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골대사질환

조화영(국군수도병원)

제1형 당뇨병이 동반된 골절환자에서 골조직검사를 통한 Nonezymatic glycation과 mineralization에 대한 평가 Nonenzymatic Glycation and Degree of Mineralization Are Higher in Bone From Fractured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J Bone Miner Res. 2016 Jan;31(1):190-5

당뇨병은 주요 골다공증성 골절 (major osteoporotic fractures, MOF)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아직 WHO FRAX에 당뇨병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연구에서 당뇨병이 골절 위험도를 20-30%가량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류마티스관절염이 골절에 미치는 위험도와 비슷하다. 제1형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군에 비하여 골절 위험도가 2배 가량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퇴부골절 위험도는 4-5배 가량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높은 골절 위험도는 유년기부터 관찰되며 이는 남성, 여성 모두에서 전 연령대에서 관찰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골밀도가 비당뇨병 환자군에 비하여 낮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제2형 당뇨병에서는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은 골밀도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골밀도 저하 뿐 아니라 골질의 저하로 인한 골강도의 감소는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골절 위험도 증가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골질 저하의 기전 중 하나로 제시되는 nonezymatic glycation는 당뇨병 환자의 수많은 결체조직에서 관찰되며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로 조직에서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과 연령을 매칭한 골절이 있는 제1형 당뇨병 환자 (fracturing T1DM group, N = 5), 골절이 없는 제1형 당뇨병 환자 (nonfracturing T1DM group, N = 5)와 정상인 (CTL, N = 5)을 대상으로 iliac crest부위의 골조직검사를 통해 bone matrix에서 AGEs와 mineralization 상태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 목적은 첫째, T1DM군에서 CTL에 비하여 bone matrix에 더 많은 AGEs (pentosidine)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자 했다. 둘째, 세 군사이의 골 석회화 정도 (The degree of mineralization of bone, DMB)와 골 강도를 비교하고자 했다. AGEs (pentosidine)는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피질골 (cortical bone)과 소주골 (trabecular bone)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DMB는 digitized microradiography를 이용하여, mechanical properties는 micro- and nanohardness test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fracturing T1DM의 소주골은 CT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pentosidine 값(p = 0.04)을보였으며, nonfracturing T1DM (p = 0.04)과 CTL (p = 0.04)에 비하여 골 석회화 정도가 높았다. 하지만 nonfracturing T1DM과 CTL사이에 pentosidine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피질골에서 nonfracturing T1DM은 CTL과 차이가 없었다. HbA1c와 pentosidine (r' = 0.79, p < 0.003), HbA1c과 DMB (r' = 0.64, p < 0.02)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저자들은 제1형 당뇨병에서 고혈당에 의한 nonezymatic glycation이 골의 flexibility를 감소시켜 저에너지 골절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산모의 비타민D보충이 출생시 골량에 미치는 영향
Maternal gestational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offspring bone health (MAVIDOS): a multicentre,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6 May;4(5):393-402

산모의 비타민D상태는 몇몇 관찰연구에서 자녀의 골량과 연관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산모에게 임신기간 중 비타민D 보충이 자녀의 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영국에서 시행한 다기관 이중맹검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임신 10-17주의 혈중 25-hydroxyvitamin D 값이 25-100nmol/l (10-40 ng/ml)인 18세 이상 산모 1134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이다. 시험군은 경구 cholecalciferol 1000 IU/day를 임신14주부터 출산시까지 복용을 하였다. Primary outcome 은 DXA를 이용하여 시행한 출산 후 2주이내 신생아의 whole-body bone mineral content (BMC) 이었다. 시험군은 565명, 대조군은 569명 이었다. Neonatal whole-body BMC는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1·6 g [95% CI 60·3-62·8] vs 60·5 g [59·3-61·7], respectively; p=0·21). Safety outcome에서는 대조군에서 시험군에 비하여 severe post-partum hemorrhage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96 [17%] of 569 mothers in the placebo group vs 65 [12%] of 565 mothers in the cholecalciferol group; p=0·01). 시험군에서 유의한 부작용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임신 중 cholecalciferol 1000 IU/day의 경구 보충은 자녀의 Neonatal whole-body BMC의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는 못했으나, 대부분의 산모에서 충분한 비타민D보충이 가능했으며, 안전하다고 보고하였다. 진행중인 MAVIDOS 후속 연구결과들이 기다려진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한국사회복지회관 르네상스타워 빌딩 9층 901호 (우) 01495    Tel : 02-714-2428 / 716-2428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송영기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