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9 골밀도 척추 골밀도 골감소증 비척추 골밀도 T<-2.5시 denosumab 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경우 우선할 수 있는 제제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골다공증은 척주, 대퇴골 경부, 대퇴골 전체 중에서 가장 낮은 T 값을 기준으로 진단하도록 되어 있어서 말씀하신 경우는 급여가 됩니다.
58 프롤리아 주사후 비타민디 함유 칼슘제 동시 복용하고 있는데 2주뒤 속이쓰려서 도저히 칼슘제를 못드신다는데 이런경우에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리고 계속 칼슘제를 복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ca carbonate 제제이면 용량을 줄이거나 애드칼같은 제제로 변경해보시고도 안되면 칼슘제를 중단하고 비타민 D 단독제제 (비급여)르 투여하시거나 이런 경우 viatmin D jnjection을 고려해보실 수 있겠습니다.
57 데노수맵 시작했다가 -2.5 보다 좋아졌을때가 고민되는데요 -3.5 이하로 심한 상태에서 시작했다가 -2.5 정도로 약간 좋아졌을때 bps 로 미리 바꾸는 방법을 써볼수도 있을까요?
국내 보험기준으로 인한 문제이기 때문에 저도 가끔 그렇게 합니다.
56 데노수맙도 4년 이상 사용 시 치과 치료 리스크가 올라간다 는데이타가 있는데 이런 경우 어떻게 되는지요?
denosuamb과 ONJ 발생은 대부분 암환자에서 고용량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골다공증 치료 용량에서도 보고되고는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지침에서는 다음 injecion 시기 전후에 치과 치료를 하는 것으로 권고하고 있기는 합니다.
55 콩팥기능이나 간기능 이상 시에 사용할 수 없는 골다공증약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GFR < 30 이면 zoledronate는 금기이고 다른 BP 제제도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합니다.
54 T-score 가 -2.5 이하를 만족하지 않더라도 very high risk 인 경우에 골다공증으로 진단하여 denosumab 을 투여하시기도 하나요?
very high risk이면 투여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53 2번째 case 환자분은 initial denosumab 사용 후 호전 시 CKD 가 있는 상태로 추후 어떤 약재로 변경 가능할까요?
남자분이라서 zoledronate를 제외한 BP 제제를 low dose 로 조심스럽게 써보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2 SERM을 initial로 시작하는 경우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제경우는 골밀도가 거의 -2.5근처이면서 50대 여성이면 고려를 해보는 것 같습니다.
51 고용량 비타민D 주사 3개월마다 20만단위?의 기준이 어떻게 되며 오히려 고령에서 좋지 않다는 것에 대해 결론이 어떻게 낫는지요?
고령에서 비타민 D는 월 6만 단위 투여가 좋지 않다라는 논문이 하나 있기 때문에 경구 투여를 먼저 권고하시고 , 어쩔수 없이 주사제를 사용한다면 3개월 10만단위 사용까지는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50 병원마다 BMD관리가 다를텐데 타병원에서 검사하고 오신 분들은 다시 검사를 하시는 편인가요?
원칙은 하는게 좋은데 보험이 안돼서 검진에서 하신 경우를 제외하고는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9 Zoledronic 시작 시 flu like symptom고려하여 선제적으로 acetaminophen이나 steroid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신지 문의드립니다.
선제적 투여를 하는 병원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그냥 처방을 미리 해주고 증상 있으면 드시라고 합니다.
48 fracture hx 가 없는 spine T score -2.7 나와 denosumab 을 시작한 postmenopausal osteoporosis 환자분으로 2년 정도 사용 후 spine T score -2.3 정도로 호전을 보이는 경우 교수님께서는 bisphosphonate 로 변경하시나요? denosumab 사용 후 호전을 보일 경우 어떤 기준으로 약제 변경을 하시나요? 그리고 PO bisphosphate 로 변경할 경우에 똑같이 5년 정도 사용 후 drug holiday를 고려하실까요?
denosumab은 중단 후 후속 BP치료가 반드시 해야하는 것이므로 비급여로라도 투여하시는 것이 필요하고 현재 alendronate, zoledronate 두 약제가 data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나온 유일한 지침인 유럽 지침에 따르면 zoledronate를 우선 추천하고 denosumab은 2.5년 이하로 사용한 경우 po alendronate도 사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BP로 변경하게 되면 향후 drug holiday는 상황에 따라 고려해야 합니다.
47 연구에서 말하는 십년간 데노수맙 헌리 티스코어10프로증가라는것은 대략 tscore로 몇 점의 개념인지요?
골밀도가 10% 정도 올라가면 T 값이 1정도 올라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6 보험기준에 보면 골다공증성 골절시 골감소증 상태에서도 비스포스포네이트나 데노수맙을 처방할수 있디고 되어있는데 골다공증성 골절의 기준이 따로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처방시점에 X ray상에 골절이 확인되는 경우만 해당해서 과거력은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척추,대퇴골, 손목,상완골이나 pelvis나 tibia등도 인정된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사고가 아닌경우) 그래서 올해 골절부위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추가로 발표된 예정입니다.
45 폐경 후 20년이 지났고 임플란트 한창 진행중인 여성이 Femur neck -2.9 일때 initail 치료제에 대해 교수님 고견 여쭙습니다.
임플란트보다는 발치가 더 문제이기 때문에 발치가 다 끝났고 향후 치료가 몇달 안 남았으면 기다렸다가 BP 또는 denosumab 을 시작하고, 6개월 이상 치과치료기간이 남았으면 그 기간만 SERM 제제를 사용해보기도 할 것 같습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2년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청운
  •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