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04 현재 우리나라 보험 기준상 로수바스타틴 40mg까지도 보험이 되는지요?
국내에서는 로수바스타틴 20mg까지 허가가 되어있습니다.
103 IMT FU 하면서 진행하는 경우 cilostazol -> aspirin -> clopidogrel 사용하는 것이 evidence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IMT증가 자체가 항혈소판제 사용의 적응증은 아닙니다. 단, 경동맥을 포함하여 유의한 뇌혈관 질환의 협착이 동반된다면, 항혈소판제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02 불안정한 플라크의 위험도는 럽쳐되어 뇌혈관경색을 일으키기 때문이지요?
불안정한 플라크등으로 인한 동맥경화성 뇌졸중도 전체 원인의 40%정도 된다고 합니다.
101 고용량 스타틴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고용장-일상용량으로 번갈아 치료하는 것 차이가 있을까요?
치료의 지속성을 고려해 볼 때 일반적으로 용량을 변경하여 번갈아 치료하는 것은 권유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100 스타틴 부작용 관련 사용 중 CPK 상승되는 등 근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어떤 접근을 하시는지요?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없을 때에는 추적관찰 하지 않고, 근증상이 있거나 근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CPK가 정상의 10배 이상 증가된다면 중단하거나 감량해보고 그렇지 않다면 단기 추적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99 LDL은 양호하나 non-HDL-C apoB 또는 TG가 높은 경우에도 fibrate나 omega-3 FA가 아닌 statin 치료가 CV risk 감소에 더 evidence가 있는지요? LDL은 양호하나 non-HDL-C apoB 또는 TG가 높은 경우 statin을 처방해서 CV risk를 낮춘다는 것이 연구에서 입증된 바가 있는지요?
스타틴 치료 환자에서 LDL이 낮더라도 ApoB가 높거나 non-HDL C가 높은 분들은 사망율과 심근경색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LDL 양호하나 non HDL-C가 높은 경우 스타틴의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미미한 것 같습니다.
98 경동맥에서 IMT 증가는 동맥경화에 의한 것이고 경화반/협착은 죽상경화에 의한 것으로 기전이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①단순히 IMT 증가가 심해져서 경화반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알고 있는데 맞는지요? ②동맥경화는 대동맥과 같이 큰 혈관에서 발생해서 stiffness를 증가시킨다고 알고 있는데 작은 혈관인 경동맥/관상동맥에도 동맥경화가 발생할 수 있는지요?
① IMT 증가는 연령 및 고혈압과 관련되어 발생하며 동맥경화성 병변과 무관하게 생기기도 합니다. ② 경동맥/관상동맥 등 소동맥에서도 동맥경화는 발생하여,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을 유발합니다.
97 교수님 코로나 접종후 에 혈당이 악화되는 수도 있는데 아까 강의에서는 코로나 걸린후에도 혈당이 악화 되던데 정반대의 이론같은데 각각 어떻게 해서 혈당이 오르게 될까요?
두가지 다 가능합니다. immune modulation에 의한 개개인의 반응이 다르게됩니다.
96 혈당이 400 전후인 경우에도 코로나 접종을 해도 될까요? 접종 가능한 혈당수치는 어느정도 까지일까요?
혈당수치로 코로나 접종을 제한하지 않습니다.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들이 감염시 위중증이나 사망으로의 진행이 많기 때문에, 혈당이 높더라도 백신을 인슐린등으로 적극적 혈당 조절 권고드립니다.
95 코로나 확진 후 자가격리 해제된 환자로 호흡곤란으로 응급실 내원하였고 내원 시 격리 해제 7일째이며 PCR검사 ct값 2.7이며 CXR상 폐렴으로 확인된 경우 remdesivir 투여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최근 기준이 변화되어 격리해제 부적절이 담당 보건소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격리해제 부적절로 인정되고 코로나 폐렴이 확인된다면 투약은 가능합니다.
94 팍스로비드 처방시에 해열제나 기침약은 처방하지 않습니까?
증상 조절을 위한 다른 약들은 적극적으로 처방 하는 편입니다.
93 팍스로비드시 스타틴은 심바로바 외엔 다른 스타틴은 고위험심혈관자들은 어떻게 조절해주어야하나요? 병용금기약들은 간수치상승때문에 중단하는것인지요?
병용금기약들은 약제의 작용기전때문에 중단하게 됩니다. 다른 스타틴은 금기로 나오지 않으나 저는 개인적으로 acute infarction등의 필수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5일 복용동안은 중단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92 갑상선 기능의 이상이 심해지는 경우를 보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cytokine 이나 immune modulation에 의한 기저질환의 악화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91 ARR 결과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이 의심되는 환자인데 CRF나 ESRD를 동반하고 있어 saline loading test가 부담스러운 경우 어떠한 확진검사를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spontanenous hypoK, aldosterone 20 ng/dL 이상이면서 renin이 억제된 경우 확진검사를 skip하실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해주시고 그외 fluid overload가 염려되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saline loading test 대신 captorpril challenge test를 활용해보실 수 있겠습니다.
90 ARR 이 cut off 에 약간 못미치게 음성으로 나왔지만 spirolactone 을 썼을때 혈압저하의 효과가 좋다면 ARR 을 다시하거나 saine infusion test 를 해보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ARR의 cutoff를 얼마로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assay에 따라, 기관에 따라 정상 범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ARR 외에도 renin 억제 소견이 있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만약 renin 억제 소견이 있었던 환자라면 CT 등의 영상과 확진 검사를 추가로 시행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aldosterone 수치의 변동성을 고려할 때 ARR 수치에 영향을 덜 주는 혈압약제로 조정한 후 ARR 재검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2년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청운
  •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