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대사질환
김경민(서울의대)
혈관 및 판막의 석회화와 수질 및 피질골의 골밀도의 상관성
QCT Volumetric Bone Mineral Density and Vascular and Valvular Calcification: The Framingham Study
Jimmy J Chan,1 L Adrienne Cupples,2,3 Douglas P Kiel,4,5,6 Christopher J O’Donnell,3,4,7 Udo Hoffmann,4,7 and Elizabeth J Samelson4,5,6 1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Bronx, NY, USA 2 Boston University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USA 3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s Framingham Heart Study, Framingham, MA, USA 4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USA 5 Institute for Aging Research, Hebrew SeniorLife, Boston, MA USA 6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Boston, MA, USA 7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Boston, MA, USA
J Bone Miner Res 2015 Oct;30(10):1767-74
Osteoporosis와 Vascular calcification에 대한 유의한 상관성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들은 지속적으로 발표되어 왔다.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으나, 이 두 가지의 병적 상태는 Aging process라는 공통점 이외에도 몇 몇 병리기전을 공유함으로써, 골밀도와 혈관의 석회화가 음의 관련성을 보일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JBMR의 최근호에 Framingham study 에서 QCT로 측정한 spine volumetric BMD (vBMD) 와 Agatston Score (AS) 방법을 통해 측정한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CAC)/ abdominal aorta calcification(AAC), 혹은 aortic valve나 mitral valve의 calcification 정도와의 상관성에 대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Framingham offspring study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남자 689명, 여자 628명이 포함되었고 평균연령은 60세였다. Volumetric BMD와 혈관이나 판막의 calcification정도는 CT를 통하여 측정되었고, 그 각각 수치에 따라서 sex-specific quartile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여성에서 CAC는 trabecular vBMD의 quartile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AC의 경우에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trabecular vBMD 의 quartile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Valvular calcification 과 trabecular vBMD의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cortical vBMD의 경우에는 valvular calcification뿐 아니라, 혈관의 calcification 정도와도 아무런 유의한 상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QCT를 통하여 BMD를 trabecular와 cortical compartment를 나눠서 각각의 값이 혈관이나 판막의 calcification정도와 상관성이 있는지를 비교 및 확인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에서도 trabecular vBMD와 AAC의 유의한 역의 상관성이 남녀 모두에서 관찰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골절과 심혈관 질환의 두 가지 질환 모두에서의 고위험군 환자에서 두 가지 모두를 target으로하는 치료법의 가능성 및 필요성을 이야기해주는 바라 하겠다.
수술 후 부갑상선 기능 저하 환자에서 PTH(1-34)의 효과
PTH(1–34) for Surgical Hypoparathyroidism: A Prospective, Open-Label Investigation o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ssunta Santonati,* Andrea Palermo,* Ernesto Maddaloni, Daniela Bosco, Antonio Spada, Franco Grimaldi, Bruno Raggiunti, Raffaele Volpe, Silvia Manfrini,* Fabio Vescini,* and the Hypoparathyroidism AME Group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Sa., D.B., A.Sp.), San Giovanni Addolorata Hospital, 00184 Rome, Italy;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nd Diabetes (A.P., E.M., S.M.), University Campus Bio-Medico, 00128 Rome, Italy;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nd Diabetes (F.G., F.V.), Santa Maria della Misericordia Hospital, 33100 Udine, Italy; Department of Endocrinology (B.R.), Hospital San Liberatore Atri, 64032 Teramo Italy; an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R.V.), Cardarelli Hospital, 80131 Naples, Italy
(J Clin Endocrinol Metab 100: 3590 –3597, 2015)
JCEM최신호에, 수술 이후 발생한 부갑상선 기능 저하 환자에서 1일 2회, PTH(1-34) 20 mcg을 피하 주사한 경우의 6개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전체 42명의 수술 후 부갑상선 기능 저하 환자들이 포함되었고 90%가 여성이었으며 나이는 34-77세였다. 이 42명의 환자에 대해서 주2회 PTH(1-34) 20mcg을 피하주사 하였다. 약물치료군의 경우 주사 투여 15일 뒤부터 혈액 내 칼슘수치가 올랐으며 이후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반대로 환자의 Calcium 와 vitamin D 보충제의 용량이 현저하게 줄었다. Phosphate의 추시는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ALP는 증가하였다. Rand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를 통해서 측정한 우울증 정도도 급격하게 좋아졌다.
향후 2년정도 장기적인 결과까지 추가적으로 확인해봐야 하겠지만,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수술 후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에서, PTH(1-34)가 정신적 및 신체적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약물이다라는 점이다.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