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비만

김진택 (을지의대 노원을지대병원 내분비내과)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의 체중 감소 유지에 대한 지속적인 주간 피하 세마글루타이드 대 위약의 효과- STEP 4 무작위 임상 시험
Effect of Continued Weekly Subcutaneous Semaglutide vs Placebo on Weight Loss Maintenanc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Randomized Clinical Trial Domenica Rubino et al. JAMA. 2021;325(14):1414-1425

과체중 또는 비만인 사람의 체중 감소 유지에 대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GLP-1수용체 작용제인 세마글루타이드로의 치료 지속 또는 중단의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성인의 체중 유지를 위해(두 그룹 모두 생활 방식 중재 포함) 피하 세마글루타이드 2.4mg으로 주 1회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과 매주 2.4mg 세마글루타이드를 20주간 투여한 후 위약으로 전환하는 것을 비교하였다. 2018년 6월부터 2020년 3월까지 10개국 73개 기관에서 체질량 지수가 30 kg/m2 이상(또는 체중 관련 동반질환이 1 이상인 경우 체질량 지수≥27 kg/m2) 성인을 대상으로 무작위, 이중 맹검, 68주 3a상 약물 중단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902명의 참가자가 준비기간 동안 주 1회 피하 세마글루타이드를 투여하였다. 20주 후(용량 증량 16주, 유지 용량 4주), 세마글루타이드 유지 용량 2.4mg/wk에 도달한 803명의 참가자(89.0%)가 48주 연속 피하 세마글루타이드(n = 535) 또는 위약으로 전환(n = 268)하는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모두에서 라이프스타일 중재를 함께 시행하였다. 1차 종료점은 20주부터 68주까지의 체중 변화율이었다. 2차 종료점은 허리 둘레, 수축기 혈압 및 신체 기능(Short Form 36 Version 2 Health Survey, Acute Version [SF-36]을 사용하여 평가)의 변화였다. 20주 준비 기간(평균 10.6%의 체중 감소)을 완료하고 무작위 배정된 803명의 연구 참가자 중(평균 연령, 46[SD, 12]세, 634명[79%] 여성, 평균 체중, 107.2kg[SD, 22.7kg]), 참가자 787명(98.0%)이 시험을 완료했고 741명(92.3%)이 치료를 완료했다. 세마글루타이드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20주부터 68주까지의 평균 체중 변화는 -7.9% 대 위약으로 전환한 경우 +6.9%였다(차이, -14.8 [95% CI, -16.0 ~ -13.5]퍼센트 포인트; P < 0.001 ). 허리둘레(-9.7cm [95% CI, -10.9 ~ -8.5cm]), 수축기 혈압 (-3.9mmHg [95% CI, -5.8 ~ -2.0mmHg]), SF-36 신체 기능 점수 (2.5 [95% CI, 1.6 - 3.3])의 경우도 피하 세마글루타이드 지속으로 개선되었다(모두 P<0.001). 피하 세마글루타이드를 지속한 참가자의 49.1%에서 위장관 사건이 보고된 반면 위약에서는 26.1%가 보고되었다. 세마글루타이드(2.4%) 및 위약(2.2%)을 계속 사용했을 때 부작용으로 인해 유사한 비율이 치료를 중단했다. 과체중 또는 비만인 성인 중 20주간 피하 세마글루타이드(주 1회 2.4mg)를 투여한 후 위약으로 전환한 것과 비교하여 세마글루타이드로 치료를 유지한 결과 이후 48주 동안 체중이 계속 감소하였다.

일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둘라글루타이드와 비교한 터제파타이드 단일요법의 효능 및 안전성(SURPASS J-mono): 이중 맹검, 다기관, 무작위, 3상 시험
Efficacy and safety of tirzepatide monotherapy compared with dulaglutide in Japan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URPASS J-mono): a double-blind, multicentre, randomised, phase 3 trial

Nobuya Inagaki et al.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2022; 10(9):623-633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치료 목표에 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우리는 일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둘라글루타이드와 비교하여 새로운 GIP 및 GLP-1 수용체 작용제인 터제파타이드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다기관, 무작위, 이중 맹검, 병렬, 능동 제어, 3상 시험은 일본의 46개 의료 연구 센터 및 병원에서 수행되었다. 경구용 당뇨약제 단독요법을 중단했거나 치료 경험이 없는 2형 당뇨병이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이 포함되었다. 참가자들은 대화형 웹 응답 시스템(Interactive Web Response System)과 함께 컴퓨터에서 생성된 무작위 순서를 사용하여 일주일에 한 번 터제파타이드(5, 10 또는 15mg) 또는 둘라글루타이드(0.75mg)를 투여하도록 무작위로 배정(1:1:1:1)되었다. 참가자들은 기준선 HbA1c(≤8.5% 또는 >8.5%), 기준선 BMI(<25 또는 ≥25kg/m2) 및 당뇨약물의 휴약을 기준으로 계층화되었다. 참가자, 조사자 및 스폰서는 치료 할당에 가려졌다. 터제파타이드의 시작 용량은 4주 동안 주 1회 2.5 mg이었고, 이후 터제파타이드 5mg 치료군에서 5mg으로 증량하였다. 터제파타이드 10mg 및 15mg 치료 그룹의 경우 할당된 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매 4주마다 2.5mg씩 증가하였다. 1차 종점은 수정된 치료 의도 모집단에서 측정된 52주차 기준선 대비 HbA1c의 평균 변화였다. 이 시험은 ClinicalTrials.gov, NCT03861052에 등록되어 있다. 2019년 5월 7일부터 2021년 3월 31일 사이에 821명의 참가자가 연구 자격에 대해 평가되었고 636명이 티르제파티드 5 mg(n=159), 10 mg(n=158) 또는 15 mg(n=160), 또는 둘라글루타이드 0.75mg(n=159) 투여군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615명(97%)의 참가자가 연구를 완료했고 21명(3%)이 중단했다. 참가자의 평균 연령은 56.6세(SD 10.3)였으며 대부분 남성이었다(481[76%]). 52주차에 HbA1c는 기준선에서 터제파타이드 5mg의 경우 -2.4(SE 0.1), 터제파타이드 10mg의 경우 -2.6(0.1), 터제파타이드 15mg의 경우 -2.8(0.1), 둘라글루타이드의 경우 -1.3(0.1) 최소 제곱 평균만큼 감소했다. 둘라글루타이드에 비교한 예상 평균 치료 차이는 터제파타이드 5mg의 경우 -1.1(95% CI -1.3 ~ -0.9), 터제파타이드 10mg의 경우 -1.3(-1.5 ~ -1.1), 및 티르제파티드 15mg의 경우 -1.5(-1.71 ~ -1.4)(모두 p<0.0001)였다. 터제파타이드는 5mg의 경우 기저치에 비하여 체중이 −5.8 kg (SE 0.4; −7.8% 감소), 10mg의 경우 -8.5kg(0.4; - 10mg의 경우 11.0% 감소), 15mg의 경우 -10.7kg(0.4; -13.9% 감소) 감소하였고, 둘라글루타이드 그룹에서는 -0.5kg(0.4; -0.7%) 감소) 감소하였다. 가장 흔한 치료 관련 부작용은 메스꺼움(5 mg 그룹 19명(12%) vs 10mg 그룹 31명(20%), 15mg 그룹 32명(20%), 모든 터제파타이드 투여군 12명(둘라글루타이드 투여군에서 8%), 변비(24[15%] vs 28[18%] vs 22[14%] vs 17[11%]), 비인두염(29[18%] vs 25[16%])] vs 22[14%] vs 26[16%])이었다. 가장 빈번한 이상반응은 위장관계 부작용이였다(636건 중 23건[4%]). 터제파타이드는 혈당 조절 및 체중 감소에 대해 둘라글루타이드에 비해 우수하였다. 터제파파타이드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안전성 프로파일과 일치하여 일본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용도를 보여주었다.

spon MSD AMGEN 릴리 종근당 동아ST 셀트리온 유한양행 아스트라제네카 한미약품 대웅제약 한독 SANOFI LG화학 novo nordisk 제일약품 이노엔 Daiichi-Sankyo 릴리 보령제약 부광약품 다림바이오텍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정윤석
  • Tel : 02-714-2428 | Fax : 02-714-5103 | E-mail : endo@endocrinolog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