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프로그램

• 6월 24일(금) / Baum Hall B

시간 내용 연자
15:30-15:55 등록  
16:00-16:10 개회사 대한내분비학회 회장
사회: 김경수
(차의과학대)
Diabetes 좌장: 김인주 (부산의대)
최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의 주요한 내용은 혈당 조절의 실패를 최소화하고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임상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세션을 구성해 보았습니다. 먼저 초기 당뇨병환자에게 조기 병용요법을 사용하여 장기적으로 안정된 혈당 조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최근 젊고 비만한 초기 당뇨병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점차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을 아주의대 한승진 교수가 명쾌하게 정리해 줄 예정입니다. 또한 항당뇨병제 중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심장 및 신장질환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합병증을 동반한 당뇨병환자들에게 추가적인 이득을 위한 약제 선택법에 대해서 을지의대 홍준화 교수가 발표할 예정입니다. 영남의대 문준성 교수는 혈당 조절이 가장 어려운 인슐린을 투약 중인 당뇨병환자들에게 연속혈당측정을 활용하는 방법과 노하우를 전해줄 예정입니다.
16:10-16:40 Importance of early combination therapy on T2DM 한승진 (아주의대)
16:40-17:10 How to choose anti-diabetic agent considering diabetic complications 홍준화 (을지의대)
17:10-17:40 Utilization of CGM in patients with insulin treatment 문준성 (영남의대)
17:40-18:00 고시위원회 공지사항 -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시험 대비 대한내분비학회 고시이사
  Dinner 및 친교의 시간  

• 6월 24일(토) / Baum Hall B

시간 내용 연자
08:30-09:00 등록
  Bone metabolism 좌장: 정윤석 (아주의대)
골다공증 환자를 진료할 때에는 먼저 환자의 골강도를 평가하여 골절의 위험도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희의대 김덕윤 교수가 골강도를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다른 모든 질환에서와 마찬가지로 골다공증도 근거에 입각한 진료를 해야 하며 현재까지의 모든 최신 근거를 집대성한 진료지침이 각 학회의 가이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톨릭의대 백기현 교수가 주요 학회의 최신 골다공증 진료 가이드라인을 정리해 주실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골다공증에서 약제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치료하는 sequential treatment가 주목 받고 있습니다. 울산의대 이승훈 교수가 최적의 sequential treatment에 대해 최근 연구결과와 함께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부디 선생님들의 진료와 연구에 도움이 되는 강의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09:00-09:30 Assessment of Bone strength 김덕윤 (경희의대)
09:30-10:00 Current guideline for Osteoporosis management 백기현 (가톨릭의대)
10:00-10:30 Sequential Treatment of Osteoporosis 이승훈 (울산의대)
10:30-10:50 Coffee Break  
  Pituitary/Adrenal gland 좌장: 김동선 (한양의대)
뇌하수체기능저하증 진단을 위해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인지, 연령과 성별에 따라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지 고민이 될 때가 있습니다.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가톨릭의대 임동준 교수가 강의할 예정입니다. 다음으로 작년 페그비소만트가 말단비대증의 2차 치료제로 우리나라에서 급여를 인정받았습니다. 말단비대증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해 가천의대 김병준 교수가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된 내용까지 포함하여 총정리해 줄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고혈압 환자 중에서 2차성 고혈압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차성 고혈압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내분비성 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인 primary aldosteronism의 진단에 대해 성균관의대 김재현 교수가 최신 지견을 포함하여 발표할 예정입니다.
10:50-11:20 Update in Acromegaly Management 김병준 (가천의대)
11:20-11:50 Diagnosis and Treatment of Hypopituitarism 임동준 (가톨릭의대)
11:50-12:20 Update in Diagnostic Work-up for Primary Aldosteronism 김재현 (성균관의대)
Luncheon Lecture 좌장: 홍은경 (한림의대)
12:20-13:00 Forxiga, A holistic approach from prevention to treatment of cardiorenal benefit in T2D 박정환 (한양의대)
  Thyroid 좌장: 강호철 (전남의대)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갑상선결절 및 갑상선암의 초기 진단 및 관리를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여 가이드라인에 반영됨으로써 진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성균관의대 권혜미 교수가 변경된 K-TIRADS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에 대해 상세히 발표할 예정입니다. 전남의대 윤지희 교수는 드물지만 치명적인 anaplastic thyroid cancer 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2021 ATA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전해줄 예정입니다. 최근 새로운 치료제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 난치성 갑상선암의 치료와 추적관찰에 대해서는 울산의대 김원구 교수가 강의할 예정입니다.
13:00-13:30 Modified K-TIRADS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for Thyroid nodules 권혜미 (성균관의대)
13:30-14:00 New guideline for anaplastic thyroid cancer (2021 ATA guideline 중심) 윤지희 (전남의대)
14:00-14:30 Treatment and follow-up of advanced raiodiodine-refractory thyroid cancer 김원구 (울산의대)
14:30-14:50 Coffee Break  
  Obesity/Dyslipidemia/NAFLD 좌장: 유순집 (가톨릭의대)
비만, 이상지질혈증 및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을 가진 환자가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생활습관 교정에서부터 약물치료, 수술적 치료에 이르기까지 업데이트된 비만치료의 모든 것에 대해 한양의대 이창범 교수가 명쾌하게 정리해 줄 예정입니다. 가톨릭의대 김성래 교수는 지질대사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내분비내과 의사의 관점에서 가천의대 이대호 교수가 강의할 예정입니다. 이 세션을 통해 비만,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지방간질환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한눈에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14:50-15:20 Update in Obesity management 이창범 (한양의대)
15:20-15:50 Diagnosis and treatment in Lipid metabolism (including genetic disorders) 김성래 (가톨릭의대)
15:50-16:20 Diagnosis and treatment of NAFLD in Endocrinologist perspective 이대호 (가천의대)
16:20-16:25 폐회사 대한내분비학회 이사장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유순집
  • 대한내분비학회 제20회 분과전문의 연수강좌 및 Postgraduate Course 준비사무국 : 청운
  • (02-2275-1648) / 대한내분비학회 (02-714-2428, endo@endocrinology.or.kr)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