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첫 내분비용어집이 발간되고, 2006년 첫 개정판이 발간된 지 15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대한내분비학회 교과서개정위원회에서는 내분비대사학 교과서 개정과 함께 용어집 제3판의 개정을 시작하였다.
각 세부 학회 및 연구회를 대표할 위원들을 위촉하였고, 기존 용어집에 수록된 용어들을 바탕으로, 의사협회 용어집 6판, 대한당뇨병학회 용어집 4판, 최신판 내분비학 교과서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14th) 인덱스를 참고하여 새로운 용어들을 추가하였다.
2021년 4월 26일 첫 용어개정위원회 회의 이후 각 파트별 담당 위원들이 해당 파트 용어를 정리하였다. 이후 2021년 9월 9일 2차 회의와 2022년 3월 13일 용어개정위 워크숍을 통해서 용어 개정 원칙에 대한 재정비와 파트 간 토의를 진행하였다.
2022년 6월 10일, 위크숍 후 최종 정리된 용어집 개정 초안 중 주요 용어들에 대해 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 함께 제60회 의학용어 원탁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원탁토론회에서는 내분비학회 위원 2명, 대한의사협회 용어위원회 위원, 한림원 의학용어 개발 및 표준화 위원회 위원, 국어학자가 지정토론자로 참여하여, 각 의학회 별로 차이가 있고 혼란이 있는 용어 및 전체적인 의학용어의 변화들에 대하여 깊은 토론을 하였다.
이후 원탁토론회의 토의 사항을 바탕으로 대한내분비학회 용어개정위원회 위원들의 의견을 다시 수렴하였고, 정리된 용어에 대해 2022년 8월 30일 온라인 공청회를 개최하여 내분비대사학의 각 세부 분과 대표, 자문 위원, 한림원 참석자, 학회 임원 등 여러분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정된 의학 용어들로 3판 내분비대사학 교과서의 용어들을 통일할 수 있었으며, 2022년 10월 27일 내분비대사학 교과서 3판 출판기념일에 맞추어 진행된 마지막 용어 회의를 통해 최종 점검을 진행 후 용어집을 발간하게 되었다.
- 섹션별 주요 변경 용어
-
용어 |
질환 |
개정 전 (2판) |
개정 후 (3판) |
이유 |
adenomatous goiter |
갑상선 |
선종양갑상선종 |
선종성갑상선종 |
KMA, KDA와 용어통일 |
central hypothyroidism |
갑상선 |
중심갑상선기능저하증 |
중추갑상선기능저하증 |
KMA, KDA와 용어통일 |
euthyroid sick syndrome |
갑상선 |
정상갑상선-비정상기능증후군 |
정상갑상선기능질병증후군 |
용어표기 원칙 중 하이픈(-) 생략 |
fine needle aspiration (FNA) |
갑상선 |
미세침흡인 |
세침흡인 |
KMA, KDA와 용어통일 |
Lenvatinib |
갑상선 |
|
렌바티닙 |
3판 신규 추가 용어 |
Lugol's solution |
갑상선 |
루골용액 |
뤼골용액 |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needle biopsy |
갑상선 |
침생검 |
바늘생검 |
KMA, KDA와 용어통일 |
nontoxic goiter |
갑상선 |
비중독갑상선종 |
비독성갑상선종 |
KMA, KDA와 용어통일 |
poor differentiated carcinoma |
갑상선 |
|
저분화갑상선암 |
3판 신규 추가 용어 |
propylthiouracil |
갑상선 |
프로필티오우라실 |
프로필싸이오유라실 |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Refractory differntiated thyroid cancer |
갑상선 |
|
불응성분화갑상선암 |
3판 신규 추가 용어 |
subacute (granulomatous) thyroiditis |
갑상선 |
아급성갑상선염 |
아급성갑상선염 |
'-성' 제외 시 의미가 불분명할 경우 유지 |
Subclinical hypothyroidism |
갑상선 |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
용어표기원칙 중 붙여쓰기 원칙 |
thyroid ophthalmopathy |
갑상선 |
|
갑상선안병증 |
3판 신규 추가 용어 |
thyroid storm |
갑상선 |
갑상선중독발작 |
갑상선위기 |
KMA, KDA와 용어통일 |
thyrotoxicosis factitia |
갑상선 |
의인(성)갑상선중독증 |
의인갑상선중독증 |
용어표기원칙 중 접미사 '-성' 제거 |
thyroxine |
갑상선 |
티록신 |
타이록신 |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Calcidiol |
골대사 |
칼시디올 |
칼시다이올 |
수산화기(-OH)가 2개 존재하는 경우 '다이올'로 표기함. |
calcifediol |
골대사 |
칼시페디올 |
칼시페다이올 |
수산화기(-OH)가 2개 존재하는 경우 '다이올'로 표기함. |
calcitriol |
골대사 |
칼시트리올 |
칼시트라이올 |
수산화기(-OH)가 3개 존재하는 경우 '트라이올'로 표기함. |
collagen |
골대사 |
아교질, 교원질 |
아교질, 콜라젠 |
'겐' → '젠' 통일 |
hydroxyproline |
골대사 |
히드록시프롤린 |
하이드록신프롤린 |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hyperparathyroidism |
골대사 |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부갑상선항진증 |
'기능'을 삭제하기로 함. |
hypoparathyroidism |
골대사 |
부갑상선기능저하증 |
부갑상선저하증 |
'기능'을 삭제하기로 함. |
pseudohyperparathyroidism |
골대사 |
가성부갑상선기능항진증 |
거짓부갑상선기능항진증 |
Pseudo- : '거짓'으로 하기로 함. |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 |
골대사 |
선택적에스트로겐수용체조절제 |
선택적에스트로젠수용체조절제 |
'겐' → '젠' 통일 |
hypopituitarism |
뇌하수체 |
뇌하수체기능저하증 |
뇌하수체저하증 |
'기능' 제외 |
hypothalamic releasing factor |
뇌하수체 |
시상하부유리인자 |
시상하부방출인자 |
실질적인 뜻을 반영하는 용어로 변경 |
nonfunctioning pituitary tumor |
뇌하수체 |
|
비기능뇌하수체종양 |
3판 신규 추가 용어, '성' 제외 |
panhypopituitarism |
뇌하수체 |
범뇌하수체기능저하증 |
범뇌하수체저하증 |
'기능' 제외 |
prolactin |
뇌하수체 |
프롤락틴 |
프로락틴 |
외래어 표기 적용 |
Sheehan's syndrome |
뇌하수체 |
쉬안증후군 |
쉬안증후군, [KMA] 시한증후군 |
외래어 표기 적용 |
alkylphenol |
EDC |
|
알킬페놀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aryl hydrocarbon receptor |
EDC |
|
아릴하이드로카본수용체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bisphenol A |
EDC |
|
비스페놀 A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brominated flame retardant |
EDC |
|
브롬화난연제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coumestan |
EDC |
|
쿠메스탄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diabetogen |
EDC |
|
다이아베토젠, 당뇨병유발물질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dichloro-diphenyldichloro-ethylene |
EDC |
|
p,p-DDE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diisononyl phthalate |
EDC |
|
다이이소노닐 프탈레이트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dioxin |
EDC |
|
다이옥신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endocrine disruptor |
EDC |
|
내분비교란물질, 내분비계장애물질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endocrine-disrupting chemical |
EDC |
|
내분비교란물질, 내분비계장애물질, [약] EDC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endosulfan |
EDC |
|
엔도설판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environmental toxin |
EDC |
|
환경적 위험요소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epigenetic modification |
EDC |
|
후성유전변화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epoxy resin |
EDC |
|
에폭시레진, [KMA] 에폭시수지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insulin-like factor 3 |
EDC |
|
인슐린유사인자3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metabolism disrupting chemical |
EDC |
|
대사교란물질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obesogen |
EDC |
|
오베소젠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organochlorine pesticide |
EDC |
|
유기염소계농약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erchlorate |
EDC |
|
과염소산염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er-fluorinated compound |
EDC |
|
과불소화물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erfluoroalkyl substance |
EDC |
|
과불소알킬화물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
EDC |
|
잔류유기오염물질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hthalate |
EDC |
|
프탈레이트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olybrominated biphenyl |
EDC |
|
다브롬화바이페닐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olycarbonate |
EDC |
|
폴리카보네이트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olychlorinated biphenyl |
EDC |
|
다염화 바이페닐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
EDC |
|
다환방향족탄화수소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polyprominated diphenyl ether |
EDC |
|
다브롬화디페닐에테르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trans-nonachlor |
EDC |
|
트랜스노나클로르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tributyltin |
EDC |
|
트리브틸틴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triclosan |
EDC |
|
트리클로산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xenoestrogen |
EDC |
|
이종에스트로젠 |
3판 신규 추가 용어, 용어표기원칙 중 외래어 표기 적용 |
선과 샘 (gland)
Gland에 대한 우리말 용어를 결정함에 있어, 의사협회 용어집에서는 ‘선(腺)’은 단음(單音)이기 때문에 소리만 듣고 뜻을 유추하는 데 한계가 있고, ‘腺’이란 한자는 일본에서 네덜란드의 해부학 책을 일본어로 번역하면서 만든 일본한자로 상용한자에도 속해 있지 않음 등을 근거로 ‘샘’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내분비학회에서는 기존 내분비 전문가들이 사용해왔던 용어에 대한 존중 및 보전하는 것의 필요성으로 선으로 표기하기로 하였으며, 뒤에 KMA 용어를 병기하였다.
(기능)항진/(기능)저하
호르몬 분비의 항진, 저하를 나타내는 표현에서 ‘기능’이라는 단어를 사용할지 삭제할지에 대해서도 많은 고민 및 토의가 있었다. ‘기능’이라는 표현이 없어도 의미 전달에 문제가 없어 삭제하자는 의견과 기존 오랫동안 사용해 왔던 용어일 뿐만 아니라 명확히 ‘기능’적 이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의미 전달에 유용하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해당 용어의 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담하는 분과 학회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여 갑상선 파트는 ‘기능’ 유지(갑상선기능항진증/저하증), 이외 다른 파트들에서는 삭제(뇌하수체저하증, 부신저하증)으로 통일하였다.
갑상선암(종)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암은 상피세포인 갑상선 여포세포 기원의 암종(carcinoma)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국가암등록통계(중앙암등록본부)의 공식 자료와 실제 임상에서 갑상선암 (thyroid cancer)으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어 용어집에서는 ‘갑상선암 (thyroid cancer)’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교과서에서도 갑상선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의 경우 병리학적으로 특별히 구분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thyroid carcinoma를 ‘갑상선암종’ 대신 ‘갑상선암’으로 기술하였다.
releasing hormone
기존 ‘유리호르몬’에서 ‘방출호르몬’으로 변경하였다.
*유리(遊離)
「명사」『화학』화합물에서 결합이 끊어져 원자나 원자단이 분리되는 일.
또는 원자나 원자단이 결합을 이루지 아니하고 다른 물질 속에 분리되어 있는 일.
*방출(放出)
「명사」 비축하여 놓은 것을 내놓음.
-diol/-triol
수산화기(-OH)가 2개 존재하는 경우 ‘다이올’로, 수산화기(-OH)가 3개 존재하는 경우 ‘트라이올’로 표기하였다.
예) estradiol 에스트라다이올, calcitriol 칼시트라이올
-gen
외래어 의학용어의 표기의 경우, 의학용어집 제6판에 따라 외래어 표기법에는 어긋나지만 관례적으로 영어식으로 표기하는 용어들은 영어식으로 표기하였다. 반면 인명이나 지명과 같은 고유명사는 현지음을 따른다.
독일식 표기 ‘겐’에서 영어식 표기 ‘젠’으로 변경하였다.
예) estrogen 에스트로겐 → 에스트로젠
-lase
효소명은 한글로 표기하였다.
예) amylase 아밀라아제 → 녹말분해효소
de-
의학용어집 제6판에 따라 접두사 ‘de-’의 표기도 이전 ‘디-’에서 ‘데-’로 변경하였다.
예) deoxyribonucleic acid (DNA) 디옥시리보핵산 → 데옥시리보핵산
외래어 표기 적용
루골용액 → 뤼골용액
티록신 → 타이록신
프로필티오우라실 → 프로필싸이오유라실
프롤락틴 → 프로락틴
Pseudo
가성 → 거짓
KMA/KDA와의 용어 통일
Central hypothyroidism 중심갑상선기능저하증 → 중추갑상선기능저하증
Fine needle aspiration (FNA) 미세침흡인 → 세침흡인
Needle biopsy 침생검 → 바늘생검
Nontoxic goiter 비중독갑상선종 → 비독성갑상선종
Thyroid storm 갑상선중독발작 → 갑상선위기
Collagen
아교질, 교원질 → 아교질, 콜라젠
띄어쓰기
용어집 원칙에 따라 의학용어는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단, 예외 상황으로 돌란드나 의학용어집에 없는 용어에 대해서는 의미의 전달에 중점을 두고 일부 띄어쓰기를 허용하였다.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집 반영 용어
반면, 원탁토론회를 거쳐 우리 학회의 의견을 전달하고, 이것이 수렴되어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집에도 반영이 된 것들이 있다.
예) microalbuminuria 미세알부민뇨 → 미량알부민뇨 short/intermediate/long-acting insulin 단기/중기/장기작용인슐린
hot/warm/cold nodule 열/온/냉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