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골대사

이승훈(울산의대)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의 주요 골다공증 골절 위험인자
The Excess Risk of Major Osteoporotic Fractures in Hypothyroidism Is Driven by Cumulative Hyperthyroid as Opposed to Hypothyroid Time: An Observational Register-Based Time-Resolved Cohort Analysis
J Bone Miner Res. 2015 May;30(5):898-905.

갑상선기능저하증과 골다공증 골절 위험도 간의 장기간의 연관성은 갑상선호르몬의 과도한 투여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연구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갑상선자극호르몬 (TSH)이 증가되어 있는 환자에서 시간에 따른 TSH 농도의 변화와 골다공증 골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대상자들은 처음 측정한 TSH 농도에 따라 TSH >4.0 mIU/L인 8,414명 및 TSH 정상인 222,138 명 (대조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투여기간, 고 TSH (>4.0 mIU/L) 기간의 누적기간, 저 TSH (<0.3 mIU/L) 기간의 누적기간을 공변량으로 하여 평균 약 7.2년을 관찰하였다. 높은 기저 TSH 농도는 대퇴 골절 위험성 (HR=0.90, 95% CI=0.80 to 1.02) 혹은 주요 골절 위험성 (HR=0.97, 95% CI=0.90 to 1.05)과 무관하였다. 마찬가지로, 갑상선 호르몬 보충 여부도 관련성은 없었다. 과도한 갑상선호르몬 투여를 의미하는 저 TSH 기간의 누적기간은 대퇴 골절 (HR=1.09, 95% CI=1.04 to 1.15) 및 주요 골절 (HR=1.10, 95% CI=1.06 to 1.14) 위험도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성별 및 나이로 계층화하여 주요 골다공증 골절을 분석하였을 때에, 저 TSH 기간은 폐경여성에서 골다공증 골절의 예측인자였으며 고 TSH 기간은 75세 미만의 남성에서 골다공증 골절의 예측인자였다. 결론적으로 TSH가 상승된 환자에서 대퇴 및 다른 부위의 골다공증 골절의 위험성은 TSH 가 낮았던 누적 기간과 관련이 되었다. TSH 가 높았던 누적 기간과도 골다공증 골절과의 연관성이 보였는데 이는 젊거나 중년의 남성에서만 관찰되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정상 칼슘 농도인 일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은 해로운가 아니면 해롭지 않은가?
(Is Normocalcemic Primary Hyperparathyroidism Harmful or Harmless?)
J Clin Endocrinol Metab. 2015 Jun;100(6):2420-4

일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은 고혈압의 빈도 증가와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정상칼슘농도를 가진 일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normocalcemic primary hyperparathyroidism, NPHPT)과의 연관성은 잘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NPHPT와 혈압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Fujian 지방 병원을 방문하여 부갑상선호르몬 (PTH)과 칼슘을 측정한 940명에서 NPHPT으로 진단된 11명과 PTH, 칼슘이 정상인 296명(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간에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칼슘 농도, 25(OH)D 농도, 크레아티닌, 공복 혈당,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차이는 없었다. NPHPT 진단된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축기 혈압 (141.9 ± 20.2 vs 131.2 ± 16.5, P = 0.041) 및 높은 이완기 혈압 (85.2 ± 12.4 vs 76.8 ± 10.3, P=0.026)을 가졌다. 보정인자들을 보정한 후에 NPHPT 여부가 수축기 혈압 (OR=1.035, 95% CI=1.000 to 1.071) 및 이완기 혈압 (OR=1.063, 95% CI=1.004 to 1.125)의 증가와 연관되었다. 결론적으로 NPHPT는 정상 PTH를 가진 군에 비해 혈압이 높을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저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칼슘 수치가 장상이어도 PTH 수치를 낮출 수 있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규모 장기간 전향적 연구로 확인해야 할 것이다.

  • MSD
  • 유한양행
  • 대웅제약
  • SANOFI
  • AstraZeneca
  • NOVARTIS
  • 한독약품
  • LG생명과학
  • 한미약품
  • Boehringer Ingelheim
  • Takeda
  • astellas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한국사회복지회관 르네상스타워 빌딩 9층 901호 (우) 01495    Tel : 02-714-2428 / 716-2428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송영기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