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프로그램

시간 내용 연자
08:30-08:55 등록  
08:55-09:00 개회사 대한내분비학회 회장
사회: 김경수
(차의과학대)
갑상선 좌장: 강호철 (전남의대), 윤석기 (천안 엔도내과의원)
패널: 김경진 (고려의대), 송민수 (이수병원)
본 세션은 개원의의 입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갑상선 질환의 최신 지식에 대하여 두 개의 강의와 깊이 있는 패널 토의로 구성하였습니다. 먼저 갑상선 결절의 감별진단에 대해 가톨릭의대 임동준 교수가 강의할 예정입니다. 초음파검사 결과 판독 체계의 표준 지침이 지속적으로 개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신 K-TIRAD 지침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진료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두 번째 강의는 차의과학대 임창훈 교수가 임신/출산 후 갑상선기능이상에 대해 다양한 증례와 함께 발표할 예정입니다. 임신부의 갑상선 질환 관리는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중요하며 환자들의 관심 또한 매우 높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오랜 임상 경험과 다양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환자 진료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였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09:00-09:15 새로운 결절의 감별진단: 새로운 K-TIRAD 활용법 임동준 (가톨릭의대)
09:15-09:30 Q & A 및 Panel Discussion  
09:30-09:45 임신/출산 후 갑상선 기능이상의 다양한 증례 임창훈 (차의과학대)
09:45-10:00 Q & A 및 Panel Discussion  
10:00-10:10 Coffee break  
  골대사 좌장: 정윤석 (아주의대), 박희백 (델포이내과의원)
패널: 김경민 (연세의대), 김군순 (대전 엔도내과의원)
골다공증은 만성질환으로 환자의 전 생애 동안 장기적이고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이번 개원의 연수강좌에서는 골다공증 치료제의 선택과 지속, 변경 및 휴약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내용을 위주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먼저 골다공증 치료제가 다양해지면서 골다공증 약제의 처음 선택이 이전보다는 어려워진 것이 사실입니다. 울산의대 김하영 교수가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골다공증 약제의 처음 선택에 대하여 명쾌하게 정리해 주실 예정입니다. 다음으로 복잡하고 고려할 사항이 많은 골다공증의 치료제의 지속, 변경 및 휴약에 대해 가톨릭관동의대 김세화 교수님께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증례 소개와 함께 강의를 해 주실 예정입니다. 부디 여러 개원의 선생님들 진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익한 강의가 되었으면 합니다.
10:10-10:25 골다공증 치료제의 처음 선택, 어떻게 할까? 김하영 (울산의대)
10:25-10:40 Q & A 및 Panel Discussion  
10:40-10:55 골다공증 치료제의 지속, 변경 및 휴약, 어떻게 할까? 김세화 (가톨릭관동의대)
10:55-11:10 Q & A 및 Panel Discussion  
11:10-11:20 Coffee break  
  부신/뇌하수체 좌장: 이은직 (연세의대), 하승우 (하승우내과의원)
패널: 노은 (한림의대), 정의달 (대구엔도내과의원)
최근 고혈압 환자가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단순한 고혈압이 아닌 내분비내과적 기저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2차성 고혈압이 원인인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의심할 수 있는 여러 원인들 중에서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의 기초와 진료에 활용하기”의 제목으로 여러 개원의 선생님들께서 실제 진료 현장에서 적용하실 수 있는 검사 및 치료법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또한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2차성 무월경이 의심되는 환자들이 최근 늘어나고 있고 이들 환자들 중에서 산부인과보다는 내분비내과의 관리를 받아야 하는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됩니다. “이차성 무월경 환자의 내분비적 접근법” 강의를 통해 이런 환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법을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11:20-11:35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의 기초와 진료에 활용하기 임정수 (연세원주의대)
11:35-11:50 Q & A 및 Panel Discussion  
11:50-12:05 이차성 무월경 환자의 내분비적 접근법 이혜진 (이화의대)
12:05-12:20 Q & A 및 Panel Discussion  
Luncheon Lecture 좌장: 박석오 (박샘내과의원)
12:20-12:40 한국 당뇨병 환자 치료 전략, DPP4i 최신 연구 구유정 (충북의대)
12:40-13:00 TIR의 임상적 의의와 2세대 기저 인슐린의 최신 비교연구 최종한 (건국의대)
  Special Lecture (필수 과목 연수교육) 좌장: 김병준 (가천의대)
13:00-13:30 당뇨병 환자에서의 COVID-19 예방과 치료를 중심으로 시혜진 (가천의대 감염내과)
13:30-14:00 인공지능 시대의 의료 윤리 박소연 (경희의대 의학교육 및 의인문학교실)
14:00-14:10 Coffee break  
  당뇨병 좌장: 원규장 (영남의대), 한정훈 (프렌닥터한내과의원)
패널: 홍준화 (을지의대), 신동우 (늘편한신내과의원)
최근 당뇨병 치료의 주요한 변화는 당뇨병에 동반된 합병증을 고려한 약제 선택일 것입니다. 특히 심혈관 질환을 동반한 환자에게는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GLP-1 제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GLP-1 제제는 경구혈당강하제와 비교하여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 및 낮은 저혈당 발생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2제 혹은 3제 병합요법에도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GLP-1 제제를 진료실에서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해 드리고자 합니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CGM, 연속혈당측정)은 1형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인슐린을 사용하는 2형당뇨병 환자에게도 임상적인 유용성이 입증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경구혈당강하제를 사용하는 2형당뇨병 환자를 비롯한 다양한 상황에서도 유용성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CGM을 진료실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본 세션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당뇨병 치료를 확인하시어 여러 선생님들 진료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4:10-14:25 GLP1 주사제의 올바른 사용 임수 (서울의대)
14:25-14:40 Q & A 및 Panel Discussion  
14:40-14:55 진료실에서 CGM 활용하기 김광준 (연세의대)
14:55-15:10 Q & A 및 Panel Discussion  
15:10-15:20 Coffee break  
  이상지질혈증/성선/지방간 좌장: 유순집 (가톨릭의대), 이성근 (이샘병원)
패널: 홍상모 (한양의대), 문성수 (나사렛종합병원)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이상지질혈증 환자들을 관리하다 보면 죽상경화반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를 많이 만나게 됩니다. 이러한 죽상경화반을 호전시키는 전략에 대해 중앙의대 순환기내과 원호연 교수가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한 흔히 만나게 되지만 정확하게 알기 어려웠던 남성호르몬저하증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명지병원 이재혁 교수가 명쾌하게 정리해 줄 예정입니다. 지방간 역시 너무나 흔하게 만날 수 있지만 환자와 의료진 모두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원가에서 할 수 있는 지방간 환자의 검사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연세의대 이용호 교수가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 세션을 통해 이상지질혈증, 성선, 지방간에 대한 모든 내용을 한눈에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15:20-15:35 죽상경화반 호전시키는 전략은? 원호연 (중앙의대 순환기내과)
15:35-15:50 Q & A 및 Panel Discussion  
15:50-16:05 남성호르몬저하증의 진단과 치료 이재혁 (명지병원)
16:05-16:20 Q & A 및 Panel Discussion  
16:20-16:35 개원가에서 할 수 있는 지방간 환자의 검사 및 관리 방법은? 이용호 (연세의대)
16:35-16:50 Q & A 및 Panel Discussion  
16:50-16:55 폐회사 대한내분비학회 이사장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2년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청운
  •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