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뇌하수체/부신

홍재원(인제의대 일산백병원 내분비내과)

부신 정맥 채혈시 코신트로핀 투여에 대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편측화의 세가지 패턴
(Three Discrete Patterns of Primary Aldosteronism Lateralization in Response to Cosyntropin During Adrenal Vein Sampling)

Wannachalee T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19; 104(12): 5867–5876

  부신 정맥 채혈 중 코신트로핀 자극은 부신 정맥 관삽입술의 성공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며, 시술중 호르몬 변동 가능성을 줄여준다. 하지만,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의 편측화에 미치는 코신트로핀의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저자들은 부신 정맥 채혈 중 코신트로핀 자극 후 시간에 따른 편측화의 주요한 패턴과 관련된 결정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미시간 대학병원에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을 진단받고 코신트로핀 자극 전, 10분, 20 분 후 부신 정맥 채혈을 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편측 (U) 또는 양측 (B)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판단은 편측화 지수 (liateralization index value) 4를 기준으로 정하였다.

  부신 정맥 채혈에서 코신트로핀 자극을 하기 전 (기저치) 과 자극을 한 경우를 비교 했을 때,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편측화는 222명 중 169명(76%; U/U, N=110; B/B, N=59) 과는 일치하였고 53 명 (24%; U/B, N=32; B/U, N=21) 과는 불일치 하였다. 말초 및 우세한 부신 정맥의 알도스테론 농도와 편측화 지수는 U/U 환자들에서 가장 높았고, B/B 그룹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코신트로핀 자극 후 편측화 지수는 환자의 27% 에서는 증가, 33% 감소, 40%에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기저 알도스테론 농도가 코신트로핀 자극 후의 편측화 지수와 관련이 있었다. 61명의 환자에서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는데, KCNJ5 돌연변이가 있는 대부분의 환자는 코신트로핀 투여 후 편측화 지수가 감소하는 반면에, ATP1A1 과 ATP2B3 돌연변이는 가진 환자는 코신트로핀 투여 후 편측화 지수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심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는 코신트로핀 사용에 관계 없이 강하게 편측화를 보였다.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에서 코신트로핀 투여가 편측화 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일정하지 않았으며, 돌연변이의 종류와 기저 알도스테론 농도가 코신트로핀 자극 후 편측화 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차성 부신기능 부전 환자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투여가 아디포넥틴과 고밀도지질 단백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Glucocorticoid Replacement Affects Serum Adiponectin Levels and HDL-C in Patients With Secondary Adrenal Insufficiency)

Reiko Hayashi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19; 104: 5814-5822

   낮은 아디포넥틴과 고밀도지질 단백질 농도는 심혈관 질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일차성 부신 기능 부전 환자는 고밀도지질 단백질 농도가 현저히 낮으며, 글루코코르티로이드 보충이 고밀도지질 단백질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이차성 부신 기능 부전 환자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투여와 아디포넥틴의 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저자들은 이차성 부신 기능 부전 환자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투여가 아디포넥틴과 지질 수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파트 1: 단면 연구
   일본 오사카 대학 병원에 내원한 환자중 비기능성 뇌하수체 종양을 진단받고 인슐린 내성 시험 (insulin tolerance test) 으로 부신 기능을 평가받은 58 명 환자를 대상으로 인슐린 내성 시험 동안 코티솔의 농도와 아디포넥틴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파트2: 무작위 이중 눈가림 교차연구
   3 분기 (각 4주, 총 12 주) 동안 매일 10,20,30mg 의 하이드로코티손을 무작위로 투여받은 이차성 부신기능 부전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매 4 주 마다 아디포넥틴과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인슐린 내성 시험시 최고 코르티솔 농도는 아디포넥틴과 고밀도지질 단백질 농도와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차성 부신기능 부전 환자에서 아디포넥틱과 고밀도지질 단백질 농도는 부신기능이 정상인 대상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아디포넥틴 농도와 고밀도지질 단백질 농도는 하이드로코티손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차성 부신 기능 부전 환자에서 글르코코르티코이드 투여는 아디포넥틴과 고밀도지질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킨다.

spon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우)04146    Tel : 02-2038-0072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이은직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