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4 폐경 전 여성에서 Z-score가 -2.0으로 낮은 가운데 임신, 수유를 거치면서 multiple L-spine fracture가 동반되어 온 경우에도 추가 치료가 필요 없을지요? Bisphophonate, Denosumab, Teriparatide 등의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지요?
임신과 수유와 관련된 골다공증의 경우 근거가 많지 않고 자연 회복된다는 점에서 치료에 대한 내용은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겠습니다. 골절이 있는 경우라면 비스포스포네이트, 데노수맙, PTH 등을 사용해 볼 수는 있겠습니다.
23 폐경 전 여성에서 Z score 가 -2.0 이하인 경우, MM 나 cancer metz 등의 경우가 아니라면 Vit D, Ca replace 외에 어떤 다른 치료가 가능할지요?
다른 질병이 관찰되지 않고 골절이 없다면 보존적 용법으로 골밀도 추적 관찰하시면 되겠습니다.
22 T3 제재 복용 시 TFT 적절한 검사 시간이 있나요?
T3 복용 후 혈중 level이 2-4시간 이후 peak에 도달하므로 복용 전 혈액검사를 해야 합니다. T4도 역시 복용 후 약 25% 정도 T4 농도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반드시 혈액검사 후 복용해야 합니다.
21 LT4를 T4+T3로 약제를 변경하려면 용량을 어떻게 변환해서 사용해야 하나요?
2012 ETA guideline에 계산 방법이 나오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흔히 사용하는 용량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T4 100ug → T4 88 ug + T3 2.5 ug bid T4 125 ug → T4 100ug + T3 2.5-5ug bid T4 150 ug → T4 125 ug + T3 5ug bid
20 지속적으로 subclinical hyperthyroidism 을 유지하는 것이 심장이나 뼈에 문제는 없을까요? TT 후 TSH target과 다르게 접근해야 할까요?
환자의 나이와 risk factor를 고려해야만 하고 아직 T4+T3 병합요법에 의해 TSH가 약간 억제되는 경우에 심혈관질환이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 장기간의 RCT 및 부작용 평가로 확인이 필요하며 고령, 폐경 후 여성, 심혈관질환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부작용 관찰이 반드시 필요하겠습니다.
19 microsomal Ab이 정상 수치로 회복되는 경우 Tx 중단하고 볼 수 있을까요?
anti-TPO antibody의 titer와 질환의 activity가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므로 anti-TPO antibody가 negative이고 저용량의 T4로 갑상선기능이 정상으로 유지된다면 T4중단을 시도해 볼 수 있으나 갑상선 초음파 소견도 같이 참고하여 갑상선의 정상적인 실질이 어느 정도 보존되는지 확인이 필요하고, 염증이 심한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T4를 중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18 Total thyroidectomy를 받은 환자에서의 T3+T4 combination 치료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그리고 Hypothyroidism으로 f/u 하는 환자에서 Free T4, TSH 외에 T3 를 regular F/U 하는 것이 필요할까요?
Total thyroidectomy를 하신 athyrotic 환자에서는 T3 생성이 전적으로 T4의 peripheral conversion에 의존하므로 더 저하증 증상을 호소할 가능성은 있으나 하시모토병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도 residual thyroid reserve or residual thyroid function이 없는 환자는 병합치료에서 다를 바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저하증 환자 FU 시 T3 FU이 큰 의미는 없지만 실제 임상 진료 시에 대부분 T3를 같이 평가하고 Free T3도 검사하기도 합니다.
17 hypothyroid symptoms 호소하는 환자분 대부분은 TFT는 normal한 상태에서 호소하는 걸까요?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TSH 억제되어 있는 분들도 피곤함을 호소하시므로 TFT 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것이 문제입니다. T3 level이 낮지는 않은지도 확인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16 T4를 사용하던 환자에서 필요에 의해 T3를 add 할 때 어떤 용량으로 조절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012 ETA guideline에 계산 방법이 나오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흔히 사용하는 용량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T4 100ug → T4 88 ug + T3 2.5 ug bid T4 125 ug → T4 100ug + T3 2.5-5ug bid T4 150 ug → T4 125 ug + T3 5ug bid
15 Graves에서 발견된 microPTC는 total을 하는게 좋지만 이미 반절제된 경우는 추가 수술울 고려하시나요?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PTC도 보통의 경우와 예후가 같기 때문에 같이 취급하고 있습니다.
14 cytology 결과가 suspicious malignancy인 경우, PTC confirm 된 경우와 AS 할 때 차이가 있을지요? 아무래도 suspicious malignancy 가 risk 가 낮지 않을지요?
그러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렇다고 해서 추적 방식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겠습니다.
13 benign nodule인 경우에도 주기적인 thyroid sono f/u 이 필요할까요?
FTC의 경우에는 FNA 또는 CNBx에서 benign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런 경우라도 주기적인 추적은 필요합니다. 다만 추적 기간을 길게 하면 됩니다.
12 실제 임상에서의 AS 중의 progression의 정의를 그럼 3mm로 하시나요? 아니면 volume increase로 하시나요?
뚜렷한 증거를 찾기 전에는 3mm로 하는 것이 무난할 것으로 사료되어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11 High risk cytology는 어떻게 판단하시는지요?
그것은 병리 의사의 경험이 아주 중요한데, 일본의 보고에 의하면 10명에 한 명 이하의 비율로 발견된다고 하는데 제 경험으로는 아직 FNA에서 high risk PTC를 발견한 사례는 없었습니다.
10 active surveillance 하게 되면 f/u 간격은 어떻게 되나요? neck sono 뿐만 아니라 CT f/u도 중요할까요?
보통 첫 1-2년은 6개월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 추적이 권고됩니다. 그 후 변화가 없다면 1년에 한 번으로 충분합니다. Neck CT는 처음 시작 전에 림프절 전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한 번은 시행하는 것이 좋으마 그 후의 F/U에는 필요 없을 것으로 사료되며 chest CT는 양성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너무 적어서 시행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제 19회 분과전문의 준비사무국
  • E. info@planbear.co.kr / T. 02-6734-1011 / F.02-6734-1009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