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 |
뇌하수체/부신 |
프로락틴 분비 종양, 도파민 작용제와 임신: 3차 신경내분비 센터의 종단적 경험
(Prolactin‑secreting tumors, dopamine agonists and pregnancy: a longitudinal experience of a tertiary neuroendocrine center)
20년 동안의 3차 의료 기관에서의 말단비대증에 대한 관리 변화
(Changes in multi‑modality management of acromegaly in a tertiary centre over 2 decades)
|
250 |
골대사 |
성선기능저하증 남성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와 골절 발생률
(Testosterone Treatment and Fractures in Men with Hypogonadism)
골다공증 선별 검사 여성에서 FRAX의 cardiovascular risk 예측 성능: Manitoba BMD Registry
(FRAX predicts cardiovascular risk in women undergoing osteoporosis screening: the Manitoba bone mineral density registry)
|
249 |
갑상선 |
간섬유화를 동반한 NASH 환자에서 Resmetirom의 효과를 평가한 제3상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
(A Phase 3,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Resmetirom in NASH with Liver Fibrosis)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레보티록신과 리오티로닌 복합제의 효과를 본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연구: the LEVOLO study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n levothyroxine and liothyronine combination therapy in totally thyroidectomized subjects: the LEVOLIO study)
|
248 |
당뇨병 |
제2형 당뇨병 동반 비만한 심부전 환자에서 ‘위고비’의 효과와 안전성
(Semaglutide in Patients with Obesity-Related Heart Failure and Type 2 Diabetes)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신장 질환에 대한 ‘오젬픽’의 효과
(Effects of Semaglutide on Chronic Kidney Disea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
247 |
지질/비만 |
난치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Evinacumab의 장기간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
(Longer-Term Efficacy and Safety of Evinacumab in Patients With Refractory Hypercholesterolemia)
새로 진단된 ASCVD 환자에서 Lipoprotein(a) 증가와 후속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및 관상동맥 재혈관시술 위험 연관성에 대한 코호트 연구
(Elevated lipoprotein(a) increases risk of subsequent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MACE) and coronary revascularization in incident ASCVD patients: A cohort study from the UK Biobank)
|
246 |
지질/비만 |
동아시아인 위주의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체중 조절을 위한 주 1회 세마글루타이드 2.4mg 의 유효성과 안정성에 대한 연구 (STEP 7) : 이중-맹검,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연구
(Efficacy and safety of once weekly semaglutide 2·4 mg for weight management in a predominantly east Asian population with overweight or obesity (STEP 7): a double-blind,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비만 대사 수술 이후 시행된 감독 하 운동 치료가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무작위 임상 시험
(Effects of a supervised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fter bariatric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245 |
뇌하수체/부신 |
부신우연종으로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갈색세포종: 3차의료기관 대규모 조사 연구
(Pheochromocytomas Most Commonly Present As Adrenal Incidentalomas: A Large Tertiary Center Experience)
일차성 고알도스테론증 진단에 있어 경구 퓨로세마이드 검사의 효용성
(Efficacy of Oral Furosemide Test for Primary Aldosteronism Diagnosis)
|
244 |
뇌하수체/부신 |
무증후성 뇌하수체 선종의 재발 및 재치료율의 증가 관련 위험요인 분석
(Elevated risk of recurrence and retreatment for silent pituitary adenomas)
말단비대증 환자에서 횡파 탄성 초음파영상을 이용한 아래팔근육 분석
(Assessment of forearm muscles with ultrasound shear wave elastography in patients with acromega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