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골대사

박소영 (경희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파킨슨병의 중증도와 유병 기간에 따른 골절 위험도
Fracture risk in Parkinson’s disease according to its severity and duration

Hye Yeon Koo et al.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23; 34(1): 81-89

파킨슨병 환자들은 골절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연구들에서 파킨슨병의 중증도, 유병 기간이 낙상 혹은 골밀도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과거 연구들에서는 이런 요인들이 고려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의 중증도와 유병 기간에 따라 골절 위험을 결정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한국의 국민 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하였다. 2009년 건강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의 대상자 중에서, 10,333명의 파킨슨병 환자와 6,501,464명의 대조군이 포함되었다. Cox proportional hazard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의 유무, 중증도, 유병 기간에 따라 골절 위험을 분석하였다. Any fracture는 vertebral fractures, hip fracture와 other fractures (fractures of the upper arm, forearm, or lower leg, etc.)로 정의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은 건강 검진 시행일에서부터 골절 발생, 사망, 혹은 2019년 12월 31일까지였다.

파킨슨병 환자들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9년이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any fracture 발생 위험이 1.49배 높았다 (adjusted hazard ratio [aHR] 1.49, 95% confidence interval [CI] 1.44–1.56). 골절 부위를 나눠서 분석하였을 때 고관절 골절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HR 2.16, 95% CI 1.95–2.38). 파킨슨병 환자에서 any fracture 발생 위험은 파킨슨병의 중증도와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중증 파킨슨병 환자에서 골절 위험이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aHR 1.65, 95% CI 1.53–1.79 compared with controls). 반면에, 파킨슨병의 유병 기간과 골절 위험 사이에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파킨슨병의 발생은 골절 위험을 증가시켰고, 파킨슨병의 중증도에 비례하여 골절 위험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실제 임상진료 현장에서 환자의 골절 위험을 평가할 때, 파킨슨병의 유무와 질병의 중증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폐경 여성에서 골수 지방조직과 취약 골절 연관성
Bone Marrow Adiposity and Fragility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ADIMOS Case-Control Study

Julien Paccou et al.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23; 108(10): 2526-2536

이 연구는 proton density fat fraction (PDFF)와 골절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프랑스의 Lille University Hospital에서 진행된 환자-대조군 연구이다. 폐경 여성 중에서 최근 골절이 발생한 그룹을 환자군으로, 골절이 발생하지 않는 그룹을 대조군으로 정의하였다. 요추와 근위부 대퇴부 (femoral head, neck, and diaphysis)의 PDFF를 chemical shift-based water-fat separation MRI (WF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요추와 고관절에서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cans을 촬영하였다. 이 연구의 일차 목적은 폐경 여성에서 요추 PDFF와 골다공증 골절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PDFF를 비교하였고, 나이, 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골밀도를 보정하였다. 그리고 환자군의 경우 전체 골절과 골절 부위에 따라 나눠서 PDFF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199명의 대상자 중에서 대조군 99명, 환자군 100명이었다. 환자군과 비교하여 대조군에서 젊은 연령의 대상자들이 더 많았고, 척추와 고관절 골밀도가 더 높았다 (P<0.001). 환자군은 52명의 임상적 척추골절 환자와 48명의 비척추골절 환자가 포함되었다. 나이, CCI, BMD를 보정한 후 두 그룹 간 요추, 근위부 대퇴부에서 PDFF의 차이가 없었다. 52명의 임상적 척추 골절 환자와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환자 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femoral neck PDFF와 femoral diaphysis PDFF이 낮게 측정되었다 (adjusted mean [SE] 79.3% [1.2] vs 83.0% [0.8]; P = 0.020, and 77.7% [1.4] vs 81.6% [0.9]; P = 0.029, respectively).

결론적으로, 폐경 여성에서 골다공증 골절이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 요추 PDFF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근위부 대퇴부 PDFF는 나이, CCI, 골밀도와 독립적으로 폐경 여성에서 임상적 척추 골절에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spon MSD AMGEN 릴리 종근당 동아ST 셀트리온 유한양행 아스트라제네카 한미약품 대웅제약 한독 SANOFI LG화학 novo nordisk 제일약품 이노엔 Daiichi-Sankyo 릴리 보령제약 부광약품 다림바이오텍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정윤석
  • Tel : 02-714-2428 | Fax : 02-714-5103 | E-mail : endo@endocrinolog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