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55-09:00 |
개회사 |
대한내분비학회 이사장 |
사회: 김경수(차의과학대) |
Fundamental and meeting unmet clinical needs in mass spectrometry |
좌장: 유순집 (가톨릭의대), 최만호 (KIST) |
오믹스 연구의 핵심기술로서 그 중요성이 검증된 질량분석법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임상전문가로서 중개연구의 디자인과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PG Course에서는, 어떻게 질량분석법이 생체분자의 분석에 탁월한 결과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원리와 해당 기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임상시료의 채취 및 관리에 대한 강의를 서강대 화학과 오한빈 교수와 중앙대 약학과 한상범 교수가 준비하였습니다. 이러한 기본 원리들을 기반으로 주요 내분비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steroidogenesis의 평가 기술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만호 박사가 발표하겠습니다. 마지막 강의는 성균관의대 진단검사의학과의 박형두 교수가 연구기술로서의 질량분석법을 임상현장으로 도입하기 위한 전략과 운영 실례를 공유함으로써, 본 세션에서는 “학문으로서의 질량분석법뿐만 아니라 중개연구를 통한 최종 임상현장에서의 활용”까지의 과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
09:00-09:25 |
질량분석법 기초 이론 |
오한빈 (서강대 화학과)
|
09:25-09:50 |
임상시료 미량분석을 위한 시료 관리 |
한상범 (중앙대 약학과)
|
09:50-10:15 |
임상시료 내 steroidogenesis 평가 기술 |
최만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10:15-10:40 |
임상검사실에서의 질량분석법 도입과 운영 |
박형두 (성균관의대 진단검사의학과)
|
10:40-10:50 |
Break |
|
|
Pituitary & Adrenal gland |
좌장: 이은직 (연세의대) |
최근 들어 건강검진이 일반화되면서 다양한 영상검사를 통해 이전에 알지 못했던 이상 소견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신 우연종도 그중 하나로 대부분 비기능성 종양의 가능성이 높으나 때로는 호르몬 과다 분비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도 종종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부신 우연종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치료 계획 수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2020년도에 Pituitary Society에서 말단비대증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개정되면서 최근 개발된 신약에 대한 데이터와 처방 권고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최근 들어 다른 뇌하수체 종양에 대한 몇몇 내과적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어 이를 소개해드리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
10:50-11:15 |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an adrenal incidentaloma |
김효정 (을지의대)
|
11:15-11:40 |
New drugs for pitutiary diseases |
구철룡 (연세의대)
|
11:40-12:05 |
Q&A 및 Panel Discussion |
패널: 하정훈 (가톨릭의대), 임정수 (연세원주의대)
|
12:05-12:45 |
Lunch Break |
|
|
Diabetes |
좌장: 박경수 (서울의대) |
당뇨병 환자의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다양한 당뇨병 치료제가 개발되고 임상 적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당뇨병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imeglimin은 당뇨병 발생 및 조절에 관여하는 미토콘드리아에 작용하는 약제로 다양한 임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뇨병 치료제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인슐린 역시 주 1회 투여가 가능한 기저 인슐린이 개발되어 임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강의에서 새로운 치료제들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SGLT2 억제제는 혈당 조절 효과 이외에도 혈압 및 체중을 감소시키고 저혈당 위험이 낮은 특성으로 주목받아왔는데 최근 심부전의 악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주어 그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사구체여과율 감소를 억제하고 단백뇨를 감소시키는 신장 보호 효과도 보이면서, 약제를 투여할 수 있는 신기능의 하한점이 지속적으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두 번째 강의에서 SGLT2 억제제의 신기능 보호 효과와 사구체 여과율의 하한점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12:45-13:10 |
Future game changer in diabetes [weekly basal insulin (icodec) and imeglimin] |
홍준화 (을지의대)
|
13:10-13:35 |
SGLT2 inhibitor in chronic kidney disease, where is the lowest limit of eGFR? |
김신곤 (고려의대)
|
13:35-14:00 |
Q&A 및 Panel Discussion |
패널: 한승진 (아주의대), 구유정 (충북의대)
|
14:00-14:10 |
Break |
|
|
Thyroid |
좌장: 송영기 (울산의대) |
갑상선암을 포함하여 갑상선 종양은 다른 종양성 질환에 비하여 쉽게 진단되고 일반적으로 양호한 예후를 보입니다. 그러나 일부 갑상선암의 경우 방사성요오드 불응성을 나타내고 수술 및 방사성요오드 치료 등의 반복에도 진행성 암으로 발전하여 악성 예후를 보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감별 진단 및 맞춤형 치료 전략이 요구됩니다. 흔히 만날 수 있는 갑상선 결절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드문 진행성 갑상선암의 치료 방침에 대한 전문 지식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갑상선 결절의 감별 진단과 진행성 갑상선암의 관리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분자적 진단과 표적치료제의 적용과 관련하여 각 분야 전문가의 강의와 패널 토의를 통하여 심도 있게 살펴볼 예정입니다. |
14:10-14:35 |
Best treatment option for RAI-refractory advanced thyroid cancer |
전민지 (울산의대)
|
14:35-15:00 |
How to adopt the molecular testing in thyroid nodule diagnosis |
조선욱 (서울의대)
|
15:00-15:25 |
Q&A 및 Panel Discussion |
패널: 신동엽 (연세의대), 김경진 (고려의대)
|
15:25-15:35 |
Break |
|
|
Bone metabolism |
좌장: 정윤석 (아주의대) |
다양한 골다공증 약제들이 현재 임상에서 사용 중입니다. 가톨릭의대 백기현 교수가 이러한 다양한 골다공증 약제들의 기전과 작용을 최신 지견과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해 주실 예정입니다. 데노수맙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달리 골에 잔존 효과가 없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따라서 이 약제는 적절한 계획 없이 중단하면 안 됩니다. 고신의대 김부경 교수가 데노수맙 중단을 고려할 때의 적절한 전략에 대하여 명쾌하게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부디 여러 선생님들 진료와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익한 강의가 되었으면 합니다. |
15:35-16:00 |
Mechanisms and therapeutic effects of osteoporosis medications |
백기현 (가톨릭의대)
|
16:00-16:25 |
Management strategies after discontinuation of denosumab |
김부경 (고신의대)
|
16:25-16:50 |
Q&A 및 Panel Discussion |
패널: 홍상모 (한양의대), 김경민 (연세의대)
|
16:50-16:55 |
폐회사 |
대한내분비학회 수련이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