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체
갑상선
골대사
부신/뇌하수체
Special Lecture (필수 과목 연수교육)
이상지질혈증/성선/지방간
전체
새로운 결절의 감별진단: 새로운 K-TIRAD 활용법
임신/출산 후 갑상선 기능이상의 다양한 증례
골다공증 치료제의 지속, 변경 및 휴약, 어떻게 할까?
골다공증 치료제의 처음 선택, 어떻게 할까?
이차성 무월경 환자의 내분비적 접근법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의 기초와 진료에 활용하기
당뇨병 환자에서의 COVID-19 예방과 치료를 중심으로
죽상경화반 호전시키는 전략은?
개원가에서 할 수 있는 지방간 환자의 검사 및 관리 방법은?
74
난소낭종 증거가 없고 무월경 DHEAS 증가외 다른 이상이 없을시 내과적인 추가 검사나 치료가 있을지요?
난소 종양이 없고, 무월경과 DHEAS증가를 동반한 경우에는 남성화 여부에 대한 검진 및 부신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73
GnRH agonist 제재가 품절되어 대체할수 있는 약제는 어떤걸 사용해야 하나요?
triptorelin acetate, leuprolide acetate, Leuprorelin 제제가 있습니다.
72
case 1 같은 경우에 무월경 기간이 길어지면 치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경구피임약을 써서 월경을 유발시킨다면 어느 정도 기간까지 평균 쓰시는지요? 스트레스로 인한 HPA/HPO axis가 회복되려면 평균 어느 정도 걸리는지요.
1차적으로 생활습관 변화와 체중증가를 해야하고, 6~12개월 이상이 지난 후에도 월경이 돌아오지 않으면 hormone therapy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71
임신준비중인 hyperprolactinemia 치료시 caberlactin 에서 bromocriptin 으로의 변경을 하는것이 좋은지요?
cabergoline이나 bromocriptine 모두 miscarriage, congenital malformation, pregnancy compliation 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임신이 확인된 후에는 약제를 중단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70
유즙분비는 계속호소하고 prolaction level은 정상이고 TFT 정상 FSHLHE2 정상이고 brain MRI상 mass은 보이지 않은 환자는 어떻게 접근해야 하냐요?
유즙분비를 일으키는 약제 복용력 확인이 필요하고, 유방에 종물이 있지 않은지, 양측성/편측성의 분비인지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69
검사 상에서 Functional hypothalamic amenorrhea 의 가능성이 높아 경과 관찰하고 있는 10대 후반 또는 20대 초반 여성의 경우 어떻게 추적 관찰을 해야 할까요? 원인 인자를 교정하는 것 이외에 내분비내과적인 호르몬 추적 검사 필요성 및 필요 시 추적 관찰 간격 등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functional hypothalamic amenorreha 의 경우, supportive treat로 원인 교정후, 월경 회복 여부와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호전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68
ACTH dependent Cushing Pituitary lesion 이 있으면 무조건 IPSS 를 해야하는지요?
non-invasive testing으로 Cushing's disease 가 확인된 경우에는 꼭 IPSS 를 할 필요 없습니다.
67
20세 여자 무월경으로 산부인과 검진 했는데pco가 있고 tetostrone이 약간 높은데 TSH 12 prolactin 87로 내분비내과로 의뢰되었습니다. 유산균 비타민 외 특이 약물드시는것 없는 상태였고 유즙분비는 없습니다. 재검을 할텐데 TSH 12정도로도 prolactin상승 가능할지 t4치료하면서 일단 prolactin level monitoring하면서 봐도 될지요.
TSH 정상화 된후 prolactin변화 여부 확인후, 상승 지속시에는 다른 원인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겠습니다.
66
크기가 1cm로 경계인 경우도 정기적인 안과 검사가 필요할까요? cabergoline 투여후 수치는 떨어지지만 prolactinoma의 크기 변화가 없는경우 용량 증량을 고려할수 있을까요? ?
보통 cabergoline을 사용하면 prolactin 감소는 몇 주이내에 일어나지만, adenoma의 크기 감소는 이보다 늦게 일어나게 되며, 6개월 이후까지도 변화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크기가 1cm 정도이고, Prolactin 이 정상수준으로 유지된다면 용량을 유지해 볼 수 있겠습니다.
65
출산 후 2년째 무월경으로 내원하였습니다. 모유수유는 중단하였으나 유즙분비가 지속되고 있고 현재 임신 가능성은 없습니다. 뇌하수체 호르몬 검사에서 프로락틴 포함하여 LH/FSH 모두 정상입니다. 이 환자분의 무월경과 유즙분비의 추정되는 원인 및 추가 work up이 어떤 것이 필요할까요?
뇌하수체 호르몬 및 여성호르몬 (prolactin, TSH, FSH, estradiol 등) 이 모두 이상이 없고, hyperandrogenism의 evidence 가 없다면, progetin withdrawal test 를 시행해 보실 수 있겠습니다.
64
PRL 상승시키는 GI 약물 중 mosapride는 해당이 없는건가요?
mosapride는 dopamine receptor 차단작용이 없는 5-HT4 수용체 작용제로, PRL을 상승시키는 약물로 분류되어 있지 않습니다.
63
vitamin D 가 replacement 이후 40 정도 유지되는 경우에서 supplementation 을 계속 유지하는게 좋을까요?
유지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중단하시면 바로 내려가거든요. 50이 넘어가면 용량을 줄여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62
칼슘제 비타민 d 포함 골다공증 약제들의 심장 판막 석회화 또는 혈관 석회화에 대한 영향은 어떤가요
BP제제의 심혈관질환에 대한 보호 효과는 아직 논란이 있는상태입니다. 이건 추가적인 연구결과들을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61
daily calcitriolrisedronate 제 맥스마빌 는 사용설명서대로 식전 1시간1시간 supine 금지를 지켜야 하는지 또는 식후 복용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BP제제는악토넬 EC 정을 제외하고는 흡수율이 매우 낮아서 공복 단독 복용이 원칙입니다. 30분 정도만 하셔도 됩니다.
60
골다공증환자에서 ca 이 upper limit of normal 인 경우에도 ca replacement 이 도움이 될까요?
걱정되시면 칼슘은 식사를 통해 섭취하도록 안내하시고 비타민 D만 따로 투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ca/vit D병용 투여가 항상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