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4 골절 고위험군인 경우는 아무래도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기도 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로모수주맙을 선뜻 선택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교수님 의견은 어떠신지요? 강의 감사드립니다
로모조수맙과 심혈관 질환 발생과의 관련성은 기전이 명확하지 않아 아직 논란이 있지만 black box warning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저도 개인 적으로 심혈관 질환 risk가 높은 경우는 tereparatide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43 SERM 제제raloxi bazedoxi는 eGFR 60 미만의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사용 가능한가요?
SERM은 대부분 간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신기능 저하시 사용가능합니다.
42 당뇨환자에서 졸레드론산을 1년에1회 수년간 투여시 마지막투여로부터 언제 치과 치료가 가능한가요?
zoledronate는 연 1회 투여하기 때문에 치과 치료 시기에 대해 일치된 지침은 현재 없습니다. 그래서 투여 전에 치과 치료 일정을 미리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41 요추골밀도 해석시 단순 평균값이 아니고 각부위별로 T값이 제시되는데요. 예를들어 T2 수술로 배제해야하는 경우 T1 T3 T4 세 부위를 합산한 T score는 없는데 어떻게 요추골밀도를 계산하나요?
T1, T3, T4 세부위의 T값을 더하셔서 3으로 나누시면 됩니다.
40 교수님. 경구제 5년 주사제 3 년 사용후 휴약기를 각각 몇년씩 가집니까? 강의중에 주사제만 1년이라고 말씀하신것 같아서요.
휴약기의 정해진 기간은 없습니다. 다만 BMD T-score가 -2.5 이하로 감소하거나 새로운 골절이 발생하거나, 골표지자가 골다공증약제 사용전 범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다시 약제를 시작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골표지자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판단하시고, BMD, or 골절여부가 중요하겠습니다. 경구약제 주사제 모두 동일합니다.
39 본터오버마커는 일 년에 두 번만 보험되는지요?
네. 현재는 일년에 2회만 보험됩니다.
38 BP나 데노수맙을 5년 10년 유지 권고하셨는데 1-2년후 BMD FU시 수치가 비슷하거나 좀 더 나빠진 경우에도 그냥 무시하고 일단 유지하는게 좋을까요
denosumab 투여중에도 크게 BMD 호전이 없을떄 골절이 새로 생기지 않은 경우라면 1-2년더 사용하면서 BMD response를 보는 것이 좋을것으로 판단됩니다. Romosozumab으로 변경(특히 previous denosumab사용자에서)시에는 BMD gain이 크지 않습니다. (drug na?ve 환자에 비해)
37 denosumab 투여중 f/u시 Tscore가 떨어지거나 크게 호전이 없을때에도 romososumab으로 변경하지 않고 좀더 유지하고 경과를 봐도 괜찮을까요?
denosumab 투여중에도 크게 BMD 호전이 없을떄 골절이 새로 생기지 않은 경우라면 1-2년더 사용하면서 BMD response를 보는 것이 좋을것으로 판단됩니다. Romosozumab으로 변경(특히 previous denosumab사용자에서)시에는 BMD gain이 크지 않습니다. (drug na?ve 환자에 비해)
36 데노수맵 3년사용후에도 처음 골밀도가 요추-3.5에서-3로 호전된후 변화가없고 대퇴는 -2.5에서-2입니다. 데노수맵을 최대 몇년까지 사용가능한지요? 아니면 bp변경이 좋을지궁금합니다
denosumab 3년사용후에도 요추부 골밀도가 -3.0 이면 -2.5이상으로 상승할떄까지 지속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5 골표지자검사는 보통 치료전과 치료3개월 후 시행해서 20~30 정도의 변화로 약효과를 평가하는데 ①치료제를 지속 유지시 추적검사가 필요한가요? ②또한 과거에 골다공증치료를 했다가 호전되어 중단후 동일약 재투여 혹은 치료제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치료전과 치료3개월 후 측정해서 20~30 변화로 평가하는 것은 동일한가요?
CTX의 경우 최소 30% 이상 감소시 의미있는 변화라고 평가하고, P1NP는 최소 20%이상 감소를 변화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치료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측정하는 것을 권유하며 이유는 BTM 상승시 bone loss를 일으키는 다른 이차적인 질환이나 원인이 새로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고, BMD 증가가 없을떄 treatmet failure 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34 CKD 남환이 lumbar BMD -3.0로 denosumab 사용하여 osteopenia에 도달했을때 다음 치료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CKD환자에서는(eGFR<30) BP가 금기사항은 맞습니다. 따라서 denosumab 사용후 골감소증으로 상승하는 경우 sequential therapy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일부 전문가의 의견으로 SERM으로 변경(특히 denosumab을 짧게 사용한 경우)도 가능할것으로 보이고, weekly BP 등을 조심스럽게 시도해볼수는 있겠습니다. 이경우 zoledronate와 같은 강략한 IV BP는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겠습니다.(renal function 악화).
33 T4:T3 비율 또는 FT4:T3 비율이 증가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준 수치는 얼마인가요?
T4/T3 ratio 는 병원마다 T4, T3 의 정상수치가 다르므로 각 병원별 참고치를 따로 정해야 되겠습니다.
32 TPO Ab 음성인 subclinical hypothyroidism 산모가 출산 했을때 f/u schedule, LT4 tappering plan 문의드립니다.
임신초기에 subclinical hypothyroidism 을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하였다먄, 출산 후 치료를 중단하고 4~6주후에 TFT 추적검사 하며, 임신전부터 기능저하증으로 치료를 받았다면, 출산 후 임신전 사용 용량으로 감량하고 출산 4~6주에 TFT 검사하여 용량조절 합니다.
31 면역항암제 사용중 발생하는 가능저하시 ft4 에 비해 tsh 가 과다하게 높을 때 치료기준을 어디에 두시나요?
기능저하이므로 TSH를 기준으로 치료를 하나, 면역항암제 사용에 따른 갑상선이상은 일시적인 경우가 흔하므로 불필요한 치료를 하지 않도록, 주기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하겠습니다.
30 TPO Ab와 Tg Ab를 동시에 측정하면 보험삭감되지 않나요?
임신 중 갑상선검사 이상에 따른 추가 검사임을 명시하였다면 삭감되지 않습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2년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청운
  •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