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4 Metformin trulicity SU 함께 복용하던 중 eGFR 하락으로 metformin을 더이상 쓸 수 없을 경우 GLP1RA SU를 유지해도 보험 상으로 삭감의 위험이 없을까요?
실질적인 경험이 없어서 확실치는 않지만 Metformin을 사용할 수 없는 사유를 입력하고 사용하시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23 SGLT-2억제제의 Na배설량?
SGLT2i 사용 후 urinary sodium excretion양이 증가하지만 정확한 양은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연구마다 조금씩 결과가 달라서 약제 사용 전과 비교해 약제 사용 후 urinary sodium excretion 양이 1.1~1.4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natriuresis의 증가는 일시적으로 약제 사용 후 며칠간만 지속되고 이후에는 다시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Int J Mol Sci. 2019 Feb; 20(3): 629.)
22 갑상선암 수술 후 갑상선초음파를 오래지나고난후 로컬에서 추적할 경우 neck CT f/u도 같이 할 필요성이나 가치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Tg Ag/Ab 수치가 높지 않고 임상적으로 재발을 의심할 만한 lymph node 가 만져지는 것이 아니라면 thyroid + neck US 만으로 충분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21 PTC를 수술한 외과에서 f/u하는 경우 lobectomy 중년여성에서 TSH가 5-10 mU/L 여도 l thyroxine 투여를 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투여를 권장하시는지요?
현재 저-중간 위험군 갑상선 암 환자에서 갑상선 엽절제술 후 갑상선 자극 호르몬 목표농도 유지의 유용성 평가를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연구 가 진행 중입니다. 이 연구 결과가 나오면 TSH target 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설명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수술 후 처음 TSH 4-10 사이면서 환자가 hypothyroidism 과 관련한 증상이 없으면 short-term f.up을 하고 이후로도 TSH 가 높아 지는 추세이거나 지속적인 subclinical hyopthyroidism 상태라면 levothyroxine 을 시작을 보통 고려하고 있습니다.
20 갑상선암으로 hemithyroidectomy를 시행한 환자의 경우 Tg anti-thyroid Ab를 이용하여 추적관찰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지요?
갑상선암환자에서 재발 확인을 위한 Tg Ag 검사의 경우에는 반드시 Tg Ab 를 함께 측정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Tg Ab 가 높을 경우 Tg Ag 이 false-negative 로 낮게 나오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Hemithyroidectomy 환자에서 Tg Ab 가 독립적인 재발 예측인자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19 total thyroidectomy 후 십년 이상 문제가 없는 환자들이 고령65~70세 이상 이 될 때 유지해야 할 TSH level 의 기준을 2 이상으로 올려도 될까요?
현재 갑상선 암환자에서 나이별로 수술 후 TSH target 을 따로 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재발 소견이 없는 저위험갑상선 암 환자는 target TSH 를 낮지 않게 (subclinical hyperthyroidism 이 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고령의 심혈관 기저 질환이 있다면 TSH 4까지 (TSH 정상 상한선까지) 유지하셔도 큰 문제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8 TFT 검사 당일 씬지로이드를 복용하지 않고 채혈하는 이유가 있는지요? 상관없다고 들은 적도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혹시 메티마졸도 영향이 있는지요?
메티마졸은 영향이 없고, levothyroxine 의 경우는 복용 후 채혈하게 되면 freeT4 가 false-positive로 높게 측정되는 경우가 있어서 levothyroxine 은 채혈 후 복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17 미세갑상선암LN 전이 없으면서 10년 이상 경과된 70세 이상 환자도 tsh <2 를 계속 유지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갑상선 암환자에서 나이별로 수술 후 TSH target 을 따로 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Guideline 에서는 0.5-2.0을 유지하고 권고 하고 있지만, 재발 소견이 없는 저위험갑상선 암 환자는 target TSH 를 낮지 않게 (subclinical hyperthyroidism 이 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고령의 심혈관 기저 질환이 있다면 TSH 4까지 유지하셔도 큰 문제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6 갑상선유두암 전절제술 8년 지났다고 하시고 3년간 동네에서 씬지만 드시면서 근3년간 갑상선초음파를 못하셨다고 하시는데 가끔이라도 갑상선초음파검사를 하는게 도움이 될지 전혀 할 필요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미국갑상선학회 가이드라인에서는 Thyroglobulin Ag, Ab가 낮게 유지된다면 지속적인 초음파 추적관찰은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초음파 전에 먼저 Tg Ag/Ab 확인해 보시고 만약 수치가 상승되어 있다면 그 때는 반드시 초음파 등 추가 w.up 이 필요하겠습니다.
15 고령의 subclinical hypothyroidism 환자에서 LTx 보충해야 할 경우는 그럼 언제일까요?
충분한 기간을 두고 여러 차례 검사를 했음에도 지속적으로 TSH >10 이상 또는 증가하는 TSH 를 보이면서,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있을 경우에는 치료를 고려하여야 하겠습니다.
14 Subclinical hypothyroidism 에서 anti-thyroglobulin Ab 의의를 여쭙고 싶습니다.
Thyroglobulin Ab도 갑상선관련 항체로 갑상선 자가면역질환에서 검출되는 항체입니다. 다만, 정상인에서도 검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TPO-Ab 보다 특이도가 떨어져서 적극 권유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일부 TPO-Ab 음성인 자가면역갑상선질 환자에서 자가면역의 증거 확인을 위해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겠습니다.
13 인공관절 수술 예정인 70세 이상 환자분이 TSH 10 미만이지만 TPO Ab 양성이면서 TSH가 높아지고 있지만 10 미만인 경우 TPO Ab 음성이면서 TSH가 높아지고 있지만 10 미만인 경우 수술 전 synthyroid 보충을 하시는지요.. 마취과는 TSH를 낮춘 후 수술하라는 경우가 있어서 여쭤봅니다..
subclinical hypothyroidism은 대부분의 수술에서 수술을 미룰 금기사항에 해당하지 않아, 특별한 조치 없이 수술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질문주신 증례의 경우 T4 보충 없이 수술을 진행하셔도 무방하겠습니다.
12 갑상선 결절이 있는 subclinical hypothyroidism 의 경우 TSH 를 낮춰주는게 결절 크기의 증가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을지요?
현재 미국갑상선학회를 비롯한 모든 학회에서 양성결절에 대한 T4 억제요법은 권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결절에서는 높아진 TSH을 낮추어주면 크기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환자 개개인에 따라 결정할 수 있겠습니다.
11 65세 이상 HF Af으로 amiodarone 복용하면서 TSH 6-7 정도라면 치료 하는 게 맞을까요?
질문주신 증례의 경우 고령이고, 약제에 의한 TSH 상승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치료 보다는 경과 관찰이 적절하겠습니다.
10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무증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는 그럼 언제까지 추적검사를 해야 할까요? 현성 갑상선 기능 이상이 되거나 약물치료를 시작할 때까지 평생을 해야 할까요?
추적검사 기간은 환자가 갑상선의 질환(대표적으로 만성갑상선염)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겠습니다. 갑상선 질환의 증거가 없다면, TSH가 정상으로 회복된 이후에는 더 이상의 추적검사는 권유하지 않습니다. 다만, 만성갑상선염이 있다면 주기적(년 1~2회)으로 오랜 기간 관찰이 필요하겠습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제55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청운
  •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