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연산심포지엄 I : Targeted therapy for endocrine disorders 10월 31일(금) 09:10-10:40 |
|
|
Molecular targeted therapy for refractory thyroid carcinoma
|
가톨릭의대 내분비내과 임동준 |
|
New targets in treatment of dyslipidemia |
연세의대 심장내과 이상학 |
|
Development of novel therapeutic agent for treatment of osteoporosis |
한국약제학회 유제만 |
학연산심포지엄 II : Exploitation of Fasting Physiology to Treat Metabolic Diseases 10월 31일(금) 11:00-12:30 |
|
|
S6K2 and ketogenesis |
성균관의대 분자세포생물학교실 엄성희 |
|
Fasting regulation of FGF21 and its metabolic role |
경북의대 내분비내과 박근규 |
|
Metabolic roles of bile acid-activated nuclear receptor FXR and SHP during fasting-refeeding physiology |
서울의대 내분비내과 박영주 |
Luncheon lecture I 10월 31일(금) 12:30-13:30 |
|
|
Update on emerging nove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 focus on dapagliflozin |
성균관의대 내분비내과 이은정 |
Luncheon lecture Ⅱ 10월 31일(금) 12:30-13:30 |
|
|
Which DPP-4 inhibitors can be more suitable in various conditions of diabetes? |
가톨릭의대 내분비내과 권혁상 |
Plenary lecture I - DM 10월 31일(금) 13:30-14:20 |
|
Rexford S. Ahima 교수님께서는 미국 펜실바니아 의대에서 Institute for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내의 Obesity unit의 Director이며, Penn Diabetes Research Center의 Mouse Phenotyping, Physiology and Metabolism Core의 Director를 맡고 있습니다. Ahima 교수님께서는 비만과 관련된 에너지 항상성의 조절기전과 포도당 및 지질대사의 중추, 말초조절 연구에 주된 관심을 갖고 있으며, 특히 leptin, adiponectin, resistin 등의 아디포카인이 뇌 및 다양한 말초장기에 작용하는 기전을 밝히기 위해 transgenic mice 등을 이용한 많은 연구결과를 저명한 학술지에 발표하였습니다. 그 외에도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hepatic steatosis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기 위해 lipid droplet 단백들(perilipin, TIP47, ADRP)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 muscle physiology 와 관련되어 myostatin, IL15 등의 역할 등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이번 Plenary lecture에서는 골격근량 조절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myostatin 및 activin receptor IIB가 근육, 간 및 지방조직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Connecting obesity, myokines and metabolism”란 제목으로 발표하실 예정입니다. |
|
Connecting obesity, myokines and metabolism |
Rexford S. Ahima,Univ. of Penn, USA |
2013년도 연구본상 발표 10월 31일(금) 14:20-14:40 |
|
|
Inhibition of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in thyroid cancer using alpha-lipoic acid |
울산의대 내분비내과 김원배 |
학연산심포지엄 III :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ndocrinology clinic 10월 31일(금) 15:00-16:30 |
|
|
Big Data in Healthcare: 분산연구망을 이용한 국제공동연구 |
아주의대 의료정보학과 박래웅 |
|
인지 컴퓨팅을 활용한 의료혁신–IBM Watson for Healthcare |
IBM Korea 배영우 |
|
Future of Medical Devices and Clinical Application for Diabetes and Endocrinology Diseases |
Girish Srinvasan, Samsung Electronics, Korea |
임상시험위원회 주관 심포지엄 : Lesson from failure drug and prospect of new drug 10월 31일(금) 15:00-17:00 |
|
국내 임상시험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2년 전세계적으로도 10위의 임상시험건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약개발은 긴 시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며 극히 적은 성공률을 보여 성공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임상시험위원회에서는 당뇨병, 비만, 골대사질환 등 내분비질환 신약개발 과정에서 중단된 약제의 임상시험의 이면에 있는 이유를 분석하여 이를 기본으로 한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임상시험의 계획, 수행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합니다. 이 심포지엄에서는 특히 제약계 신약개발 경험과 내분비질환 임상시험 주도 경험을 바탕으로 한 토론을 통해 향후 임상시험이 나아갈 바를 제시하여 임상시험을 수행하거나 계획하는 연구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장우익 ㈜한독 연구개발본부장님께서는 이번 강연에서 신약개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임상시험 중단된 약물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향후 새로운 당뇨병 치료 또는 관련 약제 임상시험에 대한 전망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PPAR agonist의 성공과 논란 가운데 PPAR agonist 임상이 실패하고 glucagon receptor antagonist 및 GPR119를 비롯하여 PTP1B, DGAT1, ACC, SCD1, FTPase, TGR5, Glycogen phosphorylase, AMPK도 새로운 target으로 연구되었으나 실패하였습니다. 이런 실패와 달리 GRP 40 agonist, glucokinase activator, glucokinse activator 등 새롭게 임상에 진입하는 약제의 현황을 통해 당뇨병 약제 임상시험의 흐름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Calcium-sensing receptor antagonist가 골다공증 치료제로 임상시험 중 실패하였으나 이 계열의 약제는 다양한 골대사질환에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최한석 교수님께서는 골대사질환 임상시험 현황을 통해 향후 치료 target에 대한 전망을 제시할 것입니다. 비만치료제 역시 많은 변동이 있어 sibutramine이 2010년 시판 중단된 후 2013년 Belviq, Qsymia가 FDA 승인되었습니다. 박철영 교수님께서는 풍부한 임상시험 주도 경험을 통해 비만관련 치료제 임상시험의 과거와 향후 발전가능성을 논의할 예정이며, 권혁상 교수님께서는 최근 개발된 내분비질환 치료제의 기존 허가 범위를 넘는 새로운 치료 적응증을 위한 임상시험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향후 내분비질환 임상시험이 나아갈 바를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입니다.
|
|
Diabetes Drug Development Failure: Why? |
(주)한독 장우익 |
|
Discovery of anti-obesity drug: Focus on abandoned drugs |
성균관의대 내분비내과 박철영 |
|
Promising developments in osteoporosis treatment |
동국의대 내분비내과 최한석 |
|
New class drug, New indication |
가톨릭의대 내분비내과 권혁상 |
|
Panel discussion |
순천향의대 내분비내과 목지오 인하의대 내분비내과 홍성빈 |
학연산심포지엄 IV : Muscle in endocrinology
10월 31일(금) 16:30-18:00 |
|
|
Expression of Exercise–Induced Myokines: Preliminary Studies |
서울대 건강운동과학실 송 욱 |
|
An MG53-IRS-1 interaction disruptor enhances insulin signaling in skeletal muscle |
고려대 생명과학부 고영규 |
|
Link of quantity and quality of muscle in cardiometabolic risk |
서울의대 내분비내과 임 수 |
추계심포지엄 : Breakfast symposium
11월 1일(토) 07:00-07:30 l 홀리데이인 컨벤션홀 2(3F) |
|
|
Considerations for T2DM treatment in elderly patient |
조선의대 내분비내과 김상용 |
Symposium - Lipid & Obesity - Target for cardiometabolic intervention 11월 1일(토) 09:50-11:20 |
|
비만과 당뇨병을 포함하는 지질대사이상은 지난 수 십 년간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초 및 임상연구도 꾸준히 발전해왔습니다. 금번 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의 "Lipid & Obesity" session 에서는 비만과 당뇨병 및 이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새로운 치료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Biologic marker 를 정리해보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Target for Cardiometabolic Intervention" 이라는 주제로 세 분의 저명한 연자를 모셨습니다. 첫 번째 연자인 울산과기대 최장현 교수님께서는 PPAR-r 를, 두 번째 연자인 조선의대 김상용 교수님께서는 Adipokine을 중심으로 하여, 심혈관질환과 지질대사이상의 공통적인 병인을 설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치료법의 최신지견을 소개할 예정이며, 세 번째 연자인 아주의대 이관우 교수님께서는 근육조직에서 관찰되는 지질대사이상 및 지질독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에 대해 소개하시겠습니다. |
|
PPAR-r |
울산과기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최장현 |
|
Leptin resistance : a potential target for cardiometabolic disease
|
조선의대 내분비내과 김상용 |
|
Lipotoxicity in muscle |
아주의대 내분비내과 이관우 |
Osteoporosis FACT SHEET
11월 1일(토) 12:00-12:20 |
|
|
Osteoporosis FACT SHEET |
경희의대 김덕윤 |
Luncheon lecture Ⅲ 11월 1일(토) 12:20-13:20 |
|
|
Optimizing Glycemic Control with New Zemimet SR |
성균관의대 내분비내과 박철영 |
Plenary lecture II - Adrenal 11월 1일(토) 13:20-14:10 |
|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은 부신의 종양이나 증식증에 의해 다량의 알도스테론이 분비되는 질환으로 이차성 고혈압의 대표적 원인질환입니다.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환자에서 원인 감별은 치료 결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일부 환자에서는 알도스테론증과 무관한 비기능성 종양의 동반 발생으로 영상 진단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치료 결정을 위해 보다 정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본 세션 연자는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을 포함한 다양한 부신질환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를 발표하셨고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가지고 계시며, 내분비 교과서 집필자이기도 하신 서울의대 김성연 교수님이십니다. 이 번 강연에서는 그간의 임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에서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의 진단과 치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소개해 주실 예정입니다. 이 강연을 통해서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에 대한 접근방법, 진단, 치료 및 관리에서 중요한 이슈들에 대해 정리하고 최신 지견을 습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
|
Primary Aldosteronism in Korea: Past, Present and Future |
서울의대 내분비내과 김성연 |
Symposium - Diabetes : Perspective of future diabetes management 11월 1일(토) 14:10-15:40 |
|
첫 번째 발표는 ‘유전체검사를 통한 당뇨병의 개인별 맞춤치료– 가능할 것 인가?’로 연세의대 강은석 교수님께서 맡아 주셨습니다. 미래에는 당뇨병환자의 관리에 있어서 Preventive, Predictive, Participatory, Personalized도 언급되는 4P의 개념이 중요하게 될 것이며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인 당뇨병에서의 약물유전체학은 향후 환자 별 개별맞춤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이론적인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강의에서는 당뇨병 분야에서의 약물유전체 연구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두 번째 발표는 성균관의대 김재현 교수님께서는 발표 제목은 ‘줄기세포의 당뇨병 완치- 환상인가 희망인가?”입니다. 배아줄기세포 2007년, 역분화만능줄기세포 2012년 노벨상 수상자 배출,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체세포를 이용해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 등 희망적인 소식들이 들리는 2014년도에도 1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인슐린 주사와 스트립을 처방하는 임상의사 관점에서는 아직도 줄기세포 치료가 현실로 다가오지 않습니다. 본 강의에서는 지난 10여년의 당뇨병 관련 줄기세포 연구의 발자취와 희망을 실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세 번째 연자는 성균관의대 박철영 교수님으로 ‘1,5-anhydroglucitol, Glycated albumin을 포함한 non-traditional glycemic marker’입니다. 지금 대부분의 당뇨병 관리 가이드라인에는 당뇨병 조절 지표로 HbA1c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소개되고 있는 HbA1c 이외의 혈당조절 지표들은 1,5-anhydroglucitol, Glycated albumin, fructosamine 들이 있으며, 이들 지표들은 비교적 단기간의 혈당 조절 상태를 반영하며 glucose variability 를 반영하기도 합니다. 이런 표지자들은 HbA1c의 여러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으며 관리하는 의료진에게 많은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 강의에서는 각 지표들의 유용성 및 실제 임상적용에 대한 가능성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
|
유전자 검사: 당뇨병 예방과 맞춤 치료 가능한가? |
연세의대 내분비내과 강은석 |
|
줄기세포의 당뇨병 완치 - 환상인가 희망인가? |
성균관의대 내분비내과 김재현 |
|
1,5-anhydroglucitol, Glycated albumin을 포함한 non-traditional glycemic marker |
성균관의대 내분비내과 박철영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