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프로그램

사회: TBD

시간 내용 연자
08:30~08:55 등록
08:55~09:00 개회사 성연아 대한내분비학회 회장
뇌하수체/부신 소개의 글 좌장: 성연아 (이화의대), 류옥현 (한림의대)
평소 임상에서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뇌하수체 질환 중의 하나인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강의로 뇌하수체/부신 세션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경희의대 진상욱 교수가 준비한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강의를 통해 해당 질환에 대한 최신 진료지침을 접해보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 강의에서는 한양의대 박정환 교수가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에 대한 진료지침과 관련된 내용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장단점이 확실한 스테로이드 사용에 대해 부작용 및 관리 등에 대한 내용으로 계명의대 김미경 교수가 명쾌한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09:00~09:30 고프로릭틴혈증의 진료 지침 진상욱 (경희의대)
09:30~10:00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의 진료 지침 박정환 (한양의대)
10:00~10:30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 및 관리의 근거와 실제 김미경 (계명의대)
10:30~10:50 Coffee Break
골대사 소개의 글 좌장: 김하영 (울산의대), 홍성빈 (인하의대)
골대사 세션은 골다공증에 대한 기본적인 접근법과 치료 전략을 중심으로, 일차 진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구성되었습니다. 고려의대 김경진 교수가 골밀도 검사에 대한 지침과 골표지자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강의합니다. 이어서, 가톨릭의대 정채호 교수가 50세 미만의 젊은 환자에서 골밀도 감소 소견이 나왔을 때 어떻게 진단적, 치료적 접근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소개합니다. 마지막으로, 부산의대 전윤경 교수가 골다공증 초기 치료와 치료 반응 평가를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10:50~11:20 골밀도 검사 및 골표지자 측정과 해석에 대한 진료 지침 김경진B (고려의대)
11:20~11:50 젊은 환자의 골밀도 저하에 대한 접근법 정채호 (가톨릭의대)
11:50~12:20 골다공증 치료 전략: 초기치료 및 반응평가 전윤경 (부산의대)
12:20~13:00 Luncheon Lecture TBD
당뇨병 소개의 글 좌장: 권혁상 (가톨릭의대), 임수 (서울의대)
당뇨병 세션은 최근 더욱 강조되고 있는 당뇨병 환자의 정확한 평가와 그에 따른 최적의 약제 선택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초기 진단과 치료에 대한 핵심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을 다루어,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로 준비되었습니다. 첫 번째 강의에서는 순천향의대 최덕현 교수가 초진 당뇨병 환자에서 시행해야 하는 초기 검사와 평가에 대해 소개합니다. 두 번째 강의에서는 일산병원 송선옥 교수가 환자의 기저질환을 고려한 최적의 항당뇨병 약제 선택과 처방 전략에 대한 강의를 준비하였습니다. 세 번째 강의에서는 을지의대 홍준화 교수가 인슐린 및 항당뇨병 주사제(GLP-1 receptor agonist 등)의 최신 근거와 실제 임상 적용 방안에 대해 다룹니다.
13:00~13:30 진료 지침에 따른 당뇨병 환자 초기 평가 최덕현 (순천향의대)
13:30~14:00 항당뇨병약제의 선택: 기저질환기반 적정약물의 근거와 처방 실제 송선옥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14:00~14:30 인슐린 외 항당뇨병 주사제 (GLP-1 agonist 중심): 근거와 처방 실제 홍준화 (을지의대)
14:30~14:50 Coffee Break
갑상선 소개의 글 좌장: 강호철 (전남의대), 김태용 (울산의대)
갑상선 세션에서는 봄을 맞이하여 갑상선의 essential 분야인 기능이상 환자 중에서, 외래에서 자주 마주치지만 한번쯤 고민하게 되는 부분에 대한 강의를 준비하였습니다. 첫번째 강의는 한림의대 최윤미 교수가 무증상 갑상선기능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는 기준에 대하여 국내 진료지침을 중심으로 소개할 예정입니다. 두 번째 강의는 서울의대 조선욱 교수가 감별하기 애매하고 다양한 갑상선질환 이외의 원인에 의한 갑상선기능이상에 대하여 강의할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울산의대 전민지 교수가 임신과 관련된 갑상선질환의 최신 지견에 대하여 소개할 예정입니다.
14:50~15:20 무증상 갑상선저하증의 진료지침 최윤미 (한림의대)
15:20~15:50 비갑상선질환으로 인한 갑상선 기능이상의 평가에 대한 진료지침 조선욱 (서울의대)
15:50~16:20 임신과 갑상선질환에 대한 진료 지침 전민지 (울산의대)
16:20~16:25 폐회사 홍은경 대한내분비학회 이사장

대한내분비학회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성명 : 홍은경)
대한내분비학회 제60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