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비만/지질

홍상모(한양의대 구리병원 내분비내과)

75세 노인에서 심혈관질환의 일차예방 목적의 스타틴 중단 시 심혈관 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Cardiovascular effect of discontinuing statins for primary prevention at the age of 75 year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France.
Giral P et al., European Heart Journal, 2019 Nov 14;40(43):3516-3525

  스타틴의 심혈관 질환 발생의 일차적 그리고 이차적 예방 효과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 여러RCT 연구에서 75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사후 분석에서는 스타틴의 심혈관 질환의 일차 예방 효과가 뚜렷하지 않아서 75세 이상의 노인에서의 스타틴 복용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일차 예방 목적으로 스타틴 복용 중이던 환자가 시간이 지나 고령이 되면서, 의료진에게는 스타틴을 유지할 지 또는 중단할 지에 대한 갈등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이번 연구가 어느 정도 답을 주었다.

  이번 연구는 프랑스에서 스타틴을 2년 이상 복용해 온 75세 노인 120,173 명을 대상으로, 스타틴 중단 시 심혈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연구자들은 프랑스 국민 건강 보험 청구 데이터 베이스 및 병원 진단, 임상 절차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였다. 2012년과 2014년 사이 75세가 된 환자 중 과거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스타틴을 잘 복용하고 있으면서, 과거력상 심혈관 질환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 하였다. 120,173명의 환자를 평균 2.4년 추적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14.3%(17,204명)가 3개월 이상 스타틴 복용을 중단했으며, 4.5%(5,396명)가 심혈관 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하였다. 그리고 스타틴을 중단한 환자들은 심혈관 질환의 발생 33% 증가였고, 관상 동맥 질환 발생 위험은 46% 증가하고, 뇌졸중 위험은 26% 증가 하였다.

  이 연구는 후향적 관찰 연구이기 때문에, 스타틴의 중지와 심혈관 질환 증가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보다는 연관관계만 제시한다는 것과, 약제의 순응도를 직접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평가 하였기 때문에 현실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한 정보가 없었으며 환자가 스타틴을 중단한 이유에 대한 정보도 제한적이다.

노인에서의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와 동맥 경화성 심혈관 질환 사이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Incident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ooled Cohorts.
Nanna MG et al., J Am Geriatr Soc. 2019 Dec;67(12):2560-2567.

  젊은 연령의 성인에서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증가할 수록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이 증가 한다고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노인에서는 이러한 연관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에서도 75세 이상의 노인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일차 예방목적으로 스타틴을 시작하거나 유지 할지에 대해서 환자가 가진 심혈관 질환의 위험 정도와 스타틴의 효과 및 부작용을 고려하여 충분히 상의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이 연구는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ooled Cohorts (Framingham Study, Framingham Offspring Study,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and Cardiovascular Health Study)을 이용하여 75세 이상의 노인에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증가와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의 연관성을 살펴 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75세 이상의 심혈관 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266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78세고로 LDL-c level은 117mg/dL 이였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75세 이상의 노인에서는 LDL-c level과 심혈관 질환의 발생 간에 유의한 연관 관계가 없었고, 다른 심혈관 위험인자의 동반 유무와도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Framingham Study, Framingham Offspring Study,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and Cardiovascular Health Study등의 코호트 연구들은 대상자의 특성을 세심히 관찰하였던 연구로, 기존의 젊은의 연령에서의 LDL-c과 심혈관 질환의 상관 관계를 확인 하였던 연구 들이다. 또한 스타틴이 널리 사용하기 전에 연구가 진행되어 LDL-c과 심혈관 질환 간의 관계를 스타틴 약제 복용에 따른 교란 변수의 영향 없이 분석하는 것이 가능했다는 장점이 있었다. 반면, 각 연구 마다 75세 이상의 노인의 수가 매우 적었기 때문에 통계적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여러 코호트의 결과를 묶어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개별의 연구 결과를 살펴 보면 연구자들은 LDL-c과 심혈관 질환 간의 관계를 스타틴 사용자를 제외하고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로 분석을 진행 하였고, 그 결과 adjusted hazard ratio가 1.022 (95% confidence interval = 0.998‐1.046; P = 0.07) 이였다. 다른 심혈관 위험인자(당뇨, 고혈압, 흡연)가 없는 환자에서 고지혈증 (LDL‐C ≥130 mg/dL or on lipid‐lowering medications)의 유무에 따른 심혈관 발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Kaplan‐Meier rates = 5.8%(고지혈증 유) and 7.0% (고지혈증 무), P = 0.25). 한개 또는 두개 이상의 심혈관 위험인자를 동반 한 경우에도 고지혈증의 유무에 따른 심혈관 발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Kaplan‐Meier rates = 12.8% vs 15.0% [P = 0.44] for one other risk factor and 21.9% vs 24.0% [P = 0.59] for two or more other risk factors). 이 연구의 제한점은 기존의 여러 코호트의 자료를 통해 75세 이상의 연구 대상자를 최대한 수집하였음에도 연구 대상자가 2667명 정도였다는 점과, 고지혈증 약제 치료의 효과나 치료 후 LDL-c의 변화에 따른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 변화까지 분석에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spon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우)04146    Tel : 02-2038-0072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이은직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