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뇌하수체

홍재원 (인제의대 일산백병원 내분비내과)

당뇨병이 말단 비대증 환자의 이환율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abetes on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Acromegaly

Daniela Esposito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22; 107(9): 2483-2492

말단 비대증에서 혈당 대사 장애는 흔한 합병증으로 당뇨병의 유병율이 19-56 % 로 알려져 있다. 말단비대증의 과도한 성장호르몬 분비는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데, 유리지방산의 증가 및 간내 포도당 신생합성 증가 및 말초조직에서의 포도당 흡수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말단비대증의 일차 치료는 수술적 제거이나, 반 정도의 환자에서 추가적인 스마토스타틴 유사체 치료가 필요하며, 이 약제 역시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켜,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은 심혈관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나, 말단 비대증 환자에서 당뇨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당뇨병이 말단 비대증 환자의 이환율 및 생존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스웨덴의 관찰, 코호트 연구로 진행이 되었다. 1987년부터 2020 년사이에 말단 비대증으로 진단되어 스웨덴 국제 환자 레지스트리 (Swedish National Patient Registry)에 등록이 된 환자 중 동시에 국제 당뇨병 및 약제 레지스트리 (National Diabetes Registry and Drug Registry)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ox regression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사망률 및 심혈관 사망률과 이환율을 평가하였다.

총 254 명의 당뇨가 있는 말단 비대증 환자 (ACRO-DM group) 와 532명의 당뇨가 없는 말단 비대증 환자 (ACRO group) 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ACRO-DM 과 ACRO 그룹의 평균 (SD) 연령은 각각 62.6(11.4), 60(12.1) 세였다. (P = .004) 말단비대증의 평균 (SD) 유병기간은 각각 6.8 (8.1) and 6.0 (6.2) 년이었다. (P = .098) 전체적인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9.2 년이었다.

보정되지 않은 1000명-년당 전체적인 사망률은 35.1 (95% CI, 27.2-44.7) 과 20.1 (95% CI, 16.5-24.3) 였다. 여러가지 복합변수를 보정한 전체적인 사망 위험도 (Hazard ratio)는 ACRO 그룹에 비해 ACRO-DM 그룹이 1.58 (95% CI, 1.12-2.23) 였다. 심혈관 사망률 (HR 2.11; 95% CI, 1.09-4.10) 과 이환율 (HR 1.49; 95% CI, 1.21-1.82) 역시 ACRO-DM 그룹에서 더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말단비대증 환자에서 당뇨병은, 심혈관 사망률과 이환율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Hazard ratios for overall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CV) mortality and morbidity. Unadjusted and fully adjusted using propensity score hazard ratios in patients with acromegaly and type 2 diabetes compared with patients with acromegaly without diabetes.

내인성 쿠싱증후군이 전체적인 사망률 및 원인에 따른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dogenous Cushing Syndrome on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Padiporn Limumpornpetch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22; 107(8): 2377-2388

내인성 쿠싱 증후군은 뇌하수체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ACTH)의 과다 또는 부신의 자율적인 코티솔의 과다분비로 인해 부적절한 코티솔 과다상태를 말하는데, 드문 질환이기 대문에 인구학적 데이타가 별로 없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체계적인 리뷰 및 메타 분석을 통해서 내인성 쿠싱 증후군의 전체적인 사망률과 원인에 따른 사망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45 년부터 2021년 1 월까지의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PubMed/MEDLINE, Cochrane Library, EMBASE, Web of Science, CINAHL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Cushing syndrome (Cushing*, adrenal tumour*, adrenal adenoma*, adrenocortical adenoma*, glucocorticoid producing adenoma*, glucocorticoid producing tumour*, Cushing disease, ACTH producing tumour*, ACTH-secreting tumour*, ACTH-producing adenoma*, pituitary tumour* 를 키워드로 문헌 검색을 시행하였다. 선택 편향 (selection bias)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1) 비영어권 문헌 2) 동물 실험 3) 케이스 보고, 컨퍼런스 초록, 임상 가이드 라인 4) 외인성 쿠싱 연구 5) 사망률이 높은 악성 종양 (부신 악성 종양, 악성 뇌하수체 종양 또는 이소성 쿠싱) 6) 완치된 쿠싱병 환자의 장기간 추적에 대한 연구 들은 제외하였다.

3691 명의 환자 (13 개의 뇌하수체 쿠싱 코호트, 7 개의 부신 쿠싱 코호트)를 포함한 14 개의 논문이 쿠싱증후군의 표준화된 사망률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 를 보고하였다. 전체적인 SMR 은 모든 쿠싱증후군에서는 3.0 (95% CI, 2.3-3.9; I2 = 80.5%), 뇌하수체 쿠싱병에서는 2.8 (95% CI, 2.1-3.7; I2 = 81.2%) 부신 쿠싱병에서는 3.3 (95% CI, 0.5-6.6; I2 = 77.9%) 이었다. 19 181 명의 쿠싱 증후군 환자를 포함한 87개의 논문에서 사망 비율(Proportion of deaths)을 보고하였는데, 0.05 (95% CI, 0.03-0.06) 였으며, 뇌하수체 쿠싱병과 부신 쿠싱병 간에 차이는 없었다. 모든 쿠싱증후군 (P < .001), 뇌하수체 쿠싱병 (P < .001), 부신 쿠싱병 (P = .01) 은 모두 시기에 따른 사망 비율의 차이가 있었는데 2000년 이전의 사망비율은 0.1 (10%) 이었고, 최근 분석은 0.03 (3%) 이었다. 사망 원인은 동맥경화질환 및 혈전 (43.4%), 감염 (12.7%), 악성종양 (10.6%), 질병의 활성 (3.5%), 부신 저하(3.0%), 그리고 자살 (2.2%) 이었다.

최근 치료 성적이 좋아지고 있음에도,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사망률 증가는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원인분석에 따라 적극적인 심혈관 질환의 검진 및 치료, 항혈전제 사용, 부신 저하증에서의 적절한 스테로이드 치료 및 감염 예방, 자살을 막기 위한 정신과적 개입등이 쿠싱병 환자의 사망률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

Forest plot presenting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 all-cause mortality of all types of Cushing syndrome. ACS, adrenal Cushing syndrome; BAH, bilateral adrenal hyperplasia; CD, Cushing disease.
Causes of death from all Cushing syndrome (CS) cohorts (n = 64)
spon MSD AMGEN 릴리 종근당 동아ST 셀트리온 유한양행 아스트라제네카 한미약품 대웅제약 한독 SANOFI LG화학 novo nordisk 제일약품 이노엔 Daiichi-Sankyo 릴리 보령제약 부광약품 다림바이오텍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정윤석
  • Tel : 02-714-2428 | Fax : 02-714-5103 | E-mail : endo@endocrinolog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