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당뇨·비만 연구실
(Laboratory of Diabetes and Obesity)

오경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 2형당뇨병과 비만

  현대의 좌식 생활 방식(sedentary lifestyle)과 과도한 칼로리 섭취(excessive calorie intake)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2형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및 “비만(Obesity)” 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발병이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때문에, 세계보건기구 (WHO)는 2형당뇨병(T2DM) 및 비만(Obesity)을 “전 세계적인 유행병(pandemic diseases)”로서 간주하고 있으며, 이들의 심혈관질환, 암 등을 포함한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과의 밀접한 연관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공중 보건 문제 중 하나로 손꼽고 있다.

  2형당뇨병은 2018년 기준, 한국성인(30세 이상) 7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질환으로, 현재 한국 유병인구는 500만 명에 달한다. “Diabesity (diabetes+obesity)” 라는 용어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2형당뇨병과 비만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실제, 2형당뇨병 환자의 75%가 과체중 또는 비만에 해당되며, 비만, 즉 내장 백색지방의 병리학적 확장은 2형당뇨병을 유발하는 위험요소로도 잘 알려진 바 있다 [그림1]. 2형당뇨병과 비만은 공통적으로 간, 지방, 근육 등 인슐린 민감성 장기에서의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을 근간으로 유발되며, 지방간질환, 암, 심혈관질환 등의 만성합병증 및 동반이환(comorbidity)의 유병률을 높인다.


그림1. 제 2형 당뇨(type 2 diabetes) 및 비만(obesity)

2. 당뇨∙비만 연구실 (Laboratory of Diabetes and Obesity)

  인체의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글루코스대사와 지질대사의 이상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며, 이는 당뇨병 및 비만 유발과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식이섭취 마우스 모델 (High-fat diet; 고지방 식이, High-carbohydrate diet; 고탄수화물 식이,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diet; 비알콜성 지방간염 식이)” 및 “타겟 결손 마우스 모델”을 구축을 통해 2형당뇨병, 비만,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을 제어할 수 있는 인자를 발굴하고,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물질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간질환
Keyword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sulin resistance; Inflammation; Fibrosis; Multiple-hits

1) 비알콜성 지방간/비알콜성 지방간염 (NAFLD/NASH)

  2형당뇨병 및 비만과 더불어, 비알콜성 지방간(NAFLD)은 전체 인구의 30% 가량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간질환으로,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간경화(cirrhosis), 간암(HCC) 등 만성 간질환의 근본 원인이다. 비알콜성 지방간(NAFLD)의 발생과 진행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two-hit 가설”이 널리 인정되고 있는데, 비알콜성 지방간(NAFLD)은 첫 번째 타격(First hit)으로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간세포에 지방이 침착되고, 잇따라 두 번째 타격(Second hit)으로 지방과산화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생성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발됨에 따라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으로 진행된다. 때문에, 비알콜성 지방간(NAFLD)을 간 중성지방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 지방증(simple steatosis)과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으로 나누기도 한다. 그러나, 비알콜성 지방간(NAFLD)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대사 변화는 “two-hit 가설”만으로 설명하기에 부족하다. 비만, 2형당뇨병, 대사증후군 및 이상지질혈증 같은 대부분의 대사장애는 비알콜성 지방간(NAFLD) 발병의 위험인자이다. 최근에는 비알콜성 지방간(NAFLD)의 발달과 진행이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는 “다중타격(Multiple-Hits)”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고, 이에는 대사조직에서 분비되는 생리활성물질, 영양 및 환경요인도 포함된다 [그림2].


그림2. 비알콜성 지방간/지방간염(NAFLD/NASH)의 다중타격(Multiple-Hits) 병인

  때문에, 치료제의 부재 속에 있는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의 치료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비알콜성 지방간(NAFLD)과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비알콜성 지방간(NAFLD)/지방간염(NASH) 단계별 마우스 모델을 구축하고, 간 조직으로부터 NGS를 이용하여 타겟발굴과 타겟마우스 제작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림3]. 그리고 이렇게 찾아진 타겟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마이토콘드리아 센싱 및 지질대사관련 유전자의 프로모터 활성 (Luciferase 기반) 및 유전자 발현 기반 in vitro system을 구축하여 치료물질을 발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림4].


그림3. 비알콜성 지방간/지방간염(NAFLD/NASH) 진행 단계별 마우스 모델 구축 및 스크리닝

그림4. 비알콜성 지방간/지방간염(NAFLD/NASH) 치료물질 개발을 위한 전략

2) 비알콜성 지방간/지방간염 유래 간암 (NAFLD/NASH-derived HCC)

  간암(HCC)은 가장 공격적으로 성장하는 암 중의 하나로, 이전에는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HBV, HCV) 감염이 간세포 암종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 새로 진단된 간암환자의 최대 50%가 비바이러스성 간임으로 보고됨에 따라 비알콜성 지방간/지방간염 유래 간암 (NAFLD/NASH-derived HCC)이 강조되고 있다. 이의 병인은 매우 복잡하며, 세포가소성, 염증, 세포사멸, 세포주기 등 다양한 기전과 관련되어 있고, 이러한 간세포암종을 치료하고 개선하는 것은 쉽지 않다. 임상학적으로, 비알콜성 지방간(NAFLD)은 2형당뇨병 및 비만과 함께 동반되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좀 더 심각한 간부전 형태인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간경화(cirrhosis), 간암(HCC)로 좀 더 빠르게 악화된다 [그림5]. 본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비가역적인 만성 간질환의 예방을 위해, 비알콜성 지방간/지방간염(NAFLD/NASH)의 치료에 대한 관심을 갖고, 관련 동물모델을 구축하여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그림5. 비알콜성 지방간/지방간염(NAFLD/NASH)의 간암(HCC) 진행에 있어 제 2형 당뇨 및 비만의 영향

■ 근육 유래 질환

  인구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인구 증가로 인해 만성질환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심화되고 있다. 노인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신체적 특징은 근육량이 감소하면서 지방량이 증가하는 체구성 성분의 변화이다. 이는 노인성 질환 유발의 근본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는 “근감소증 (age-related sarcopenia)”과 복부비만, 인슐린 저항성, 혈당장애,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 복합적 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대사이상을 일컫는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과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으며, 2형당뇨병,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및 암 등의 동반이환(comorbidity) 유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실에서는 노화에 의한 근육과 근육유래의 물질이 대사기관의 병리조직학적 변화 및 대사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대사허브(metabolic hubs)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는 당뇨병, 암, 심근허혈,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등의 만성질환 및 퇴행성질환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감지기반 근육대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림6].


그림6. 노화에 따른 만성질환 극복을 위한 근육 내 미토콘드리아 감지의 조절

3. 당뇨∙비만 연구실 (Laboratory of Diabetes and Obesity) 랩원 소개


그림7.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당뇨∙비만 연구실 (Laboratory of Diabetes and Obesity)
spon MSD AMGEN 릴리 종근당 동아ST 셀트리온 유한양행 아스트라제네카 한미약품 대웅제약 한독 SANOFI LG화학 novo nordisk 제일약품 이노엔 Daiichi-Sankyo 릴리 보령제약 부광약품 다림바이오텍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우)04146    Tel : 02-2038-0072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유순집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