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9 TSH 4.5 fT4 정상 (anti-TPO 음성) 으로 LT4 복용하였던 출산부가 본인 아기도 갑상선 검사가 필요할지 유전 가능성이 있을지 문의하였었는데 관련하여 여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신생아에서 TSH 검사를 하므로, 여기서 정상이면 아기의 추가검사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28 Ths 2.5-4 여도 자가항체 검사해도 삭감이 되지 않나요?
임신 중 갑상선검사 이상에 따른 추가 검사임을 명시하였다면 삭감되지 않습니다.
27 case5 환자처럼 갑상선항진 치료중 임신하여 역 중단 임신중 기능저하로 신지로이드 복용. 출산후 기능항진이 되어 메티마졸 복용중인 환자가 있습니다. 경과관찰중 메티마졸 1T에도 TSH 20 이상으로 증가되고 TBII 양성으로 씬지로이드 동시 복용을 하고 경과 관찰중입니다. 이런 경우 약을 지속하는것이 좋을지 모두 중단후 경과관찰하는 것이 좋을까요.
출산 후 언제 기능항진이 되었는지 언급이 없어 정확히 이야기하기 어렵지만, 경과관찰중 메티마졸 1T에도 TSH 20 이상으로 증가되었다면 비록 TBII 양성이나, 산후갑상선염에 의한 기능저하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메티마졸 중단하고, 1개월 후 TFT, TBII titer 의 변화를 관찰하며 증상에 따른 치료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6 수유 중 항갑상선제 복용시 복용 시간에 대하여 환자들에게 교육하시는지 문의드립니다. 또한 수유 중에도 가능하면 PTU 로 사용하시는지요? 특히 고용량이 필요시
수유부에서 중간 용량의 항갑상선제 (PTU는 일일 300 mg 이하, MMI는 일일 20-30 mg 이하)를 복용하는 것은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PTU의 경우 모유로 배출되는 양이 MMI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으나 간독성의 위험 때문에 일차적으로 선택되지는 않습니다. 항갑상선제는 분복하되 가능한 수유 직후에 복용하라고 교육합니다.
25 임신중인 아닌 임신을 준비중인 환자에서 mild TSH 상승 5~10인 subclinical hypothyroidism 에서도 호르몬 보충을 하는것이 좋을까요?
임신초기 부터 갑상선호르몬 요구량이 증가되므로, 임신을 계획중이라면 갑상선호르몬보충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4 산후 갑상선염과 그레이브병 감별을 할 때 T4/T3 ratio 참고치를 어느정도로 보시는지요? 임상에서는 FT4 total T3 측정을 많이 하게 되는데 total T4 측정을 따로 해야할까요?
T4/T3 ratio 는 병원마다 T4, T3 의 정상수치가 다르므로 각 기관별 참고치를 따로 정애야 되겠습니다. T4/T3 ratio 대신 FT4/T3 ratio 를 사용해도 됩니다.
23 하시모토 갑상선염이나 mild 한 기능저하증 산모가 출산후 산후조리때 미역국 과다섭취하면 어떤 영향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미역국 과다섭취 주의하라고 하면 complaint 하는 경우가 많아서요 혹시 미역국을 꼭 먹여야 되겠다는 산모분은 하루 어느정도 섭취 가능할지도 궁금합니다.
이론적으로는 과량의 요오드 섭취에 따른 갑상선이상의 가능성이 있자만, 한국인 여성의 출산후 미역국 섭취에 따른 갑상선기능이상에 대한 연구들에 의하면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와, 아마도 전통적으로 식생활에서 요오드를 이미 많이 섭취하던 한국인에서는 출산 후 일반적인 미역국 섭취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22 임신초기 유리T4가 높고 TSH는 낮고. TSH-receptor negative 환자에서 갑상선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다면 계속 추적관찰만 할지 항갑상선제를 사용한다면 언제까지 지켜보고 항갑상선제를 사용해야 하나요?
임신초기 유리T4가 높고 TSH는 낮은 경우, 과거력, Goiter, Opthalmopathy 유무 TSH-R-Ab 를 이용하여 Gestational transient thyrotoxicosis를 감별해야겠고, GTT라면 대부분 임신 15주이후 호전되므로 임신 20주 이후에도 계속 fT4 증가 되어 있고 항진증의 증상이 있다면 항갑상선제 사용을 고려해 보아야겠습니다.
21 TPO Ab인 산후갑상선염 또는 산발성무통성갑상선염에서 일시적 중독기 이후 영구적인 저하증의 경과를 밟는 경우 이걸 Hashitoxicosis라고 할 수 있나요? 아니면 서로 다른 병인가요?
산후갑상선염 또는 무통성갑상선염은 림파구 침윤이 현저하고 갑상선자가 항체가 검출되는 예가 많아 하시모토병의 한 변형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Hashitoxicosis 라는 용어는 여러 다른 의미로 혼용되고 있어, 이보다는 갑상선염에 의한 영구적인 갑상선 기능저하라고 표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0 항진에서 인데놀말고 23세대 베타차단제를사용하면안되는지요 인데놀만의장점이잇는지요?
갑상선기능항진증의 많은 증상이 베타수용체를 통해서 나타나므로 증상 호전 효과로 베타차단제를 사용하는데, 인데놀은 T4-> T3로의 전환억제 효과도 있는 반면, atenolol이나 metorolol은 T3 감소 효과가 미약하고 soltalol과 medolol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갑상선기능항진증시 인데놀을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19 Pregnancy 인 Grave's disease 환자에서 fT4 를 upper normal range 로 조절하고 있는데 fT4 는 조절되나 T3 가 정상의 2~3배 이상의 T3 toxicosis 가 있는 경우 thyrotoxic Sx 도 있다면 약제를 더 올리는 것이 좋을지요 아니면 fT4 를 target 으로 약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을지요?
임신 중 TBG의 증가로 Total T3, Total T4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따라서 fT4의 결과에 따라서 약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종겠습니다
18 제 환자로 임신 9주 TSH 6.16 -->5.26 TPO Ab로 씬지로이드 25로 시작해서 임신 31주차 100까지 증량하고 TSH가 2.5 이내로 호전되었습니다. ① 임신중 씬지로이드 시작 용량으로 25는 너무 적을까요? ② 출산후 중단 vs 50으로 감량 유지 중 뭐가 적당할까요?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 임산모에서는 초기 씬지로이드 50 mcg이 권고되고 있고, 추적 TFT 결과에 따라 용량 조절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임신초기 TSH 6.16으로 치료를 시작하였다면, 출산 후 씬지로이드 복용 중단하고 4~6주후 TFT 재검사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17 임신 중 저하증의 TSH 목표로 ① 2.5 이내 ② 각 분기별 기준2.5/3/3.5 이내 ③ 각 분기별 기준의 절반 이하 등 다양하게 제시되는데 뭐가 적당할까요?
임신 trimester별 기준 범위의 하반부에 TSH를 목표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여의치 않을 때는 2.5 미만으로 TSH 농도를 목표로 삼을 것을 권고 하고 있습니다.
16 1.임신때 기능 저하증일때 anti Tg 자가항체는 치료결정에 의미가 없을까요? 2. 우리나라는 임신1 기 정상 TSH 의 기준이 얼마인가요?
TgAb 양성인 여성에서도 갑상선 자가면역이 없는 여성보다 혈청 TSH가 유의하게 더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TgAb 양성인 임산부에서도 임신 확인 및 임신 중기까지 4주마다 TFT측정이 권고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임신1 기 TSH의 reference range 기준은 아직 정해져 있지 않고, 현재 이에 대한 자료가 정리중이며 조만간 발표될 예정입니다.
15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주제와 다른 질문이긴 합니다만 그레이브스병에서 goiter가 있는 경우 약물치료를 하면서 TFT가 호전되면 goiter 가 호전될수 있는지요?
그레이브스병의 경우 약물치료후 갑상선기능이 호전되면서 Goiter가 호전되나, 감소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환자마다 많이 다릅니다.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2022년 개원의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청운
  •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