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19 당뇨환자 중 지방간 있을 시 TZD, SGLT2i, GLP-1RA 3제 요법으로 사용하기도 하시는지요?
보험문제 등으로 3제 조합까지는 사용해보진 못하고, 주로 sglt2-glp or sglt2-tzd 이런 조합을 사용했었습니다. 아주 심한 NASH에 혈당조절이 안되는 사람이라면 고려가능하겠지만, 비용 등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118 지방간의 흔한 사망원인으로 말씀하신 암 중에서 간암을 제외하고 특별히 많이 발생하거나 관련있는 암이 있는지요?
과거 논문을 보면, 대장암 등이 많이 발생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결국 비만 연관 암등이 증가하는 경향입니다
117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혹시 교수님께서는 LFT증가시 소화기 내과 협진 없이 간섬유화 스캔 및 FIB4 NFS 시행하시는지요?
네, 내분비나 일반진료 시 다 가능할 것 같고, 이후에 검사상 F2이상 나올 경우 간전문의 협진을 고려하시면 되겠습니다
116 인슐린저항성이 높은 비만한 당뇨병 환자에서 NAFLD 치료 목적으로 이론적으론 TZD가 좋으나 체중 증가가 문제입니다. SGLT2i나 GLP-1 RA와 같은 체중 감소가 가능한 약이 더 선호되는데 실제 어떤 경우에 TZD를 선호하시나요?
TZD 의 염증 개선이나, 섬유화 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fibrosis 가 심한 당뇨병 환자에서 좀더 고려를 하고 있습니다. BMI35 이상 같이 심한 비만 일 경우에는 GLP1 을 먼저 선호하는 편입니다
115 TZD의 체중증가 심부전 악화 이슈에 관하여 실제 외래에서 당뇨병의 지방간이 확인된 경우 많이 처방하고 계신지요?
심부전이 임상적 또는 심초음파 등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지만, 일반적으로 당뇨병-NASH 있는 경우 tzd고려하고 있습니다.
114 1차 의료기관에서 경동맥 초음파를 많이 하게 되는데 현재 보험 기준으로는 증상이 있는 죽상 경화반의 경우에만 LDL 100 이상일 경우에만 statin 이 급여가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증상이 없는 죽상 경화반이 있는 경우는 LDL target 은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LDL target 을 낮게 잡을 경우 비급여로 약제 처방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국내 진료지침에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고위험군인 경동맥 질환은 '유의한 협착이 관찰된 경우'로 주로 50% 이상의 협착이나 고위험 동맥경화반의 성상이 있을때를 말합니다.
113 Stenosis 가 어느 정도에서부터는 항혈소판제를 추천하시는지?
주로 50% 이상의 협착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50% 미만이라도 CT등에서 불안전성 플라크의 형상이 관찰되면 항혈소판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112 근육통 등 스타틴 부작용 때문에 사용 하기 어려울때 에제티메브 단독 사용으로 LDL-C 낮출수 있는지요? 에제티메브 단독 제제 찾기 어려운것 같슴니다
에제티미브 단독 제제가 나와있으며 단독으로는 LDL-C를 평균적으로 19%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11 항혈소판제 사용도 도움이 되나요? Aspirin plavix cilostazol 등등
동맥경화성 병변이 없거나, 고위험군이 아니라면 항혈소판제 사용은 일차 예방을 위해서는 권고되지 않습니다.
110 혈중 콜레스테롤이 정상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위험도가 적으면서 우연히 시행한 경동맥이나 관상동맥CT에서 경도 협착을 보일 때 스타타을 어떻게 사용하시는지요?
경도의 협착이라면 위험도를 고려하여 LDL-C이 목표치 미만이라면, 경과관찰합니다.
109 당뇨 없고 흡연 남자 45세 이상의 환자에서 [다른 위험인자 없을 때] 국내 가이드 라인은 LDL-C을 130 이하로 낮추도록 되어 있는 데 이 경우라면 statin을 써서 110 정도로 낮췄다면 적절한 치료 인지요?
네, 적절한 치료입니다.
108 intramural thickening은 의미가없는 소견이지 궁금합니다
IMT(Intima media thickness) 증가는 동맥경화성 병변의 연관성은 예전에 비해 낮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IMT 증가도 일종의 고혈압 합병증으로 여겨질 수 있어 아예 의미가 없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107 DM neuropathy에서 alpha lipoic acid나 gamma linolenic acid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위 약물과 statin과 병용하면 dyslipidemia 치료에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두 약물의 병합 요법이 dyslipidemia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합니다.
106 Plaque를 발견했으나 LDL Chol 이 90~100사이인 경우 고용량의 스타틴을 사용하시는지?
Carotid Plaque이 risk modifier로 유럽 진료지침에서 Class IIa,B로 권고하고는 있으나, Plaque의 성질이나 크기에 대한 기준이 없습니다. 보통 50% 협착을 말초 혈관 질환으로 보아, 기저질환과 위험도를 고려하여 LDL-C 목표치를 정하여 치료합니다.
105 carotid sono하다보면 subclavian artery도 함께 보는데 subclavian IMT는 몇 mm까지 정상으로 보는지요? coronary IMT와 똑같은 기준으로 봐야 하는지요?
소규모 연구에서 carotid IMT와 subclavian IMT의 cut-off value는 같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정립된 수치는 없습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2년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청운
  •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