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뇌하수체

이재혁(한양의대 명지병원 내분비내과)

수술은 비침습적인 유즙분비뇌하수체 종양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1차 치료이다.

Surgery is a safe, effective first-line treatment modality for noninvasive prolactinomas
Ji Yong Park et al. Pituitary. 2021 June 29. doi: 10.1007/s11102-021-01168-x

  도파민 작용제 (dopamine agonist:DA)는 오랫동안 프로락틴분비 선종에 대해 권장되는 1 차 치료법이었다. 그러나 수술 기술의 발달로 수술적 치료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침습성 프로락틴분비 선종(prolactinoma) 환자에서 두 가지 다른 초기 치료 (DA 및 transsphenoidal surgery:TSA)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2004 년부터 2020 년까지 전남대 화순병원에서 치료받은 고프로락틴 혈증 또는 뇌하수체 종양 환자 745 명을 검토하여 310 명을 prolactinoma로 확인했다. 뇌하수체 종양이 있는 환자를 선택한 후 70 명의 환자(TSA수술을 받은 29 명, DA를받은 41 명)가 최종적으로 비교 연구에 포함되었다. 치료반응의 요소로 생식선 기능의 회복 정도, 프로락틴의 정상화, 종양크기의 감소, 질환의 조절(프로락틴의 정상화, 50%이상의 종양크기 감소) 및 DA-free remission(프로락틴의 정상화, MRI상 종양의 소실)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생식선 기능 회복율 및 프로락틴 정상화 비율 은 두 치료군에서 유사하였고, 50% 이상의 종양 감소(96.6 % vs. 36.6 %, p <0.05), MRI상 선종 소실(86.2 % vs. 22.0 %, p <0.05), DA-free 관해 (58.6 % 대 7.3 %,p <0.05)에서 TSA수술 그룹은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미세선종 및 거대선종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군에서 모두 수술군에서 종양 감소, MRI상 선종 소실,DA-free 관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일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DA-free 관해 측면에서 훨씬 더 나은 임상 결과를 TSA수술군에서 나타내었다. TSA수술군에서는 수술 후10ng/mL 미만의 프로락틴 수치는 DA-free 관해의 유일한 유의한 예측 인자였다.

  결론적으로 위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침습적 프로락틴종이 있는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가 유사한 임상 결과를 보였고 합병증이 적었다. 따라서 임신을 고려하는 여성 환자들은 다양한 개별적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가 1차 치료로 고려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침습적 프로락틴종의 치료에 있어서는 도파민 작용제 (DA)을 이용한 치료가 아직은 우선이 될 수 있겠다.

말단비대증에서 경구 옥트레오타이드 캡슐(OOC)의 2건의 3상 시험 결과

Oral octreotide capsules for the treatment of acromegaly: comparison of 2 phase 3 trial results
Artak Labadzhyan et al. Pituitary. 2021 June 25. doi: 10.1007/s11102-021-01163-2

  위 연구에서는 주사제의 대안으로 경구 옥트레오타이드 캡슐(OOC)을 조사한 2건의 3상 시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했던 두 3상 연구는 CH-ACM-01 와 CHIASMA OPTIMAL를 이용하였고, CH-ACM-01은 open-label trial (N = 155), CHIASMA OPTIMAL은 이 중 맹검 위약 대조 시험이었다(ouble-blind placebo-controlled) (N = 56). 두 시험 모두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리간드(iSRL)에 반응을 보인 말단비대증 환자에 대한 유지 요법으로 OOC를 투여 후 임상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분석에서 두 3상 시험의 대상자의 기본 특성은 유사하였다. OOC는 일관된 수준의 성장호르몬 및 IGF-1수치 등의 생화학적 반응을 보였는데 CH-ACM-01 환자의 65%가 CORE PERIOD 동안 반응 (response: IGF-I ≤ 1.3 × ULN)을 나타냈고, CHIASMA OPTIMAL 대상환자의 64%가 연구기간 동안 유의한 반응 (response: IGF-I ≤ 1.0 × ULN)을 보였다. CH-ACM-01에서 고정 용량 단계에 진입한 110명의 환자 중 80%가 치료 종료까지 말단비대증 증상이 유지되거나 개선되었다. OOC는 두 시험 모두에서 내약성이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디자인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2개의 상호 보완적인 획기적인 3상 시험에서 OOC는 생화학적 반응, 반응 지속성 및 선호도에 대해 현저하게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였다.

spon MSD AMGEN 릴리 종근당 동아ST 셀트리온 유한양행 아스트라제네카 한미약품 대웅제약 한독 SANOFI LG화학 novo nordisk 제일약품 이노엔 Daiichi-Sankyo 릴리 보령제약 부광약품 다림바이오텍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우)04146    Tel : 02-2038-0072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유순집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