능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ICI 유발 갑상선기능장애의 경우 하시모토 갑상선염보다는 진행이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주기적인 TFT 확인이 필요합니다.
40 primary aldosteronism의 unilateral adrenalectomy age cutoff를 어떻게 잡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다른 Comorbidity 와 Performance status 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70세까지는 CKD3이하로 떨어져 있지 않고 다른 동반질환이 없으면 수술 진행합니다.
39 혈압이 많이 높아 스크리닝 검사 전 영향을 주는 약제를 충분히 중단 하기 어려운 경우 검사는 어떻게 진행하고 해석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약제를 그대로 사용한 상태로 PAC, PRA 확인합니다.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으로 나타날 정도의 primary aldosteronism 이라면 PAC>30 정도는 측정됩니다. ACEi/ARB 투약 중에 Renin 억제되어 있다면 PA 가능성이 높습니다. (PRA 가 상승하여 ARR 이 낮아져야 정상이므로), 반대로 Beta-blocker 투약 중에는 Renin 이 억제되는데 Renin 이 상승해있다면 PA 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38 CT상 bilatetal hyperplasia 인데 SIT 확진되고 AVS상 lateralization 이 된 경우는 수술적 치료로 해야할지 medical treatment 를 해야할지요?
unilateral adrenal hyperplasia 가 드물게 있습니다. 젊은 연령이고 Contralateral suppression 까지 만족한다면 저는 수술 진행합니다.
37 Spinorolactone 부작용으로 약 증량이 어려울 때 PRA를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는 eplerenone 등의 다른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nosit 처방은 안 되므로, ARB/ACE inhibitor 를 써볼 수 있겠습니다. 2차 약제로는 amiloride 를 추천하지만 PRA 자체가 교정되기는 어렵습니다.
36 AVS가 꼭 필요한 환자에서 AVS 검사 실패 시 전략이 있을까요?
일측 실패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우측에 종양이 있는 경우, PAC> 30 이고 저칼륨혈증으로 APA 가능성이 높은 경우 우측 AVS는 실패하였으나, 좌측 AVS는 성공하고 Contralateral suppression 된다면 우측 종양이 APA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Ipsilateral lateralization index 도 정확성은 다소 낮지만 AV/IVC index >5.5 일 때 dominant nodule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AVS 가 꼭 필요한 환자의 정의가 모호한데... 수술 후 관래가 올 가능성을 생각해 보고 뚜렷한 결절이 있고 severe primary aldosteronism 이라면 연령에 관계없이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개인적으로는, 약물 치료를 먼저 시도합니다.
35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hypokalemia가 있으면서 혈압이 높아서 primary aldosteronism이 의심되는 경우에 adrenal CT를 찍었을 때 adrenal mass나 이상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primary aldosteronism에 대한 걱정은 일단 안해도 되겠는지요?
adrenal nodule 이 동반되지 않는 adrenal nodule/micronodule/hyperplasia 가 있으므로 결절이 없다고 해서 Primary aldosteronism 을 배제하기는 어렵습니다.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제54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청운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