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최한석 (동국의대)
폐경후 골감소증 여성에서 sclerostin 항체인 blosozumab의 무작위 이중맹검 2상 임상 시험(A randomized, double-blind phase 2 clinical trial of blosozumab, a sclerostin antibod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J Bone Miner Res 2014 Aug 28, Epub ahead of print
Sclerostin은 SOST gene의 단백으로 osteocyte에서 분비되며 골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losozumab은 이러한 sclerostin에 대한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로 개발되었다. 이번 연구는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center phase 2 clinical trial로서 45~85세의 낮은 골밀도(요추 골밀도 -2.0~-3.5)를 갖는 폐경후 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Placebo 투여군, blosozumab 180 mg(Q4W), 180 mg(Q2W), 270 mg(Q2W) 피하 주사군의 52주 째 골밀도와 골표지자 변화를 비교하였다. 요추 골밀도는 약제 투여 후 12주째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여 52주 째 blosozumab 180 mg(Q4W), 180 mg(Q2W), 270 mg(Q2W) 군의 요추 골밀도는 각각 8.4%, 14.9%, 17.7% 증가하였다. 또한 blosozumab 180 mg(Q4W), 180 mg(Q2W), 270 mg(Q2W) 군에서 대퇴부 전체의 골밀도는 각각 2.1%, 4.5%, 6.7% 증가하였으며, 대퇴경부 골밀도는 각각 2.7%, 3.9%, 6.3% 증가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P1NP는 blosozumab 투여 시 4주 이내에 최고치에 이르며 24주 동안 기저치 이상으로 유지되다가 이후 투약 이전 수준으로 돌아오는 양상을 보였으며, osteocalcin, BSALP 역시 투약 후 초기에 증가했다가 이후 기저치로 돌아오는 양상을 보였다. 골흡수 표지자인 CTx는 투약 후 2주째 감소 후 12주째 placebo 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돌아왔으나, 연구 종료 시점에는 placebo에 비해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안전성 측면에서 주사 부위에 가려움증, 부종, 홍반 등 경미한 수준의 부작용이 placebo 군에서 10.3%, blosozumab 군에서 22.6~40.0%정도 보고되었다. 유방암이 blosozumab 군에 포함되었던 4명에서 발생하였으나, blosozumab 치료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저자들은 판단하였다. 또한 blosozumab 투여군에서 혈중 칼슘의 감소와 함께 부갑상선호르몬 수치가 증가하였으나 이와 관련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Blosozumab 투여군 중 32명(35%)에서 약제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었으나 이중 단 1명에서만 약제 효과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환자의 경우 연구 종료 시험에 항체가가 최대치(>1:160000)에 이르렀으며 골밀도 증가는 요추부와 대퇴부 전체에서 각각 3.2%, 0.2%로 비교적 작았다.
폐경후 골다공증 여성에서 PTHrP 유사체인 abaloparatide가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Effects of Abaloparatide, a Human Parathyroid Hormone-related Peptide Analog,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J Clin Endocrinol Metab 2014 Nov 7, Epub ahead of print
Abaloparatide는 parathyroid hormone-related protein(PTHrP)의 synthetic peptide analog로서 폐경후 골다공증의 치료제로 새롭게 개발되었다. 이번 연구는 multi-center, multi-national,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로서 폐경후 골다공증 여성 22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placebo 투여군, teriparatide 20mcg 투여군, abaloparatide 20, 40, 80 mcg 투여군의 총 5군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골표지자 변화를 비교하였다. 약제 투여 후 24주 째 abaloparatide 20, 40, 80 mcg 군의 요추 골밀도는 각각 2.9%, 5.2%, 6.7% 증가하였으며, teriparatide 투여군은 5.5% 증가하였다. 대퇴경부 골밀도는 abaloparatide 20, 40, 80 mcg 군에서 각각 2.7%, 2.2%, 3.1% 증가하였으며, teriparatide 투여군은 1.1% 증가하였다. 또한 대퇴부 전체 골밀도는 abaloparatide 20, 40, 80 mcg 군에서 각각 1.4%, 2.0%, 2.6% 증가하였고 teriparatide 투여군에서 0.5% 증가하여 대퇴부에서의 골밀도 증가가 teriparatide 투여군에 비해서 abaloparatide 투여군에서 현저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P1NP는 abaloparatide 40, 80 mcg 군에서 각각 55%, 52% 증가하였으며, teriparatide 투여군은 98% 증가하였다. 골흡수 표지자인 CTx는 abaloparatide 40, 80 mcg 군에서 각각 32%, 23% 증가하였으며, teriparatide 투여군은 76% 증가하였다. 안전성 측면에서 고칼슘혈증 (serum calcium ≥ 10.5 mg/dL)이 나타난 비율은 placebo 군에서 2%, abaloparatide 20, 40, 80 mcg 군에서 각각 7%, 14%, 11% 였으며, teriparatide 군에서 40%였다. Abaloparatide 투여군의 12%에서 antiabaloparatide antibody가 low titer (≤1:20)로 양성을 보였으나, 이와 관련된 부작용이나 약제 효과의 상쇄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골형성 촉진제로서 abaloparatide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