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프로그램

연구회 및 조인트 심포지엄

Korean Evidence for Hot Topics in Adrenal Research (부신연구회 심포지엄)
2022년 4월 7일(목) / 16:50~18:20 / 룸2 (Room 2)
소개의 글
부신연구회 심포지엄에서는 최근 국내 연구진이 발표한 부신질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이를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 연자인 울산의대 이승은 교수는 부신정맥 채혈 시 한쪽 부신정맥만 삽관에 성공한 결과를 활용하여 일차 알도스테론증 일측성 병변을 감별할 수 있는 지표를 소개합니다. 두 번째 연자인 충북의대 구유정 교수는 질량분석법 기반 부신 스테로이드 프로파일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일회 채혈로 부신종양을 구분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합니다. 세 번째 연자인 한양의대 박정환 교수는 아편유사작용제를 장기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아편유사작용제 유발 부신기능 부전에 대한 병태생리, 역학, 진단, 관리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합니다.
좌장 : 김두만 (한림의대), 이형우 (영남의대)
16:50~17:10 이승은 Primary Aldosteronism Subtyping in the Setting of Partially Successful Adrenal Vein Sampling
이승은 (울산의대)
17:10~17:30 구유정 Metabolic Subtyping of Adrenal Tumors: Prospective Multi-Center Cohort Study in Korea
구유정 (충북의대)
17:30~17:50 박정환 Opioid-induced Adrenal Insufficiency
박정환 (한양의대)
Panel Discussion
17:50~18:20 김효정
김효정 (을지의대)
류영상
류영상 (조선의대)
조윤영
조윤영 (순천향의대)
Korean Factsheets on Rare Disease: One More Step for Overcoming Rare Disease
(내분비희귀질환연구회-진료지침위원회 Joint Symposium)

2022년 4월 7일(목) / 16:50~18:20 / 룸3 (Room 3)
소개의 글
내분비희귀질환연구회와 진료지침위원회는 “Korean Factsheets on Rare Disease : One More Step for Overcoming Rare Disease” 라는 주제로 세가지 내분비 희귀질환에 대한 Factsheet를 제작하였고 이에 대한 심포지움을 준비하였습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공단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김정희 교수가 선천부신과증식, 김경진 교수가 저인산혈증, 김지원 교수가 말단비대증에 대해 국내 현황에 대해 강의를 준비하였습니다.
좌장 : 안규정 (경희의대), 오기원 (성균관의대)
16:50~17:10 김정희 Epidemiology and Adverse Outcomes in Korean Patients with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김정희 (서울의대)
17:10~17:30 김경진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Non-secondary and Nonrenal Hypophosphatemia in Korea
김경진 (고려의대)
17:30~17:50 김지원 Mortality and Comorbidities in Korean Patients with Acromegaly
김지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Panel Discussion
17:50~18:20 노정현
노정현 (인제의대)
전숙
전숙 (경희의대)
정수진
정수진 (부천세종병원)
Endocrine Medications that May Affect Aging Process Itself (노년내분비연구회 심포지엄)
2022년 4월 8일(금) / 09:00~10:30 / 룸4 (Room 4)
소개의 글
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한 노년의 삶을 위한 항노화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항노화 효과를 기대하는 여러 후보 물질과 약물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본 노년내분비연구회 세션에서는 항노화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가지고 있는 메트포민, 여성호르몬, 그리고 멜라토닌의 업데이트된 자료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향후 항노화치료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좌장 : 김광원 (가천의대), 박정현 (인제의대)
09:00~09:20 김혜진 Metformin and Aging
김혜진 (아주의대)
09:20~09:40 채희동 Hormon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Women
채희동 (울산의대 산부인과)
09:40~10:00 김미경 Melatonin and Aging
김미경 (인제의대)
Panel Discussion
10:00~10:30 임동미
임동미 (건양의대)
정지윤
정지윤 (순천향의대)
정찬희
정찬희 (순천향의대)
Genetic Approach and Treatment of Rare Bone Disease (대사성골질환연구회 심포지엄)
2022년 4월 8일(금) / 10:40~12:10 / 룸4 (Room 4)
소개의 글
금번 대사성골질환연구회 심포지움에서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한 대표적 rare bone disease에 대해 세분의 연자와 세분의 패널을 모시고 심도있는 논의를 가지고자 합니다. 심포지움은 rare bone disease 의 genetic approach (서울의대 소아청소년과 고정민), FGF23 related hypophosphatemic disease의 치료 (연세의대 내분비내과 이승현), 그리고 hypophosphatasia의 치료 (서울의대 내분비내과 문준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심포지움을 통해 대표적인 rare bone disease 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정리해볼 수 있는 알찬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좌장 : 홍성빈 (인하의대)
10:40~11:05 고정민 Genetic Approach to Skeletal Dysplasia
고정민 (서울의대 소아청소년과)
11:05~11:30 이승현 Treatment of FGF23-related Hypophosphatemic Diseases
이승현 (연세원주의대)
11:30~11:55 문준호 저인산증 (Hypophosphatasia)
문준호 (서울의대)
Panel Discussion
11:55~12:10 하정훈
하정훈 (가톨릭의대)
홍아람
홍아람 (전남의대)
Gynecomastia (남성호르몬연구회 심포지엄)
2022년 4월 8일(금) / 14:50~16:20 / 룸2 (Room 2)
소개의 글
남성호르몬연구회에서는 내분비내과에서 접하는 남성호르몬 관련 질환에 대해 내분비내과 뿐 아니라 유관 기관 및 전문가분들을 모시고 다학제간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2022년 춘계학술대회에서는 여성형 유방을 주제로 소아, 영상의학, 내분비, 외과 전문가들의 강의를 통해 진단/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개원가와 종합병원의 치료환경에 맞춘 관리방법을 함께 논의해 보고자합니다. 진료실에서 여성형 유방 환자를 볼 때 반드시 알아야하는 필수적인 지식을 이번 세션을 통해 한번에 습득하실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좌장 : 정윤석 (아주의대), 박석원 (연세의대)
14:50-15:05 채현욱 Gynecomastia and Precocious Puberty in Boys
채현욱 (연세의대 소아청소년과)
15:05-15:20 윤정현 여성형 유방의 영상의학적 진단
윤정현 (연세의대 영상의학과)
15:20-15:35 공성혜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Gynecomastia in Adults
공성혜 (서울의대)
15:35-15:50 민호균 여성형유방증 수술적 치료의 최신지견
민호균 (유미노 외과의원)
Panel Discussion
15:50~16:20 신승호
신승호 (신유외과)
최용준
최용준 (아주의대)
Update on Novel Lipid-lowering Agents : Beyond Statins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대한내분비학회 Joint Symposium)
2022년 4월 8일(금) / 14:50~16:20 / 룸3 (Room 3)
소개의 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대한내분비학회 Joint Symposium에서는 기존에 잘 알려지고, 가장 흔하게 쓰이는 ‘스타틴을 제외한 새로운 이상지질혈증 치료제에 대한 최신 지견’을 주제로 2분의 심장내과 교수님 (서울의대 이원재교수님, 연세의대 이찬주교수님)과 1분의 내분비내과 교수님(동아의대 서성환교수님)을 모시고, 1) PCSK9 억제제에 효과적인 후보 환자 군들의 선택 전략과 2) LDL 수용체와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새로운 조절인자들에 대한 소개 및 3) 최신 치료 약제의 대사적인 효과 혹은 부작용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좌장 : 최동훈 (연세의대 심장내과), 김철식 (연세의대)
14:50-15:10 이원재 Best Candidate Patients for Abs & siRNA against PCSK9
이원재 (서울의대 순환기내과)
15:10-15:30 이찬주 ANGPTL3 and Apolipoprotein C-III as Novel Lipid-lowering Targets
이찬주 (연세의대 심장내과)
15:30~15:50 서성환 Metabolic Consequences of New Lipid Lowering Drugs: Good or Bad?
서성환 (동아의대)
Panel Discussion
15:50~16:20 김경수
김경수 (CHA의대)
유지희
유지희 (연세원주의대)
이상아
이상아 (제주의대)
임신 전후 갑상선질환의 진단 및 치료 (갑상선분과회 심포지엄)
2022년 4월 8일(금) / 16:30~18:00 / 룸3 (Room 3)
소개의 글
임신 중 갑상선호르몬 상태가 태아의 뇌신경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래로 임신 중 (무증상) 갑상선저하증 및 이에 영향을 주는 갑상선자가항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최근까지 계속 발표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2017년 미국갑상선학회 임상진료지침 발표 이후에 출판된 연구결과를 반영한 임상진료지침이 아직까지 진료현장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임신 중 갑상선질환의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생각할 때 새로운 임상진료지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조선의대 김진화 교수님께서 갑상선자가항체가 임신 중 합병증 및 태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최근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려드릴 것입니다. 중앙의대 안화영 교수님께서는 임신 전후로 진단된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정확한 진단 방법과 갑상선호르몬의 치료에 대해 발표해 주실 것입니다. 본 세션은 최근 진행되고 있는 임신 전후 갑상선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새로운 임상진료지침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리이며, 많은 분들의 적극적 참여와 다양한 의견 제시를 부탁합니다.
좌장 : 이종민 (가톨릭의대), 임창훈 (CHA의대)
16:30~17:00 김진화 갑상선자가항체가 임신 및 임신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김진화 (조선의대)
17:00~17:30 안화영 Diagnosis and Treatment of Hypothyroidism Before and After Pregnancy
안화영 (중앙의대)
Panel Discussion
17:30~18:00 송영신
송영신 (CHA의대)
임동준
임동준 (가톨릭의대)
정경연
정경연 (을지의대)
비만 진료의 실제 (대한비만학회-대한내분비학회 Joint Symposium)
2022년 4월 8일(금) / 16:30~18:00 / 룸5 (Room 5)
소개의 글
최근 들어 국내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한비만학회 발표에 따르면 성인 3명 중에 1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에 해당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말합니다. 한국인의 경우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이면 비만에 해당합니다. 장기간 에너지 소비량보다 과도하게 영양소를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발됩니다. 비만의 치료법에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이 있습니다. 평소에 섭취하던 열량보다 500~1,000 kcal 정도 덜 섭취하도록 하며, 매일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등 에너지 소비량을 늘려야 합니다.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으로도 비만이 치료되지 않는 경우 비만치료제를 추가하여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 비만 치료에 있어서도 장기간 처방할 수 있는 약들에 소개되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비만치료제는 식욕을 억제하여 음식을 적게 섭취하도록 하거나, 지방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비만을 치료합니다. 식욕억제제는 뇌에서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거나, 포만감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신경전달물질이나 호르몬의 작용을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지방흡수 억제제는 고열량인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의 체내 축적을 막습니다. 이에 본 세션에서는 한림의대 노은 교수께서 식욕 중추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해 줄 예정입니다. 이어서 약제 관련하여 먼저 순천향의대 김보연 교수께서 Qsymia에 대해서 강의하시겠습니다. Qsymia는 phentermine와 topiramate의 복합체로 10%에 가까운 체중 감소를 보여주었습니다. 이어서 가톨릭의대 손장원 교수께서 GLP-1 제제에 대해서 소개할 예정입니다. GLP-1 제제의 하나인 liraglutide 3.0mg 제형이 Saxenda 라는 이름으로 처방이 가능합니다. GLP-1은 원래 장에서 분비되는 일종의 호르몬입니다. 장이 음식물로 자극을 받으면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분비되는 아주 강력한 인슐린 분비 자극 호르몬이고,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저하시키고, 포만감을 유지시켜줍니다. 최근 들어서는 GLP-1에 GIP 항진제를 추가한 dual incretin 제형에 대해 연구들도 나와, 이부분에 대해서도 소개하실 예정입니다.
좌장 : 이관우 (아주의대), 이창범 (한양의대)
16:30~16:50 노은 Appetite Regulation: Role of Brain and Peripheral Signals in Obesity
노은 (한림의대)
16:50~17:10 김보연 Role of Phentermine and Qsymia in Obesity Management
김보연 (순천향의대)
17:10~17:30 손장원 Role of Incretin-based Therapy in Obesity Management: Liraglutide, Semaglutide, Tirzepatide
손장원 (가톨릭의대)
Panel Discussion
17:30~18:00 김현진
김현진 (충남의대)
서미혜
서미혜 (순천향의대)
이정은
이정은 (CHA의대)

  • 대한내분비학회
  • (04146)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E. endo@endocrinology.or.kr l T. 02-714-2428 l F. 02-714-5103
  • 사업자등록번호: 106-82-31113 l 대표자 성명: 유순집

  • 2022 대한내분비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학연산 심포지엄 준비사무국 (플랜베어)
  • (07806)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 220 우성에스비타워Ⅱ 1101호
  • E. endo@planbear.co.kr l T. 02-6734-1011/1012/1013 l F. 02-6734-1009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